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 농축액 첨가 고추장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Dress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Maesil(Prunus mune) Concentrat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1, 2011년, pp.38 - 45  

이민수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박미란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정현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영양학과) ,  최수근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ensory acceptability of Gochujang dressing containing added Maesil (Prunus mune) concentrate. Gochujang dressing was blen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aesil concentrate (0%, 1%, 2%, 3%, 4%). Moisture contents, L, a, b values, pH level, and sugar contents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피로 회복과 항균 작용, 해독 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매실 농축액을 이용하여 고추장 소스를 개발하여,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매실 농축액 첨가 고추장 소스를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 001)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매실 추출액 첨가 고추장(Park et al 2007)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매실 농축액이 고추장보다 명도가 낮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낮아 푸른색을 띄는 것과 관계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그 기능성이 확인된 매실을 이용하여 레스토랑에서 판매되는 샐러드에 매실 농축액이 첨가된 고추장 소스를 이용하고, 우수한 전통 고추장을 이용할 수 있는 해산물․채소 전용 드레싱을 제조 평가하여, 고추장과 같은 매운 맛으로 세계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타바스코, 칠리, 살사보다 뒷맛을 개운하게 하여 매실 농축액을 고추장 소스에 첨가하는 방법을 통해 관능적 특성과 기호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5세기 초에 기록된 고추장에 대한 문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전통식품인 고추장은 역사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가 전래되어 200~300년 밖에 안 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실제 15세기 초에 ‘식료찬요’, ‘매계집’, ‘항약집성방’ 등 많은 문헌에서 고추장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닭이나 꿩을 지금의 닭볶음탕과 같이 고추장을 넣고 끓여 보약 음식으로 만들어 먹었던 기록이 있다. 따라서 고추장은 임진왜란 이전 600여 년 전에도 발효식품으로 이용되었다는 발표가 나왔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고추장의 역할은? 따라서 고추장은 임진왜란 이전 600여 년 전에도 발효식품으로 이용되었다는 발표가 나왔다(한국식품연구원 2008). 전통발효 식품인 고추장은 식생활에서 음식의 맛과 조화를 이루는 주요한 조미료의 역할을 한다(Shin et al 1996). 이에 발효 식품인 고추장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 또한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달라졌는데, 맛, 색, 향기와 같은 관능적 특성 못지않게 식품의 기능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Shin et al 1999).
매실 고추장 소스의 점도의 측정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매실 고추장 소스의 점도의 측정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매실 농축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점도는 478.23으로 가장 낮았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매실 농축액의 점도는 823.13으로 고추장 소스의 양에 대체되었기 때문에 기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매실 추출액 첨가 고추장(Lee & Lee 2006)의 경우, 매실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고추장의 점도는 낮아졌는데, 이는 고추장과 드레싱의 수분함량이 다른 데 따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미리 (2008) 식생활분야의 벤처상품화: 마늘샐러드 드레싱의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7: 192-198. 

  2. 김혜영, 김미리, 고봉경 (2006) 식품품질평가. 효일출판사, 서울. p 31. 

  3. 한국식품연구원 (2008) 고추는 과연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들어 왔는가? Food culture 1: 5-11. 

  4. Ahn MR, Jung DY, Hong SP, Song GS, Kim YS (2003)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ed with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29-234. 

  5. Bae TJ, Kim KE, Choi OS, Kim HS, Kang DS, Kim KS (2001) Changes of enzyme activi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of Life Science 11: 393-399. 

  6. Bang HY, Park MH, Kim G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Paecilomyces japonica from silkworm. Korean J Food Sci Thechnol 36: 44-49. 

  7. Choi SK, Shin KE, Jung HA, Park MR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so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59-768. 

  8. Choo JJ, Shin HJ (2000)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pumpkin-added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hechnol 32: 851-859. 

  9. Ha MH, Park WP, Lee SC, Choi SG, Cho SH (2006)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3: 196-203. 

  10. Hong SP, Kim EM, Jo KH (2004) Preparation of Gochuhang sauce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ulture 19: 239-249. 

  11. Hwang JY, Han JW, Nam SH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12. Kang MY, Jeong YH, Eun JB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 apricots (Prum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3. Kim HJ, Kim MR (2001)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ulture 16: 296-309. 

  14. Kim HY, Jo HA (2010) Evaluation of microbial quality of the vegetable salad used dressing added with Prunes mume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3: 240-246. 

  15. Kim YS, Park YS, L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s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hechnol 35: 893-897. 

  16. Lee EJ, Kim TH, Kim DR (2008)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Korean food items promo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729-736. 

  17. Lee Ji, Lee JH (2006) Quality chacteristics of Kochujang prepared with Maesil (Prunus mune) extract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22-628. 

  18. Lee KJ, Cho MS, Lee JM (2007)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food from 1980 to 2005. Korean J Food Culture 22: 289-298. 

  19. Lee SJ, Hong SP, Choi SY (2007) A cunsumer study of Gochujang produc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UK.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661-670. 

  20. Oh JY, Kim YS, Shin DH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ies of low-salted Kochujang added with horseradish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hechnol 37: 463-467. 

  21. Park CS, Jeon GH, Park CJ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added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2: 565-571. 

  22. Park KT, Baek JO, Chun SS (2009) Development of Gochujang sauce added concentrated pomegranate juic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47-55. 

  23.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7) Changes characteristics in kochujang fermented with Maesil (Prunus mune) powder or concentrate. Korean J Food Preserv 14: 378-384. 

  24.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owder and concentrate of Prumus mune. Korean J Food Preserv 15: 682-686. 

  25. Sheo HJ, Ko EY, Lee MY (1987) Effects of Prunus mune extract on experimentally alloxan induced diauetes in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6: 41-47. 

  26. Sheo HJ, Lee MY, Chung DL (1990) Effect of Prunus mun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9: 21-26. 

  27. Shim HJ, Shon CW, Kim MH, Kang EY, Kim MY, Lee KJ, Lee JH, Kim MR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paste salad dressing stored at two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92-98. 

  28. Shin DH, Kim DH, Choi U, Lim DK, Lim MS (1996) Studies on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52-156. 

  29. Shin HJ, Shin DH, Kwak YS, Choo JJ, Kim SY (1999)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be red ginseng ad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760-765. 

  30. Xhin Zao, Yang YH,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ilty characteristics of spirulina-added salad dressing. J East Soc Dietary Life 15: 292-2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