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맛 조미 김의 산화안전성 및 저장특성 연구
Oxidation Stability of Lavers Made with Garlic-Salt and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 2008년, pp.83 - 89  

전예숙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수진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화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된 마늘을 분쇄하고 비율을 달리하여 소금과 혼합하여 마늘 소금을 개발하였고, 배소 시 김에 도포하여 마늘맛 조미 김을 개발하여 1, 6, 12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 및 지방산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및 마늘 첨가량에 따른 일반성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늘 맛김의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alpha}$-tocopherol은 감소하였고 특히 마늘 33% 첨가 시 감소량이 가장 적었다. ${\gamma}$-Tocopherol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산 중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TBARS 함량 변화는 대조군이 크게 증가한 반면, 마늘 맛김에서는 산화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마늘 파우더 33% 첨가는 12주 후에도 조미 김의 TBARS 생성량을 강하게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33% 마늘 소금을 첨가한 김이 색과 향 면에서 대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마늘 소금으로 조미 김을 제조한 결과, 소금 대비 33%로 제조한 김이 다른 첨가군에 비교해 성분 및 관능적으로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oxidation stability, chemical compounds, and sensory for the garlic-salt laver, we prepared the garlic-salt lave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salt and garlic power. The lipid per oxidation of garlic-salt laver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formation of 2-thiobarbituric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5×20 cm의 김 한 장에 0.5 g의 옥수수유(신동방, 한국)를 잘 바르고 250℃에서 일차로 굽고, 이를 다시 0.3 g의 마늘 소금을 도포하여 380~400℃에서 15초간 2차로 구웠다.
  • 20~30세 남녀 50명의 관능검사 패널요원을 선정하여 제조한 마늘 조미 김의 종류와 저장기간에 따른 색, 냄새, 맛, 질감, 종합적인 맛에 대하여 scoring test 5점 척도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색, 냄새, 맛이 강하거나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가장 높은 점수는 5점 그리고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였다.
  • 건조된 마늘을 분쇄하고 비율을 달리하여 소금과 혼합하여 마늘 소금을 개발하였고, 배소 시 김에 도포하여 마늘맛 조미 김을 개발하여 1, 6, 12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 및 지방산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및 마늘 첨가량에 따른 일반성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색, 냄새, 맛이 강하거나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가장 높은 점수는 5점 그리고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였다. 관능검사는 오후 3시 같은 시각에 실시하였으며, 시료는 같은 그릇에 담아 제공하였고 한 개의 시료를 먹고 나면 반드시 물로 헹구어 맛을 없앤 후 다른 시료를 시식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 3 g의 마늘 소금을 도포하여 380~400℃에서 15초간 2차로 구웠다. 그 후 10장씩 압축 밀봉하여 상자에 넣어 실온에 보관하면서 1, 6, 12주 후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을 건조 분말 화 한 후 소금과 혼합하여 배소 시 김에 도포하여 마늘 조미 김을 제조한 후 저장과정 중 품질변화 및 지방산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 마늘 파우더를 33%, 50% 및 67%가 되도록 소금과 섞어 체로 고르게 쳐서 제조한 마늘소금을 김 제조 시 도포하여 제조한 마늘 맛 조미 김의 저장기간별 중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금만 뿌린 대조군은 1주 후 한 장당 4.
  • 색도측정: 색차계 Color reader(CR-300 Chroma Meter, Minolta Camera C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a, b, L 값을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값은 mean±SD로 표시하였다.
  • 준비된 마늘 파우더는 맛소금(백설, 한국)과 섞어 소금과 마늘 파우더 1:0(control), 소금과 마늘 파우더 2:1(GP33), 소금과 마늘 파우더 1:1(GP50) 소금과 마늘 파우더 1:2(GP67)의 비율로 혼합하여 고르게 체로 쳐서 마늘 파우더 첨가 소금을 제조하였다.
  • 중량변화 측정: 잘 밀봉하여 보관한 김을 무작위로 10장씩 선발하여 그 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값은 mean±SD로 표시하였다.
  • 지방산 분석: 김 10 g을 n-hexane을 가하여 추출 후 40℃에서 감압 농축한 시료 0.1 g에 n-hexane 5 mL 첨가 섞은 다음 2 N-KOH MeOH 100 μL 첨가하여 3,000 rpm에서 10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사용하여 GC(HP 5860, NY, USA)로 분석하였으며, 분석조건은 Table 1과 같다.

대상 데이터

  • 2006년산 태안 6쪽 마늘을 구입하여 동결건조(FD5508, Ilshin Lab Co., Ltd., Korea)한 후 분쇄기(M20, IKA, Staufen, Germany)로 분쇄하여 분말을 200 mesh로 제조하였다.

데이터처리

  • 3)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α=0.05 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본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는 각 군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저장기간별 마늘소금의 첨가량에 따른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AS program(V.
  •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을 때는 각 군별 차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 본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는 각 군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저장기간별 마늘소금의 첨가량에 따른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AS program(V.9)을 사용하여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분산분석에서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을 때는 각 군별 차이를 관찰하기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

이론/모형

  • 일반성분 분석: 시료의 일반성분은 AACC(12)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수분함량(AACC 44-15a)은 105℃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AACC 46-10), 조회분은 회화법(AACC 08-01)으로 측정하였다.
  • 일반성분 분석: 시료의 일반성분은 AACC(12)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수분함량(AACC 44-15a)은 105℃건조법, 조단백질은 Kjeldahl법(AACC 46-10), 조회분은 회화법(AACC 08-01)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에 존재하는 물질은?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어온 마늘은 우리나라의 경우 김치류의 부재료로 또는 각종 요리의 양념류로 오랫동안 애용되고 있다. 마늘 중에 존재하는 allicin, diallyl disulfide를 비롯한 thiosulfinates와 다수의 황화합물 등은 병원균의 억제에 효과가 클 뿐 아니라 암 예방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1, 2). 특히 마늘은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유용한 성분인 allicin(diallyl thiosulfinate)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혈전작용, 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및 노화방지 작용 등 건강 유지에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마늘의 생리기능에 더욱 주목하게 되었다(3,4).
마늘 성분 중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유용한 성분은? 마늘 중에 존재하는 allicin, diallyl disulfide를 비롯한 thiosulfinates와 다수의 황화합물 등은 병원균의 억제에 효과가 클 뿐 아니라 암 예방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1, 2). 특히 마늘은 생체기능을 조절하는 유용한 성분인 allicin(diallyl thiosulfinate)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혈전작용, 암세포 성장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및 노화방지 작용 등 건강 유지에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마늘의 생리기능에 더욱 주목하게 되었다(3,4).
김의 저장유통조건 등이 적당하지 않으면 나타나는 문제점은? 그러나 생산시기, 장소 및 제조방법에 따라 품질이 매우 다양하다. 또한 저장유통조건 등이 적당하지 않으면 품질이 쉽게 저하되어 색택이나 향미 등이 저하된다(8). 김은 저장 중 무엇보다 색택의 기본이 되는 색소성분의 변화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agourney R. 1998. Garlic: medicinal food or nutritius medicine. J Med Food 1: 13-28 

  2. Kamanna VS, Chandrasekhara N. 1994.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 J Sci Ind Res India 42: 353-357 

  3. Leelarungrayub N, Rattanapanone V, Chanarat N, Gebicki MG.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4. Stajner D, Milic N, Mimica-Dukic N, Lazic B, Igic R. 1998. Antioxidant abiliti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garlic. Phytotheraphy Research 12: S13-14 

  5. Shin DB, Hawer W, Lee YC. 2007.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yields and flavor compound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Technol 39: 276-282 

  6. Koo BK, Ahn MY, Lee KY. 1994.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garlic-seasoning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20-525 

  7. Choe EO. 2005. Changes of functional components present in lipid foods during cooki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42-758 

  8. Lee KH, Song SH, Jeong IH.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e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20: 408-413 

  9. Kim SJ, Moon JS, Kang SG, Jung ST. 2003. Extraction of porphyran from decolored lav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017-1021 

  10. Kim AJ, Yuh JS, Woo KJ, Kang YL, Lim YH, Kim MW, Kim MH. 2005. A study on the sensory evaluation and nutritional analysis of functional laver added with sericultur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0: 416-420 

  11. Chung HK, Choe CS, Chang MJ, Kang MH. 2003. Oxidative stability of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vored laver made by extracted oils. Korean J Food Culture 18: 89-95 

  12. AACC. 199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Minnesota, USA. 08-01, 10-10b, 38-10, 44-15A, 46-10, 50-11, 54-21, 54-30, 56-81B 

  13. Kikugawa K, Kunugi A, Kurechi T. 1990. Degradation of phenolic antioxidants.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New York, NY, USA. p65-98 

  14. Gardener HW, Eskins K, Grams GW, Inglett GE. 1972. Radical addition of linoleic hydroperoxide to $\alpha$ -tocopherol or the analogues hydroxychroman. Lipids 7: 324-334 

  15. Yoshida H, Tatsumi M, Kajimoto G. 1991. Relationship between oxidative stability of vitamin E and production of fatty acids in oils during microwave heating. J Am Oil Chem Soc 68: 566-570 

  16. Kajimoto G, Yoshida H, Shibahara A. 1989. Decomposition of tocopherol on oils by oxidative products (oxidized fatty acids) of vegetable oils, and the accelerating effect of fatty acid on the decomposition of tocopherol. J Jpn Soc Nutr Food Sci 42: 313-318 

  17. Andrikopoulos NK, Dedoussis GVZ, Falirea A, Kalogeropoulos N, Hatzinikola HS. 2002. Deterioration of natural antioxidant species of vegetable edible oils during the domestic deep-frying and fan-frying of potatoes. Int J Food Sci Nutr 53: 351-363 

  18. Gordon MH, Kourimska L. 1995. Effect of antioxidants on losses of tocopherols during deep-fat frying. Food Chem 52: 175-177 

  19. Choe E, Lee J. 1998.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and sesame oil mixture during frying of flour dough. J Food Sci 69: C574-578 

  20. Gebhardt B. 1996. Oils and fats in snack foods. In Bailey's industrial oil and fat products. 5th ed. Hui YH, ed. John Wiley&Snos., Inc., New York, NY. Vol 3, p412 

  21. Warner K, Mount TL. 1993. Frying stability of soybean and canola oils with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s. J Am Oil Chem Soc 70: 983-988 

  22. Subramanian R, Nandini KE, Sheila PM, Gopalakrishna AG, Raghavarao KS, Nakajima M. 2002. Membrane processing of used frying oils. J Am Oil Chem Soc 77: 323-328 

  23. Shyamala BN, Gupta S, Jyothi LA, Prakash J. 2005. Leafy vegetable extracts-antioxidant activity and effect on storage stability of heated oils. Innovative Food Sci Eng Technol 239-245 

  24. Gazzani G, Papetti A, Massolini G, Daglia M. 1998. Anti-and prooxidant activity of water soluble components of some common diet vegetables and the effect of thermal treatment. J Agri Food Chem 45-57 

  25. Bensmira M, Jiang B, Nsabimana, Jian T. 2007. Effects of lavender and thyme incorporation in sunflower seed oil on its resistance to frying temperatures. Food Res International 40: 341-346 

  26. Tomaino A, Cimino F, Zimbalatti V, Venuti V, Sulfaro V, De Pasquale A, Saija A. 2005. Influence of heating 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Food Chem 89: 549-554 

  27. Leelarungrayub N, Rattanapanone V, Chanrat N, Gebicki J.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