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단 기준에 따른 취학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 비교
COMPARISON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PREVALENCES BY TWO DIAGNOSTIC CRITERI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5 no.4, 2008년, pp.677 - 683  

임경욱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광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라지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동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안소연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지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송지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윤희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은 중증 유아기 우식증에 대한 두 개의 정의를 진단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 기준에 따른 유병률이 일치하는 정도를 알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익산시 어린이집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이하 어린이 401명이었다. 치경과 탐침을 사용한 구강검사를 통하여 치아별 우식경험유치면(dmfs)의 수를 조사하였으며,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진단 기준은 (1) 상악 전치에 1개 이상의, 와동이 형성된 우식, 상실(우식증에 의한), 충전 평활면이 있거나 (2) 우식 상실, 충전 치면의 수가 3세는 4개 이상, 4세는 5개 이상, 5세는 6개 이상인 경우로 하였다. 상악 전치부 우식증에 의한 우식 유병률과 우식경험유치면수(dmfs)에 의한 우식유병률은 3세에서 각각 26.7%, 28.9%, 4세에서 각각 32.4%, 30.4%, 5세에서 각각 39.4%, 41.3%, 전체에서 각각 35.4%, 35.9%으로서, 연령별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에서는 차이가 0.5%로서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중증 유아기 우식증의 진단은 두 가지 기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더라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the prevalences of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S-ECC) using two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401 preschool children from 36 to 71 months of the randomly selected seven nurseries in Iksan city.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목적은 중증 유아기 우식증에 대한 두 개의 정의를 진단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 기준에 따른 유병률이 일치하는 정도를 알기 위함이었다. 무작위로 추출한 익산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이하 어린이 401명을 대상으로 치경과 탐침을 사용한 구강검사를 통하여 치아별 우식경험유치면(dmfs)의 수를 조사하였다.
  • 이에 저자는 중증 유아기 우식증에 대한 두 개의 정의를 진단 기준으로 하였을 때 각 기준에 따른 유병률이 일치하는 정도를 알기 위하여 익산시 3-5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치아별 우식경험 치면 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우식증 중 S-ECC은 어떤 경우를 칭하는가? 이 정의에 따르면, 유아기 우식증은‘71개월 이하의 어린이의 유치에서, 1개 이상의, 우식(와동이 형성되었거나 형성되지 않은 병소), 상실(우식증에 의한), 충전 치면의 존재’이다 10,11) . 중증 유아기 우식 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S-ECC)은, 3세 미만은 평활면 우식증의 징후가 있는 경우이고, 3세부터 5세까지는 (1) 상악 전치에 1개 이상의, 와동이 형성된 우식, 상실(우식증에 의한), 충전 평활면이 있거나 (2) 우식, 상실, 충전 치면의 수가 3세는 4개 이상, 4세는 5개 이상, 5세는 6개 이상인 경우이다11,12) .
유치열기의 치아우식증 중 가장 특징적이고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악 전치부 우식증이 유아기 우식증으로 불리게 된 과정은 어떠한가? 이 우식증을 과거에는 우유병을 사용한 수유가 주된 원인이 라고 생각하여 우유병 우식증(baby bottle tooth decay)이라고 불렀으나, 수유의 빈도와 기간 등의 시간 요인 4,5) 과 모친으로 부터의 mutans streptococci 감염 등의 미생물 요인 6-8) 이 동시에 작용하여야 발생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유아기 우식증 (early childhood caries, ECC)이라는 포괄적인 명칭으로 바꾸게 되었다. 유아기 우식증은 소아치과학의 매우 중요한 주제 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왔으나, 질병의 정의와 그에 따른 진단기준이 통일되어 있지 않아 연구 성과의 효율적 이용에 장애가 되어 왔다.
1997년 미국 국립 보건원에 의해 주최된 Maryland주 Bethesda에서의 회의가 합의한 유아기 우식증의 정의는 어떠한가? 유아기 우식증의 정의와 관련된 문제는 1997년에 미국 국립 보건원이 Maryland주 Bethesda에서 주최한 유아기 우식증에 대한 회의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새로운 유아기 우식증의 정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짐으로써 해결되었다 9) . 이 정의에 따르면, 유아기 우식증은‘71개월 이하의 어린이의 유치에서, 1개 이상의, 우식(와동이 형성되었거나 형성되지 않은 병소), 상실(우식증에 의한), 충전 치면의 존재’이다 10,11) . 중증 유아기 우식 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S-ECC)은, 3세 미만은 평활면 우식증의 징후가 있는 경우이고, 3세부터 5세까지는 (1) 상악 전치에 1개 이상의, 와동이 형성된 우식, 상실(우식증에 의한), 충전 평활면이 있거나 (2) 우식, 상실, 충전 치면의 수가 3세는 4개 이상, 4세는 5개 이상, 5세는 6개 이상인 경우이다11,12)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ray MM, Marchment MD, Anderson RJ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es experience in deciduous molars at 5 years and in first permanent molars of the same child at 7 years. Comm Dent Health, 8:3-7, 1991. 

  2. Al-Shalan TA, Erickson PR, Hardie NA : Primary incisor decay before age 4 as a risk factor for future dental caries. Pediatr Dent, 19:37-41, 1997. 

  3. Heller KE, Eklund SA, Pittman J, et al. : Associations between dental treatment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s using insurance claims data. Pediatr Dent, 22:469-474, 2000. 

  4. Marino R, Bonze K, Scholl T, et al. : Nursing bottle carie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risk. Clin Pediatr, 28:129-131, 1989. 

  5. Hallett KB, O'Rourke PK : Pattern and severity of early childhood carie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4:25-35, 2006. 

  6. Berkowitz RJ, Turner J, Green P : Maternal salivary levels of Streptococcus mutans and primary oral infection in infants. Arch Oral Biol, 26:147-149, 1981. 

  7. Kohler B, Brathall D, Krasse B : Preventive measures in mothers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Streptococcus mutans in their infants. Arch Oral Biol, 28:225-231, 1983. 

  8. Berkowitz RJ : Etiology of nursing caries: A microbiologic perspective. J Public Health Dent, 56:51-54, 1996. 

  9.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Early Childhood Caries. Bethesda, Maryland, USA. October 1997.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6(1 Suppl):1-119, 1998. 

  10. Drury TF, Horowitz AM, et al. : Diagnosing and reporting early childhood caries for research purposes. J Public Health Dent, 59:192-197, 1999. 

  11. 대한소아치과학회 편저 : 소아.청소년치과학, 제4판, 신흥인터내셔날, 서울, 154-155, 2007. 

  12. Ismail AI, Sohn W :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early childhood caries. J Public Health Dent, 59:171-191, 1999. 

  13. 이광희 : 익산시 취학 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과 위험요인.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0:678-683, 2003. 

  14. 유래관, 이광희, 라지영 등 : 익산시 취학전 어린이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 유병률과 섭식습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383-389, 2007. 

  15. Saravanan S, Madivanan I, Subashini B, et al. : Prevalence pattern of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among school children. Indian J Dent Res, 16:140-146, 2005. 

  16. Infante PF, Gillespie GM : Dental caries experience in the deciduous dentition of rural Guatemalan Children ages 6 months to 7 years. J Dent Res, 55:951-957, 1976. 

  17. Zerfowski M, Koch ML, Niekusb U, et al. : Caries prevalence and treatment needs of 7 to 10 - year-old school children in South western German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348-351, 1997. 

  18. Graves RC, Bohannan LEVI, Disney JA, et al. : Recent dental caries and treatment patterns in U.S. Children. J Public Health Dent, 46:23-29, 1986. 

  19. 이종선, 이광희, 김대업 : 치아별 우식경험도로 본 유치열의 우식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6:1-13, 1999. 

  20. Chawla HS, Gauba K, Goyal A : Trend of dental caries in children of Chandigarh over the last sixteen years. J Indian Soc Pedo Prev Dent, 18:41-45, 2000. 

  21. Elfrink ME, Veerkamp JS, Kalsbeek H : Caries pattern in primary molars in Dutch 5-year-old children. Eur Arch Paediatr Dent, 7:236-240, 2006. 

  22. O'Sullivan DM, Tinanoff N : Maxillary anterior carie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ies risk in other primary teeth. J Dent Res, 72:1577-1580,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