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대학생의 친환경농산물 인식 및 구매행동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Daeje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3, 2015년, pp.328 - 334  

조유진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구난숙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s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35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Daejeon and analyzed using SPSS 21.0. The students recognized EFAP as foods containing less or no ag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 소비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구매행동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소비를 촉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문화를 성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EFAP mean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농산물 정의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친환경농산물 정의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친환경 농산물이 환경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하는 농산물(34.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32.6%), 농약과 화학비료를 적게 쓰는 농산물(17.8%), 건강에 좋은 농산물(8.2%), 환경보전을 중시하는 특수 농산물(4.5%), 품질이 좋은 농산물(2.3%), 기타(0.3%) 순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농산물이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는 전공자가 37.2%, 비전공자가 28.2%, 농약과 화학비료를 적게 쓰는 농산물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는 전공자가 20.3%, 비전공자가 15.5%로나타나 친환경농산물의 정의를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은 농산물이라는 응답은 여학생(35.8%) 이 남학생(28.3%)보다 많았다.
친환경농산물이란 무엇인가? 친환경농산물이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항균제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 축산업‧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이다(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5). 소비자들은 소득과 생활수준 향상, 의식수준이 높아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안전한 환경친화적인 식품을 선호한다(Lee SJ & Kim HA 2010, Kim MJ & Park GS 2014).
소비자들이 환경친화적인 식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친환경농산물이란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항균제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업‧ 축산업‧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 보전하면서 생산된 농산물이다(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5). 소비자들은 소득과 생활수준 향상, 의식수준이 높아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안전한 환경친화적인 식품을 선호한다(Lee SJ & Kim HA 2010, Kim MJ & Park GS 2014). 건강에 좋고, 농약으로부터 안전하며, 우수한 영양가, 환경보전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은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고 있다(Choi HS & Chang KJ 2007, Kim SJ & Yoon JS 2012, Jung MH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ng HS, Lee MJ. 2008. The perception for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us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Gunsan. Korean J Community Nutr 13(6):867-878 

  2. Cho MJ. 2008. Daegu and Gyeongbuk area housewives' understanding of consumption patterns for organic produce and processed food. Master's thesis. The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pp 65-69 

  3. Choi HS, Chang KJ. 2007. The utiliz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6):742-751 

  4. Huh EJ, Kim JW. 2010.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Human Ecol 19(5):883-896 

  5. Huh JI, Jin SY. 2011.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and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Korean J Food Culture 26(3):220-229 

  6. Jung MH, Chang MJ, Kim SH. 2013. Perce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meals among students, their parents, and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Jindo area, Jeonnam. J Nutr Health 6(4): 369-381 

  7. Kim IJ, Lee JH. 2011. The housewives' purchase behavior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3):386-397 

  8. Kim JW. 2010.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urchasing behavior for those product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pp 49-52 

  9. Kim KD, Lee JY, Namkung S. 2008. Purchase behavi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housewives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1667-1673 

  10. Kim MJ, Park GS. 2014. Study on awareness and preferences in adults regarding consum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food while eating-out according to gender and agefocused on adults in Suseong area in Daegu. Korean J Food Culture 29(2):151-162 

  11. Kim NR, Cho YS, Kim SA. 2011.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Cheo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1):75-85 

  12. Kim SJ, Yoon JS. 2012. Recognition on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adults in Daegu region. Natural Sci.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8:1-12 

  13. Lee YJ. 2009. Evaluation of the effects on food service quality and food purchasing attitudes according to the LOHAS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Food Cook Sci 25(5):564-574 

  14. Lee SJ, Kim HA. 2010. Comparative analysis of price sensitivity for us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university foodservices between Jeonam and Gyeongnam area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8):1220-1230 

  15.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5. Introduction to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vailable from: http://www.naqs.go.kr. Accessed May 11, 2015 

  16. Rho JO, Kim MO.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ervice in Jeonbuk area. Korean J Human Ecol 20(2):427-437 

  17. Ryu JH, Rho JO. 2011a.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housewives in the Jeonbuk area. Korean J Human Ecol 20(2):677-689 

  18. Ryu JH, Rho JO. 2011b.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university student in Korea. Korean J Food Nutr 24(1): 101-110 

  19. Sung MJ, Choi HS, Chang KJ. 2008. Perception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3):317-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