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
Purchase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Housewives in Seoul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67 - 1673  

김규동 (을지대학교 의료산업학부) ,  이정윤 (을지대학교 식품과학부) ,  남궁석 (을지대학교 의료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또한 그들의 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친환경농산물 수요확산을 위한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입안과 생산자 및 유통업자의 효율적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거주 20세 이상 주부 30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 조사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친환경농산물 이용실태, 정보원천, 평가기준, 그리고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만족도 등이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친환경농산물 이용실태에 있어 월 1회 정도 구매한다는 응답이 38.9%로 가장 많았고, 채소류의 구매비율이 83.3%로 월등히 높았다(과실류(49.0%), 두류(43.1%), 곡류(27.8%) 등의 순). 친환경농산물은 주로 할인점(45.8%)에서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민으로부터 직접 구입한다는 응답은 3.6%에 그쳤다. 또한 친환경농산물 구매금액은 $2{\sim}5$만원 미만이 4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sim}10$만원 미만(31.7%), $10{\sim}20$만원 미만(13.1%) 등의 순을 보였다. 둘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정보원천은 TV/라디오가 3.42로 가장 높았고(가족/친지/친구(3.33), 신문/잡지(3.31) 등이 순), 반면에 세미나(2.43)의 정보원천으로서의 역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부들은 친환경농산물 선택 시, 특히 위생상태 및 신선도(4.43), 안전성(4.20), 영양가(4.05), 그리고 맛(3.99) 등을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농산물 사용 후 만족도는 영양가가 3.75로 가장 높았고 안전성(3.71), 신선도(3.70), 맛(3.68) 등이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가격수준(2.36)에 대해서는 가장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 이용비율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과 가격적 부담 등이 수요확산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철저한 인증제도 관리, 이력추적시스템의 확대 시행, 그리고 정확하고 충분한 관련 정보의 제공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친환경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해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생산 및 유통 합리화를 통한 비용절감으로 소비자들의 가격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친환경농산물의 수요확대를 위 한 다양한 판로확보 및 촉진활동이 요구되며 소비자욕구를 반영한 마케팅전략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유통 및 판매의 전 과정에 걸친 체계적 관리방안 제시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urchase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Ts) an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execut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producers and distribu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6 housewives in the S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친환경농산물 관련 정책 및 제도의 개발과 친환경농산물 소비의 저변확대 등을 위한 방안제시를 위해서는 결국, 친환경농산물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또한 그들의 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친환경농산물 수요확산을 위한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입안과 생산자 및 유통업자의 효율적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을 분석하고 또한 그들의 욕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친환경농산물 수요확산을 위한 관련 정책입안자의 정책입안과 생산자 및 유통업자의 효율적 마케팅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거주 20세 이상 주부 30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농산물 선택기준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의 향상은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선호도와 소비가 빠르게 증대되고 있고(1-3), 특히, 농산물의 안전성이 중요한 농산물 선택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4,5). 친환경농산물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한다(6).
친환경농산물이란 무엇인가?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선호도와 소비가 빠르게 증대되고 있고(1-3), 특히, 농산물의 안전성이 중요한 농산물 선택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4,5). 친환경농산물은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한다(6).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과 소비의 증대로,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2007년에 전년 대비 약 45% 증가한 1조 8,989억 원으로 전체 농산물시장에서 약 6.
농산물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친환경인증제도 시행, 친환경농산물의 재배면적 확대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러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수요 및 거래량 증대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유통 상의 많은 문제들은 여전히 친환경농업의 발전과 친환경농산물 수요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남아있다. 따라서 국가에서도 농산물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친환경인증제도 시행, 친환경농산물의 재배면적 확대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 추진 등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6), 건실한 친환경농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올바른 정책 및 제도의 개발과 지속적 수요확산을 위한 친환경농산물 소비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an WK, Lee GJ.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J Korean Soc Food Sci 7: 23-33 

  2. Park HY.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ealth consciousness and environment consciousness on the purchase behavior of organic food. M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3. Bae KG. 2006.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organic products and organic processing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39: 35-51 

  4. Choe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6-74 

  5. Park YS. 1997. A study on the consumer's understanding and purchasing of organic farming fo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7: 502-511 

  6.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Republic of Korea 2006. http://www.maf.go.kr/index.jsp 

  7. Kim CG, Lee YS, Lee SG. 2008. Consumers' attitude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8. NamKung S. 1994. A study on decision-making processes of organic foods. Korean J Dietary Culture 9: 379-394 

  9. Wilkins JL, Hillers VN. 1994. Influences of pesticide residue and environmental concerns on organic food preference among food cooperative members and nonmembers in Washington state. J Nutr Educ 26: 26-33 

  10. Hyun TS, Kim WS. 1997.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imported and organic produce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Comm Nutr p2: 75-85 

  11. Yoon JS, Moon KD, Lee HC. 1998. A study on the consumer perception of housewives living in Taegu area for farm products and process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43-552 

  12. Kim MB. 2000. Research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organic crop-a research based on Hanaro mart customers-.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p 27-98 

  13. Yoon HJ. 2004. A study on consumers' recognition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4. Kim YS. 2004. A study on the utilization present status and the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19-87 

  15. Ahn HD. 2004. A survey on circul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od World 5: 28-33 

  16. Ryu MJ, Suh JS, Lyu ES. 2004. A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using imported foods and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J Korean Dietetic Assoc 10: 452-466 

  17. Raab C, Grobe D. 2005. Consumer knowledge and perceptions about organic food. Journal of Extension [on-line] 43(4) article number 4RIB3 

  18. Ko BS, Ko PS. 2005.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 214-227 

  19. Choi HS. 2007. The utilization and perception o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college students. MS Thesis. Inha University 

  20. Sung MJ, Choi HS, Chang KJ. 2008. Perception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17-324 

  21. Nam SM. 2004. A study on the marketing strategy for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ticle of 2004 Conference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p 381-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