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보존에 이용된 식물의 천연보존료 함유량 연구
A study of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ild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4, 2014년, pp.529 - 535  

백경아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강현각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신명희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박종진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종대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박성민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이미영 (충남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임지순 (건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levels of preservatives that occur naturally in food, wild plants used as commercial teas, rice cakes, or spice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Korean Food Code and analyzed with a gas chromatograph and HPLC. The levels of the natural preservatives (sodium dehydroacet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하여 인공합성 보존제의 부정적인 측면을 해소하고 소비자 기피현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저장성 향상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유래 보존료의 개발에 좋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식품의 제조기준과 성분규격에 허가되지 않은 천연유래 보존료의 검출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행정상, 통상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품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식향산이 검출된 천연유래 보존료 종류와 그 양은?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
소르빈산이 검출된 자생식물과 그 양은 얼마인가? 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중 천연보존 성분이 검출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GH (2010)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reservatives utilizing the bamboo steams and leaves. http://www.youlchon.org/scho/fundPage.do 

  2. Jeong MR, Cha JD, Lee YE (2005)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Fig (Ficus carica L.)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4-93 

  3. Kim HY, Lee YJ, Kim SH, Hong KH, Kwon YK, Lee JY, Ha SC, Cho HY, Chang IS, Lee CW, Kim KS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ut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4. Han MJ, Shin JE, Han YO, Kim NY, Lee KH (2001) The effect of mugwort and storag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ookgaedduck.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634-368 

  5. Lee SH, Lim YS (1997)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42-447 

  6. Kim MC, Park HK, Hong JH, Lee DY, Park JS, Park EJ, Kim JW, Song KH, Shin DW, Mok JM, Lee JY, Song IS (1999) Studies on the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in foods. part (I)-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and sorbic acid on several plants used as teas or sp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44-1152 

  7. Mok JM (1999) Contents of natural preservative in various plants commerical in Korea,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8. Lee SH, Lee MY, Lim SR, Bae JH (2013) Determination of amounts of benzoic acid and propionic acid in fermented soybean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65-570 

  9. Oh JY, Kim YS, Shin DH (200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natural preservativ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35-841 

  10. Lim SD, Park MS, Kim KS, Yoo MY (2013) Evaluation of benzoic acid level of fermented dairy product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33, 640-645 

  11. Kim SI, Kim KJ, Jung HO, Han YS (1998) Effect of mugwort on the extention of shelf-life of bread and rice cake. Korean J Soc Food Sci, 14, 106-113 

  12. Lee YC, Oh SW, Hong HD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13. Han YS (2005) Antimicrobial effec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13-121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The general test method of the Korea food code, Seoul, Korea. 

  15. Choi HS, Kim GC, Shin HJ (2012)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 korean bamboos. KSBB Journal, 131-135 

  16. Kuk JH, Ma SJ, Park KH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04-210 

  17. Lee HJ, Han JY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64-172 

  18. Ko YJ, Kim JY, Kim EJ, Seol HG, Park GH, Chung GY, Ryu CH (2012) Treatment of Smilax china L. root extract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Mang-gae rice cake. Korean J Food Preserv, 19, 167-172 

  19. Ko MS (2008) Chemical components in stalks and leaves of Sasa borealis makino and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125-132 

  20. Park YO, Lim HS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Sasa borealis) leaves fraction extracts againist food poisoning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45-1752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5) Food additives general and safety infromation (I) Chemical synthetics. Korea, 593-603 

  22. Cho WJ, Wang MR, Jung YJ, Shin YW, Won S, Lee SM, Choi YK, Kim SY, Lee CH, Yang YM (2010) The naturally occurring levels of food preservatives in raw materials and fermented foods. The R&D annual report of KFDA, Seoul, Kore, 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