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조리한 오만둥이된장찌개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Oman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oups and stew by Cooki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11 = no.103, 2008년, pp.1570 - 1577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우진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만둥이된장찌개의 가열조리에 따른 열유도반응물질을 규명하여 오만둥이를 이용한 가공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128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에스테르류(16종), 방향족화합물류(14종), 함질소화합물류(11종), 알콜류(34종), 테르펜류(5종), 카르보닐화합물류(23종), 퓨란류(4종), 탄화수소류(13종), 산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3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된장의 향기성분은 방향족화합물, 알콜류 및 산류의 순으로 많았고, 가열 반응 후 pentanoic acid (불쾌취)는 감소하였으며 열유도 화합물인 furfural을 주로 한 퓨란류가 약 2배로 증가하였다. 오만둥이의 향기성분은 decenol, 2,6-dimethylheptanol 및 octanol이 주된 성분인 알콜류, 탄화수소류 및 방향족화합물 순으로 많았다. 가열 반응 후에는 pentanol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함질소아미노산과 카르보닐화합물의 열유도화합물인 2-acetyl-2-thiazoline 및 benzothiazole과 같은 함황고리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오만둥이 된장국에서는 오만둥이에서 유리되는 decenol 및 2,6-dimethylheptanol을 주로한 알콜류, 방향족화합물, 탄화수소류 및 된장가열 후 생성된 benzeneacetaldehyde가 주된 카르보닐 화합물이 많았다. 즉 오만둥이 된장국은 독특한 오만둥이향을 함유한 동시에 된장의 구수한 향미를 보유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useful basic data in developing of Omandungi (Styela plicata) processed products,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key reaction flavor compounds induced through heat treatment ($100^{\circ}C$, 10 min) in Omandungi -Doenjang (soybean paste) soups and stew. A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만둥이를 된장에 첨가한 해물된장찌개의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함으로서 오만둥이를 이용한 상업용 제품의 가공기술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오만둥이된장찌개의 가열조리에 따른 열유도반응물질을 규명하여 오만둥이를 이용한 가공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128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에스테르류(16종), 방향족화합물류(14종), 함질소화합물류(11종), 알콜류(34종), 테르펜류(5종), 카르보닐화합물류(23종), 퓨란류(4종), 탄화수소류(13종), 산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3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의 향기성분 구성과 가열 반응 후 물질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총 128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에스테르류(16종), 방향족화합물류(14종), 함질소화합물류(11종), 알콜류(34종), 테르펜류(5종), 카르보닐화합물류(23종), 퓨란류(4종), 탄화수소류(13종), 산류(5종) 및 기타화합물류(3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된장의 향기성분은 방향족화합물, 알콜류 및 산류의 순으로 많았고, 가열 반응 후 pentanoic acid (불쾌취)는 감소하였으며 열유도 화합물인 furfural을 주로 한 퓨란류가 약 2배로 증가하였다. 오만둥이의 향기성분은 decenol, 2,6-dimethylheptanol 및 octanol이 주된 성분인 알콜류, 탄화수소류 및 방향족화합물 순으로 많았다.
오만둥이에 관한 식품학적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오만둥이에 관한 식품학적 연구로는 유리아미노산(proline, alanine, glutamic acid, serine), 핵산관련물질(IMP), betaine, TMAO 및 총 creatinine 등이 정미성분의 주체라고 밝혀졌고[19], 생리기능성과 관련하여서는 오만둥이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항암활성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17]. 그러나 이용 가공면에서는 오만둥이 술의 제조[16]를 제외하고는 단순 1차가공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만둥이의 향기성분은 가열반응 후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오만둥이의 향기성분은 decenol, 2,6-dimethylheptanol 및 octanol이 주된 성분인 알콜류, 탄화수소류 및 방향족화합물 순으로 많았다. 가열 반응 후에는 pentanol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함질소아미노산과 카르보닐화합물의 열유도화합물인 2-acetyl-2-thiazoline 및 benzothiazole과 같은 함황고리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오만둥이 된장국에서는 오만둥이에서 유리되는 decenol 및 2,6-dimethylheptanol을 주로한 알콜류, 방향족화합물, 탄화수소류 및 된장가열 후 생성된 benzeneacetaldehyde가 주된 카르보닐 화합물이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li, E. A. and S. Kermasha. 1997. Characterization of the pyrazines formed during the processing of maple syrup. J. Agric. Food Chem. 45, 3358-3373. 

  2. Bendimerad, N. and S. A. T. Bendiab. 2005.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seudocytisus integrifolius (Salisb.) essential oil from Algeria. J. Agric. Food Chem. 53, 2947-2952. 

  3. Borek, V. and M. J. Morra. 2005. Ionic thiocyanate ( $SCN^-$ ) production from 4-Hydroxybenzyl glucosinolate contained in Sinapis alba seed meal. J. Agric. Food Chem. 53, 8650-8654. 

  4. Cha, Y. J. and K. R. Cadwallader. 1998. Aroma-active compounds in skipjack tuna sauce. J. Agric. Food Chem. 46, 1123-1128. 

  5. Chou, C. C. and C. H. Hwan. 1994. Effect of ethanol on the hydrolysis of protein and lipid during the aging of a Chinese fermented soya bean curd-sufu. J. Sci. Food Agric. 66, 393-398. 

  6. Chung, H. Y.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red fermented soybean (Glycine max) curds. J. Agric. Food Chem. 48, 1803-1809. 

  7. Cullere, L., A. Escudero, J. Cacho and V. Ferreira. 2004.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and chemical quantitative study of the aroma of six premium quality spanish aged Red wines. J. Agric. Food Chem. 52, 1653-1660. 

  8. Cutzach, I., P. Chatonnet, R. Henry and D. Dubourdieu. 1997.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unds with a "toasty" aroma in heated oak used in barrelmaking. J. Agric. Food Chem. 45, 2217-2224. 

  9. El-sayed, A. M., V. J. Heppelthwaite, L. M. Manning, A. R. Gibb and D. M. Suckling. 2005. Volatile constituents of fermented sugar baits and their attraction to Lepidopteran species. J. Agric. Food Chem. 53, 953-958. 

  10. Engel, W. and P. Schieberle. 2002.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key aroma compounds formed in Maillard-type reactions of fructose with cysteamine or isothiaproline (1,3-Thiazolidine-2-carboxylic Acid). J. Agric. Food Chem. 50, 5394-5399. 

  11. Galindo-Cuspinera, V., M. B. Lubran and S. A. Rankin. 2002.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in water- and oil-soluble annatto (Bixa orellana L.) extracts. J. Agric. Food Chem. 50, 2010-2015. 

  12. Griffith, R. and E. G. Hammond. 1989. Generation of Swiss cheese flavor components by the reaction of amino acids with carbonyl compounds. J. Dairy Sci. 72, 604-613. 

  13. Heath, H. B. and G. Reineccius. 1986. Changes in Food due to processing, pp. 71-111, In Heath, H. B. and G. Reineccius (Eds),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Machillan publishers, England. 

  14. Hwang, H. I., T. G. Hartman and C. T. Ho. 1995. Relative reactivites of amino acids in pyrazine formation. J. Agric. Food Chem. 43, 179-184. 

  15. Imeh, U. and S. Khokhar. 2002. Distribution of conjugated and free phenols in fruits: antioxidant activity and cultivar variations. J. Agric. Food Chem. 50, 6301-6306. 

  16. Jung, E. S. and S. C. Lee. 2007.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quors prepared with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38-1042. 

  17. Kim, J. J., S. J. Kim, S. H. Kim, H. R. Park and S.C. Lee. 2005.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37-941. 

  18. Ku, K. L., T. P. Chen and R. Y. Y. Chiou. 2000. Appratus used for small-scale volatile extration from ethanol-supplemented low-salt miso and GC-MS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ed flavors. J. Agric. Food Chem. 48, 3507-3511. 

  19. Lee, E. H., S. K. Chung, J. K. Jeon, Y. J. Cha and S. Y. Chung. 1983. A study on the taste compounds of an Ascidian, Styela plic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1-5. 

  20. Oh, Y. C., T. G. Hartman and C. T. Ho. 1992. Volatile compounds generated from the Maillard reaction of pro-gly, gly-pro, and a mixture of glycine and proline with glucose. J. Agric. Food Chem. 40, 1878-1880. 

  21. Pennarun, A. L., C. Prost, J. Haure and M. Demaimay. 2003. Comparison of two microalgal diets. 2. influence on odorant composition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raw oysters (Crasostrea gigas). J. Agric. Food Chem. 51, 2001-2018. 

  22. Piveteau, F., S. L. Guen, G. Gandemer, J. P. Baud and M. Demalmay. 2000. Aroma of fresh oysters, Crassostrea gigas, composition and aroma notes. J. Agric. Food Chem. 48, 4851-4857. 

  23. Tehrani, K. A., M. Kersiene, A. Adams, R. Venskutonis and N. K. Kimpe. 2002. Thermal degradation studies of glucose/glycine melanoidins. J. Agric. Food Chem. 50, 4062-4068. 

  24. Wu, C. M., Z. Wang and Q. H. Wu. 2000. Volatile compounds produced from monosodium glutamate in common food cooking. J. Agric. Food Chem. 48, 2438-2442. 

  25. Wu, Y. F. G. and K. R. Cadwallader. 2002. Characterization of the aroma of a meatlike process flavoring from soybean-based enzyme-hydrolyzed vegetable protein. J. Agric. Food Chem. 50, 2900-2907. 

  26. Yaylayan, V. A. and G. Matni. 1997. Microwave-assisted synthesis and extraction of selected Maillard reactio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5, 149-152. 

  27. Yoo, S. S. 2001. Reaction flavor technique for generation of food flavo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6, 27-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