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향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Saussurea lappa의 뿌리로서 한의학에서는 구토, 설사 및 염증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목향 추출물 및 그 성분들은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혈관생성 억제 효능 등을 지니고 있으며 위암과 대장암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립선암에 대한 목향의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목향이 전립선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의 전립선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LNCaP 세포의 증식과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을 LNCaP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4$ mg/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LNCaP 세포의 증식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poptosis는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이 LNCaP 세포의 apoptosis 일으키는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목향 헥산추출물을 첨가하고 세포를 48시간 배양한 후 cell lysate를 얻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Apoptosis 과정에 작용하는 중요한 단백질 중 하나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pro-apoptotic Bcl-2 단백질인 Bak와 BH3 only Bcl-2 단백질인 truncated-Bid의 단백질 수준은 목향 헥산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인 Bcl-2, Bcl-xL 및 Mcl-1 단백질 수준은 변하지 않았다. 또한 apoptosis를 집행하는 caspase의 활성 형태인 cleaved caspase-8, -9, -7, -3의 단백질 수준이 목향 헥산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고 caspase-3의 표적 단백질 중 하나인 PARP의 불활성 형태인 cleaved PARP의 단백질 수준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은 목향 헥산 추출물이 LNCaP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목향 헥산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활성 증가와 Bak 및 t-Bid 단백질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따라서 앞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동정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좀 더 면밀한 기전 연구가 수행된다면 목향 헥산추출물은 화학적 암예방 물질이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ussurea lappa (SL) has been used to reduce abdominal pain and tenesmus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L and major compounds of SL, sesquiterpene lactones, have been suggested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effects, including anti-tumor, anti-ulcer, anti-inflammatory, anti-viral and cardioton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NCaP 전립선암세포는 p53 유전자가 변이된 많은 인간의 암세포와는 달리 p53 유전자가 wild type으로 존재하는 세포이다(26). 따라서 목향 헥산추출물이 p53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목향 헥산 추출물은 p53 단백질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 Apoptosis는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전 중의 하나이다. 목향 헥산추출물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apoptosis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목향 헥산추출물이 LNCaP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Apoptosis의 형태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oechst 33258 시약으로 염색한 결과 세포질의 위축, 염색사의 응축 및 핵의 분절 등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apoptosis 특이적 형태가 관찰되었다(Fig.
  • Apoptosis 유발인자에 세포가 노출되면 여러 가지 경로와 핵심 인자들 간의 유기적인 작용으로 최종적으로 단백질 분해 효소인 caspase에 의해서 DNA가 분해되면서 주변세포나 식세포에 의한 phagocytosis를 통해 사멸하게 된다(23). 본 연구에서는 LNCaP 세포에서 목향 헥산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목향 헥산추출물을 세포배양액에 첨가하고 48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모아 cell lysate를 만들어 Western blot을 통해 apoptosis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현재까지 전립선암에 대한 목향의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목향이 전립선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의 전립선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LNCaP 세포의 증식과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을 LNCaP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4 mg/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목향이 전립선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목향이 인간의 전립선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LNCaP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 또한 Ko 등은 목향 에탄올 추출물이 AGS gastric cancer cell의 세포증식은 현저히 억제하나 rat의 정상상피세포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는 미약하다고 보고하였다(8).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목향은 대장암세포, 위암세포, 유방암세포 뿐만 아니라 전립선암세포의 증식도 억제하며 독성과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이렇게 활성화된 caspase-3는 caspase-7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effector caspase들은 lamin A, PARP, DNA fragmentation factor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apoptosis를 유도한다(33,34). 이처럼 apoptosis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pase의 활성에 미치는 목향 헥산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caspase의 활성형태인 cleaved caspase 단백질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initiator caspase인 cleaved caspase-8, -9은 각각 4 mg/L, 3 mg/L 농도에서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향이란? 목향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Saussurea lappa의 뿌리로서 한의학에서는 구토, 설사 및 염증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목향 추출물 및 그 성분들은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혈관생성 억제 효능 등을 지니고 있으며 위암과 대장암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사멸은 Bcl-2 family protein의 변화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에서 무엇의 분비를 조절하는가?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많은 종류의 항암제와 항암화학요법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많은 암에서 암세포 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Apoptosis는 Bcl-2 family protein의 변화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에서 cytochrome c의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apoptosis를 조절하는 내적인 경로와 Fas 매개 신호체계를 통해 apoptosis를 조절하는 외적인 경로로 크게 나눌 수 있다(14). 식품에 들어있는 여러 가지 성분들은 단백질의 발현 및 기능 조절, mRNA의 발현 조절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켜 apoptosis를 조절할 수 있다(12).
목향 추출물 및 그 성분들은 어떤 효능을 지니고 있는가? 목향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Saussurea lappa의 뿌리로서 한의학에서는 구토, 설사 및 염증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목향 추출물 및 그 성분들은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혈관생성 억제 효능 등을 지니고 있으며 위암과 대장암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립선암에 대한 목향의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eon YJ, Lee HS, Yeon SY, Ko JH, An KM, Yu SW, Kang JH, Hwang BY, Kin TY. 2005. Inhibitory effect of dehydrocostuslactone isolated from Sussureae Radix on CDK2 activity. Kor J Pharmacogn 36: 97-101 

  2. Jung NH, Ha JY, Min KR, Shibata F, Nakagawa H, Kang SS, Chang IM, Kim YS. 1998. Reynosis from Saussurea lappa as inhibitor on CINC-1 induction in LPS-stimulated NRK-52E cells. Planta Med 64: 454-456 

  3. Kang SH, Kim JS, Chi HJ, Chang SY, Ha KW. 1999.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ostunolide from saussurea root. Kor J Pharmacogn 30: 48-53 

  4. Wedge DE, Galindo JC, Macias FA. 2000. Fungcidal activity of natural and synthetic sesquiterpene lactone analogs. Phytochem 53: 747-757 

  5. Park HJ, Jung WT, Basnet P, Kadota S, Namba T. 1996. Syringin 4-O- $\beta$ glucoside, a new phenylpropanoid glycoside, and costunolide, a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sieboldii. J Nat Prod 59: 1128-1130 

  6. Jeong SJ, Ltokawa T, Shibuya M, Kuwano M, Ono H, Huguchi R, Miyamoto T. 2002. Costunolide,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Saussurea lappa, inhibits the VEGFR KDR ?Flk-1 signaling pathway. Cancer Lett 187: 129-133 

  7. Ko SG, Koh SH, Jun CY, Nam CG, Bae HS, Shin MK. 2004. Induction of apoptosis by Saussurea lappa and Pharbitis nil on AGS gastric cancer cells. Biol Pharm Bull 27: 1604-1610 

  8. Ko SG, Kim HP, Jim DH, Bae HS, Kim SH, Park CH, Lee JW. 2005. Saussurea lappa induces G2-growth arrest and apoptosis in AGS gastric cancer cells. Cancer Lett 220: 11-19 

  9. Lee MG, Lee KT, Chi SG, Park JH. 2001. Costunolide induces apoptosis by ROS-mediated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and cytochrome c release. Biol Pharm Bull 24: 303-306 

  10. Mori H, Kawamori T, Tanaka T, Ohnish M, Yamahara J. 1994. Chemopreventive effect of costunolide, a constituent of oriental medicine, on azoxymethane-induced intestinal carcinogenesis in rats. Cancer Lett 83: 171-175 

  11. Chen CN, Huang HH, Wu CL, Lin PC, Hsu JT, Hsieh HP, Chuang SE, Lai GM. 2007. Isocostunolide, a sesquiterpene lactone, induces mitochondrial membrane depolarization and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human melanoma cells. Cancer Lett 246: 237-252 

  12. Martin KR. 2007. Using nutrigenomics to evaluate apoptosis as a preemptive target in cancer prevention. Curr Cancer Drug Targets 7: 438-446 

  13. Hengartn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7 

  14. Debatin KM. 2004. Apoptosis pathways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Immunother 53: 153-159 

  15. Im SS, Kim JR, Lim HA, Jang CH, Kim YK, Konishi T, Kim EJ, Park JHY, Kim JS. 2007. Induction of detoxifying enzyme by seszuiterpenes present in Inula helenium. J Med Food 10: 503-510 

  16. Denizot F,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17. Hodge GL, Flower R, Han P. 1999. Optimal storage conditions for preserving granulocyte viability as monitored by Annexin V binding in whole blood. J Immunol Methods 225: 27-38 

  18. Herault O, Colombat P, Domenech J, Degenne M, Bremone JL, Sensebe L, Bernard MC, Binet C. 1999. A rapid single-laser flow cytometric method for discrimination of early apoptotic cells in a heterogeneous cell population. Br J Haematol 104: 530-537 

  19. Cowell JK, Franks LM. 1980. A rapid method for accurate DNA measurements in single cells in situ using a simple microfluorimeter and Hoechst 33258 as a quantitative fluorochrome. J Histochem Cytochem 28: 206-210 

  20. Jeon YJ, Lee HS, Yeon SY, Ko JH, An KM, Yu SW, Kang JH, Hwang BY, Kin TY. 2005. Inhibitory effect of dehydrocostuslactone isolated from Sussureae Radix on CDK2 activity. Kor J Pharmacogn 36: 97-101 

  21. Bocca C, Gabriel L, Bozzo F, Miglietta A. 2004. A sisquiterpene lactone, costunolide, interacts with microtubule protein and inhibits the growth of MCF-7 cells. Chem Biol Interact 147: 79-86 

  22. Park HJ, Kwon SH, Han YN, Choi JW, Miyamoto K, Lee SH, Lee KT. 2001. Apoptosis- inducing costunolide and a novel acyclic monoterpene from the stem bark of Magnolia sieboldii. Arch Pharm Res 24: 342-348 

  23. Moon BK. 2002. Anesthesiology and apoptosis. J Kor Anesthesiology 42: 563-574 

  24. Banasiak KJ, Sia Y, Haddad GG. 2000. Mechanisms underlying hypoxia-induced neuronal apoptosis. Prog Neurobiol 62: 215-249 

  25. Amundson SA, Myers TG, Fornace AJ Jr. 1998. Roles for p53 in growth arrest and apoptosis: putting on the brakes after genotoxic stress. Oncogene 17: 3287-3299 

  26. Rokhlin OW, Bishop GA, Hostager BS, Waldschmidt TJ, Sidorenko SP, Pavloff N, Kierfer MC, Umansky SR, Cohen MB. 1997. Fas-mediated apoptosis in human prostatic carcinoma cell lines. Cancer Res 57: 1758-1768 

  27. Kim EJ, Park SY, Hong J, Shin M, Lim SS, Shin HK, Park JHY. 2007.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1-438 

  28. Vermeulen K, Van Bockstaele DR, Berneman ZN. 2005. Apoptosis: mechanisms and relevance in cancer. Ann Hematol 84: 627-639 

  29. Lemasters JJ, Quian T, Bradham CA, Brenner DA, Cascio WE, Trost LC, Nishimura Y, Nieminen AL, Herman B. 1999.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the pathogenesis of necrotic and apoptotic cell death. J Bioenerg Biomembr 31: 305-319 

  30. Yamaguchi H, Chen J, Bhalla K, Wang HG. 2004. Regulation of Bax activation and apoptotic response to microtubule-damaging agents by p53 transcription-dependent and-independent pathways. J Biol Chem 279: 39431-39437 

  31. Licholson DW, Thornberry NA. 1997. Caspases: Killer pergeases. Trend Biochem Sci 22: 299-306 

  32. Ho PK, Hawkins CJ. 2005. Mammalin initiator apoptotic caspases. FEBS J 272: 5436-5453 

  33. Budihardjo I, Oliver H, Lutter M, Luo X, Wang X. 1999. Biochemical pathways of caspase activation during apoptosis. Annu Rev Cell Dev Biol 15: 269-290 

  34. Kim EJ, Park SY, Shin HK, Kwon DY, Surh YJ, Park JHY. 2007. Activation of caspase-8 contributes to 3,3'-diindolylmethane-induced apoptosis in colon cancer cells. J Nutr 137: 31-36 

  35. Oliver FJ, de la Rubia G, Folli V, Ruiz-Ruiz MC, de Murcia G, Murcia JM. 1998. Importanc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its cleavage in apoptosis. Lesson form an uncleavable 

  36. Pulmmer ER. 2006. Inhibition of poly(ADP-ribose) polymerase in cancer. Curr Opin Pharmacol 6: 364-368 

  37. Ratnam K, Low JA. 2007. Current development of clinical inhibitors of poly(ADP-ribose) polymerase in oncology. Clin Cancer Res 13: 1383-1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