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잔여갑상선 제거를 위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에 의한 소변 내 요오드량 감소 분석; 전향적 연구
Analysis of Urine Iodine Excretion Decrease by Two-Week Stringent Low Iodine Diet for Remnant Thyroid Ablation with Radioactive Iodine in Korea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핵의학 분자영상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v.42 no.5, 2008년, pp.375 - 382  

최준혁 (한일병원 내과) ,  김훈일 (한일병원 내과) ,  박장원 (한일병원 내과) ,  송은훈 (한일병원 내과) ,  고봉진 (한일병원 내과) ,  천기정 (한국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 ,  김병일 (한일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갑상선암 환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위한 전 단계로 시행되는 저요오드식이는 표준화된 전처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시행방법에 관련된 권고들이 최근 생겨나고 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요오드 섭취가 많은 지역이므로 권장된 요오드 배설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억제시키는 약물의 제한, 조영제가 사용된 경우에서 최소 3개월 이후로 치료 일정을 정하기, 전담 영양사에 의한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식이 요오드섭취가 많은 한국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소변 요오드량이 적정 수준으로 감소하는 지에 대해 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1월부터 외부 병원에서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 받고, 잔여 갑상선 제거 목적으로 고용량 방사성요오들 치료를 위해 본 연구자들의 병원에 의뢰된 환자들 중 recombinant human thyrotropin 또는 levotriiodothyronine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오드 함유 약물이나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제한할 수 있는 약물을 점검했고, 조영제가 사용된 경우 치료 일정을 최소 3개월 이후로 결정하였으며 전담 영양사에 의한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교육을 시행하였다.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24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소변 내 크레아티닌 수치를 이용해서 24시간 소변 채집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하부군을 대상으로 24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51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모든 환자에서는 24시간 소변 요오드량이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787\;{\mu}g/d$에서 $85\;{\mu}g/d$로 감소가 되었고 74.4%에서 $100\;{\mu}g/d$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소변 채집이 보다 적절한 하부군 14례에서는 저요오드식이 전후로 $505\;{\mu}g/d$에서 $99\;{\mu}g/d$로 감소되었고 78.6%에서 $100\;{\mu}g/d$ 이하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잔여갑상선제거를 위한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에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했을 때 24 시간 소변 내 요오드량이 평균 $99\;{\mu}g/d$로 감소하였고, 78.6%에서 $100\;{\mu}g/d$이하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식이 요오드섭취량이 많은 한국에서는 최소 2주 이상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가 고려되어야 하며, 환자의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w iodine diet (LID) is the recommended preparation for radioactive iodine treatment. However, the recommended duration and stringency of LID are different among each recommendation. More stringent LID is expected in Korea because Korea is a iodine-rich region. We investigated the decrement of 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따라서 한국에서 의 적절한 저요오드식이 강도와 기간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시이를 근간으로 하여 요오드 함유 약물 및 갑상선의요오드 섭취를 억제시키는 약물의 제한, 조영제 사용 시기를 고려한 방사성 요오드 치료 시기 결정 등 다양한 체내 요오드 저감화 조치를 시행했을 때, 식이 요오드 섭취가 많은 한국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소변 내 요오드량이 적정 수준으로 감소하는 지에 대해 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에서는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억제시키는 약물의 제한. 조영제가 사용된 경우에서 최소 3개월 이후로 치료 일정을 정하기, 전담 영양사에 의한 2주간의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식이 요오드섭취가 많은 한국 갑상선암 환자들에서 소변 요오드량이 적정 수준으로 감소하는 지에 대해 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6년 11월부터 외부 병원에서 갑상선암 진단 후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 받고.

가설 설정

  • 4)TSH 를 상승시킬 것
  • 5) 조영제 사용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일정이 최소 3개월 이상 차이가 날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oslings BM. Proceedings: Effect of a low iodine diet on 131-I therapy in follicular thyroid carcinomata. J Endocrinol 1975; 64:30P 

  2. Maxon HR, Thomas SR, Boehringer A, Drilling J, Sperling MI, Sparks JC, et al. Low iodine diet in I-131 ablation of thyroid remnants. Clin Nucl Med 1983;8:123-6 

  3. Pluijmen MJ, Eustatia-Rutten C, Goslings BM, Stokkel MP, Arias AM, Diamant M, et al. Effects of low-iodide diet on postsurgical radioiodide abl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Clin Endocrinol (Oxf) 2003;58: 428-35 

  4. Cooper DS, Doherty GM, Haugen BR, Kloos RT, Lee SL, Mandel SJ, et al.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Thyroid 2006; 16:109-42 

  5. Kim WB, Kim TY, Kwon HS, Moon WJ, Lee JB, Choi YS, et al. Management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and thyroid cancer. J Kor Endocr Soc 2007;22:157-87 

  6. Tomoda C, Uruno T, Takamura Y, Ito Y, Miya A, Kobayashi K, et al. Reevaluation of stringent low iodine diet in outpatient preparation for radioiodine examination and therapy. Endocr J 2005;52:237-40 

  7. Morris LF, Wilder MS, Waxman AD, Braunstein GD. Reevaluation of the impact of a stringent low-iodine diet on ablation rates in radioiodine treatment of thyroid carcinoma. Thyroid 2001;11:749-55 

  8. Roh JH, Kim BI, Ha JS, Chang SJ, Shin HY, Choi JH, et al. Comparison of urine iodine/creatinine ratio between patients following stringent and less stringent low iodine diet for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of thyroid cancer. Nucl Med Mol Imaging 2006;40:322-6 

  9. Park JT, 2nd, Hennessey JV. Two-week low iodine diet is necessary for adequate outpatient preparation for radioiodine rhTSH scanning in patients taking levothyroxine. Thyroid 2004; 14:57-63 

  10. Kim JY, Moon SJ, Kim KR, Sohn CY, Oh JJ. Dietary iodine intake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in normal Korean adults. Yonsei Med J 1998;39:355-62 

  11. Lee SM, Lewis J, Buss DH, Holcombe GD, Lawrance PR. Iodine in british foods and diets. Br J Nutr 1994;72:435-46 

  12. Robbins RJ, Schlumberger MJ. The evolving role of (131)I for the treatment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J Nucl Med 2005;46 Suppl 1:28S-37S 

  13. Hanil general hospital [Internet]. Seoul (Korea): Hanil general hospital; c2008. 클리닉소개, 갑상선암 치료 특수 클리닉 [cited 2008 May 22]. Available from: http://www.hanilmed.co.kr/ Examinationcourse_intro/clinic_breast/clinic.asp?c_idx2&l_menu 3 Korean 

  14. Solanki KK, Bomanji J, Moyes J, Mather SJ, Trainer PJ, Britton KE. A pharmacological guide to medicines which interfere with the biodistribution of radiolabelled meta-iodobenzylguanidine (MIBG). Nucl Med Commun 1992;13:513-21 

  15. 김복희, 김초희, 최성희, 박선오, 장영애, 이행신. 식품의 영양 성분 DB 구축사업(3차년도:무기질 분석). Final Report.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2003. Report No: 정책-의료-2003-57 

  16. Moon SJ, Kim JY, Chung YJ, Chung YS. The iodine content in common Korean foods. Kor J Nutr 1998;31:206-12 

  17. Halsted CH. Chapter 74, Malnutrition and nutritional assessment. In; Braunwald E, Hauser SL, Fauci AS, Longo DL, Kasper DL, Jameson JL,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Vol. 1, McGraw-Hill; c2001. p460 

  18. Bernet VJ. Reversible renal insufficiency attributable to thyroid hormone withdrawal in a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Endocr Pract 2004;10:339-44 

  19. van Welsem ME, Lobatto S. Treatment of severe hypothyroidism in a patient with progressive renal failure leads to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nal function. Clin Nephrol 2007; 67:391-3 

  20. Maruca J, Santner S, Miller K, Santen RJ. Prolonged iodine clearance with a depletion regimen for thyroid carcinoma: Concise communication. J Nucl Med 1984;25:1089-93 

  21. WHO U, ICCIDD. Assessment of the iodine deficiency disorders, and monitoring their elimination. In; A guide for programme managers. Geneva : WHO publ; 2001. p.1-107 

  22. Soldin OP. Controversies in urinary iodine determinations. Clin Biochem 2002;35:575-9 

  23. Cho YW, Kim YS, Baick SH, Oh DY, Kim WJ, Chang NS, et al. Analysis of daily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iodine in normal control and patient with thyroid disease. J Kor Endocr Soc 1994;9:307-17 

  24. Park HY, Kim WB, Kim SY, Cho BY, Lee HK, Koh CS, et al. A study on the urinary iodine excretion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J Kor Endocr Soc 1995;10:386-94 

  25. Haddow JE, McClain MR, Palomaki GE, Hollowell JG. Urine iodine measurements, creatinine adjustment, and thyroid deficiency in an adult united states population. J Clin Endocrinol Metab 2007;92:1019-22 

  26. Rasmussen LB, Ovesen L, Bulow I, Jorgensen T, Knudsen N, Laurberg P, et al. Dietary iodine intake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in a danish population: Effect of geography, supplements and food choice. Br J Nutr 2002;87:61-9 

  27. Thomson CD, Woodruffe S, Colls AJ, Joseph J, Doyle TC. Urinary iodine and thyroid status of new zealand residents. Eur J Clin Nutr 2001;55:387-92 

  28. Konno N, Yuri K, Miura K, Kumagai M, Murakami S. Clinical evaluation of the iodide/creatinine ratio of casual urine samples as an index of daily iodide excretion in a population study. Endocr J 1993;40:163-9 

  29. Als C, Minder C, Willems D, Van Thi HV, Gerber H, Bourdoux P. Quantification of urinary iodine: A need for revised thresholds. Eur J Clin Nutr 2003;57:118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