$\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40 - 1646  

박은령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이선규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황혜신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문춘선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곽인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  김옥희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센터) ,  이광호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평가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존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프로피온산, 안식향산이 천연 원료로부터 이행되거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써 생성되는 제품군들을 선정하여 berry류, 건강기능식품, 식초음료류, 초(염)절임류 등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45건의 시료로부터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과 재래식 발효법에 의한 감식초의 담금, 발효기간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방법으로 담금한 감식초에서 발효과정 중의 프로피온산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제조공정 중 안식향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 중 berry류(푸룬, 크랜베리), 건강기능식품(프로폴리스추출물제품, 인삼제품), 식초음료류(식초음료베이스, 식초혼합음료, 과실식초), 절임류(올리브제품, 염절임류, 오이피클류, 초절임류) 등 145건을 분석한 결과, 145건의 시료 중 144건의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으며, 크랜베리와 프로폴리스 추출물제품 중에는 최대 약 500 ppm 농도의 안식향산이 원료로부터 천연유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피온산은 시료 64건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제품의 경우 원료로부터 천연유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식초음료류와 올리브 제품의 경우는 식품의 제조과정 중 발효 및 숙성에 의한 부산물로써 천연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food sanitation regulation, food additives are under controlled by the Food Code. The naturally derived preservatives such as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can be naturally carried over or produced as metabolites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fermentation. To monitor natur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품류의 모니터링을 통해 가공식품의 보존료 적부판정 시 천연유래 및 인위적 첨가 여부 판단에 필요한 천연유래 보존료의 판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공전 중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의 천연유래 규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식품공전 중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의 천연유래 규정에 의하면 ‘어떤 식품 중에 사용할 수 없는 식품첨가물이 그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는 원료에서 유래되었을 경우에는 그 식품 중의 식품첨가물 함유는 원료로부터 이행된 범위 안에서 첨가물 사용기준의 제한을 받지 아니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7). 그러나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보존료와 식품원료에 자연함유 되어 있거나 발효 등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천연유래 보존료의 경우 현재 과학적인 분별법이 존재하지 않아 합성보존료의 인위적 첨가여부의 판별이 어려워 안식향산, 프로피온산의 경우 다수의 식품에서 사용기준 위반여부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 공전의 지정, 식품별 사용기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 보존료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는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 및 염류, 안식향산 및 염류, 프로피온산 및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의 에스테르류 등 5품목 18종의 보존료가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 공전의 지정, 식품별 사용기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나, 일부 보존료(안식향산, 프로피온산)는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천연 원료 중의 보존료가 식품으로 이행되거나 제조공정 중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1-6). 식품공전 중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의 천연유래 규정에 의하면 ‘어떤 식품 중에 사용할 수 없는 식품첨가물이 그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는 원료에서 유래되었을 경우에는 그 식품 중의 식품첨가물 함유는 원료로부터 이행된 범위 안에서 첨가물 사용기준의 제한을 받지 아니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7).
식품공전 중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의 천연유래 규정에 의하면 보존료는 어떻게 규정되어있는가? 현재 우리나라는 데히드로초산, 소르빈산 및 염류, 안식향산 및 염류, 프로피온산 및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의 에스테르류 등 5품목 18종의 보존료가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 공전의 지정, 식품별 사용기준에 따라 관리되고 있으나, 일부 보존료(안식향산, 프로피온산)는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천연 원료 중의 보존료가 식품으로 이행되거나 제조공정 중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1-6). 식품공전 중 식품첨가물 사용기준의 천연유래 규정에 의하면 ‘어떤 식품 중에 사용할 수 없는 식품첨가물이 그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는 원료에서 유래되었을 경우에는 그 식품 중의 식품첨가물 함유는 원료로부터 이행된 범위 안에서 첨가물 사용기준의 제한을 받지 아니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7). 그러나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보존료와 식품원료에 자연함유 되어 있거나 발효 등의 방법에 의해 생성된 천연유래 보존료의 경우 현재 과학적인 분별법이 존재하지 않아 합성보존료의 인위적 첨가여부의 판별이 어려워 안식향산, 프로피온산의 경우 다수의 식품에서 사용기준 위반여부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ustafa E, Kemal UM, Ozgun EM, Certel M. 2006. Effects of fermentation and storage on the organic and fatty acid contents of tarhana, a turkish fermented cereal food. J Food Compo Anal 19: 294-301 

  2. Kim MC, Park HK, Hong JH, Lee DY, Park JS, Park EJ, Kim JW, Song KH, Shin DW, Mok JM, Lee JY, Song IS. 1999. Studies on the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s in foods (1)-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in several plants used as teas or sp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44-1152 

  3. Clague JA, Fellers CR. 1934. Relation of benzoic acid content and other constituents of cranberries to keeping quality. Plant Physiol 9: 631-636 

  4. Siber R, Butikofer U, Bosset JO. 1995. Benzoic acid as a natural compound in cultured dairy products and cheese. Int Dairy J 5: 227-246 

  5. Montano A, Sanchez AH, Casado FJ, de Castro A, Rejano L. 2003. Chemical profile of industrially fermented green olives of different varieties. Food Chem 82: 297-302 

  6. Sanchez AH, De Castr A, Rejano L, Montano A. 2000. Comparative study on chemical changes in olive juice and brine during green olive fermentation. J Agric Food Chem 48: 5975-5980 

  7.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2005. Food Code. Munyongsa 

  8. Oh KS, Kang KJ, Lee JH, Lee KB, Kim JH, Park DH, Ko KH, Lee MH, Ahn SM. 1998. Quantitative analysis of organic acids o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and separ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persimmon vinegars. The Annual Report of KFDA 2: 140-153 

  9. Lee HJ, Bae YI, Jung CH, Sim KH.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7 

  10. Jung CH, Bae YI, Lee HJ, Sim KH. 2003.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501-505 

  11. Kim JT, Kim CJ, Cho YJ, Choi AJ, Shin WS. 2002. Characteristics of propolis extracts from ethanol 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941-946 

  12. Lee JW. 2000.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rom korean red ginseng, and their extraction conditions. J Ginseng Res 24: 64-67 

  13. Woo SO. 2006.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ropolis extracts. J Apiology 305: 29-33 

  14. Lee SW, Kim HJ, Hwang BS. 2001.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pol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 383-388 

  15. Kim JK,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 Agric Chem Soc 23: 89-105 

  16. Choi JY, Lee TS, Park SO, Noh BS. 1997.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45-751 

  17. Lee IS, Pae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5-241 

  18. Center for Devices and Radiological Health. 2007. Benzoic acid. Code of Federal Regulation 21:3. 184.1021 

  19. Brul S, Coote P. 1999. Preservative agents in foods mode of action and microbial resistance mechanisms. Int J Food Microbiol 50: 1-17 

  20. WHO. 2005. Concise International Chemical Assessment Document 26. Benzoic acid and sodium benzoate 

  21.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2006. Study on food additives (preservatives) identified as Natural Compound in Food materials. The Annual Report of KFDA 

  22.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2006. Monitoring of propionic acid Levels in foods and foodstuffs. The Annual Report of KFDA 

  23. Radin MJ. 1914. A note on the quantity of benzoic acid and contained in prunes and cranberries. Ind & Eng Chem 6: 518 

  24. Zhang K, Zuo Y. 2004. GC-MS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nd benzoic acids in human plasma after consumption of cranberry juice. J Agric Food Chem 52: 222-227 

  25. Chen H, Zuo Y, Deng Y. 2001.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 cranberry juice by high perfe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913: 387-395 

  26. Zuo Y, Wang C, Zhan J. 2002. S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on of benzoic and phenolic antioxidants in american cranberry fruit by GC-MS. J Agric Food Chem 50: 3789-3794 

  27. Bankova VS, Popov SS, Marekov NL. 1983. A study on flavonoids of propolis. J Nat Prod 46: 1-9 

  28. Marcucci MC. 1995. Propolis. chemic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activity. Apidologie 26: 83-99 

  29. Walker P, Crane E. 1987. Constituents of propolis. Apidologie 18: 327-334 

  30. Kenneth RM, Kevin AM, Alistair LW, Julia AD, Yinrong L. 1996. HPLC and GC-MS identification of the major organic constituents in New Zealand propolis. Phytochem 42: 205-211 

  31. Gobbetti M, Corsetti A. 1997. Lactobacillus sanfrancisco a key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um: a review. Food Microbiol 14: 175-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