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주부의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Daejeon A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3, 2011년, pp.386 - 397  

김인정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생활정보학과) ,  이준호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생활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by survey in Daejeon area housewives. 390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sed. Most of the subjects were female (92.6%) distributed evenly in their 40's (55.4%), and gradu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지역 주부를 중심으로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이용현황 및 만족도, 향후 구매 증가 의향과 소비 촉진을 위한 개선점에 대해 조사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웰빙 건강을 위해 최근 주부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그 구매량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들 농산물에 대한 주부들의 구매행동을 조사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는 정부가 친환경 농업을 위해 1990년대에 어떤 육성정책을 추진하였나? 우리나라는 1994년 농림부에 친환경농업과를 설치하였고, 1997년에는 친환경농업의 원년선포와 친환경농업육성 법을 제정하였으며 1999년에는 친환경농업 직접 지불제도를 도입하였고, 2001년에는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계획을 수립하여 친환경 농업 육성을 장려하고 있다(Jeong 2006).
친환경 농업육성이 선택이 아닌 필수의 문제가 된 배경은 무엇인가? 친환경농업은 WTO 개방화 체제 하에서 값싼 수입농산물과 경쟁해야 하는 우리 농업의 생존전략이자 활로이므로 친환경 농업 육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의 문제가 되었다. 이에 정부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제2차 친환경 농업육성 5개년 계획’을 실시하여 2013년에는 광역 친환경단지 50 개소와 친환경 농업지구 1500개소를 조성하여 친환경 농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Kim 2009).
친환경농산물이란? 친환경농산물(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은 1997년에 제정된 「친환경농업육성 법」에 의해 처음 정의되었고 환경을 보호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을 말하며 생산방법과 사용자재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 무 농약 농산물, 저 농약 농산물의 3종류로 나뉘었는데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에 따라 2010년부터 저농약 신규인증이 중단되고, 2015년부터 저 농약 인증은 완전히 폐지된다(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JH, Kang KO (2006): Consumption type of housewives about organic and instant food. Korean J Food & Nutr 19(1): 28-37 

  2. Choi HS, Chang GJ (2007):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2(6): 742-751 

  3. Jang JK (2006): A study on marketing promo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al Econom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1-62 

  4. Jeong EM (2006):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olicy in Korea. Korean J Org Agric 14(2): 117-137 

  5. Kim CK, Jung HK, Moon DH (2009): Recent production status and market prosp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on Agricultural Research, p.58, Seoul 

  6. Kim CK, Lee YS, Lee SG (2008a): Consumer's attitude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olicy Analysis p.98, Seoul 

  7. Kim IH (2010a): The effect of health concern on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Hanseo University, pp.16-17 

  8. Kim JW (2010b):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for those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lsan University, pp.28-29 

  9. Kim JY (200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organic farming products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griculture.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Urban and Regional Planning. Dankook University, pp.1-81 

  10. Kim KD, Lee JY, Namkung S (2008b): Purchase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housewives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 1667-1673 

  11. Kim NR, Cho YS, Kim SA (2011):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Cheo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1): 75-85 

  12. Kim SH (2009): A study on the marketing promo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Mokpo National University, pp.1-73 

  13. Kim SO, Kim MH, Shim JH (2008c):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AP) and purchasing behavior by comparing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Korean J Org Agric 16(1): 21-42 

  14. Kim YS (2005): A study on the utilization present status and the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47-88 

  15. Kim YT (2006): A study on the efficient plan of improv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Kwangju University, pp.1-90 

  16. Ko BS, Ko PS (2005):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Korean J Culin Res 11(4): 214-227 

  17. Lee HW, Yun JH (2007): Studies on change of organic farming in Korea from 1907-2007. Korean J Org Agric 15(4): 399-411 

  18. Lee JS (2002): An analysis of productionon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in Korea. Korean J Org Agric 10: 29-50 

  19. Lee JY (2006): Analysis of consumer's behavior on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al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26-68 

  2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0) : Available from http://www.naqs.go.kr/serviceInfo/service_01_01.jsp [cited 2010 February 1] 

  21. Nongmin Newspaper (2005) : The preferance analysis and demand forecast of consumer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2005. 4. 12. Available from http://www.nongmin.com/download/index.htm?modedetail&no 938 [cited 2010 January 5] 

  22. Park JY (2007): A study on use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female consumers in Jeju area.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p.37 

  23. Park YE (2002): An analysis on consumption behavior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S thesis, Graduate School at Dong-A University, pp.32-34 

  24. Shin CN (2006): A survey on consumption patter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ith special reference to consumer in Changwon, Jinju and Sacheon area.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Human Ecology and Environment, Kyungsang National University, pp.50-52 

  25. Yang GS (2009): Distribution condition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1(1): 153-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