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및 중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간 관계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Early and Mid-adolescent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6 = no.96, 2008년, pp.95 - 105  

김진경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한유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The subjects were two hundred and eighty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and second grade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s about loneliness and other fac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 절차에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투입하여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매개변인 투입시 외로움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이 감소되는지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표 5>와 같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외로움에 관한 연구들이 외로움이 사회적 부적응의 지표라는 현상에 대한 기술적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외로움을 지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외로움을 예방하거나 극복하는데 기여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생활만족도가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결과를 통해, 청소년스스로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초기 청소년과 중기 청소년 간에 사회적지지, 만족도, 외로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사회적지지 및 만족도와 외로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간의 관계에 대해 만족도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시기에 있는 초기 청소년과 청소년기 중반에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사회적 지지망의 구도 차이, 만족도의 차이, 외로움의 차이에 대한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지지와 만족도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동일한 사회적 지지를 받는 청소년들이 삶에 대해 긍정적 으로 해석하고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느끼는 외로움이 달라지는지, 즉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청소년의 자아상과 관련된 내적 성격요인과 대인관계를 포함하는 외적 상황변인 중 한가지만으로 삶의 만족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 변인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 사는 공간에 대한 만족,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으로 구분하여 다차원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만족도는 사회적 지지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뿐 아니라, 외로움과도 직접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 1990; Cassidy & Asher, 1992; Crick & Ladd,1993) 등 사회적 관계망의 지지원과 외로움이 주로 개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부모, 교사, 친구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부모, 친구, 교사 지지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어떤 지지원이 청소년의 외로움과 더욱 큰 관련이 있는지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신체적, 정신적 발육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도 사춘기의 특성들이 발현되고 있음을 고려해볼 때, 초등학교 5학년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시기라고 가정할 수 있다.
  • 즉 동일한 정도의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경우에도, 청소년이 지각하는 만족도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다고 가정할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간의 관계에 대해 생활만족도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명과 중학교 2학년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돌리고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사회적지지 척도의 경우 내용의 혼동을 일으킬수 있는 문항을 수정하고 응답의 리커트 척도도 분명하게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수정하였다. 또한 교사지지 측정문항을 고안하였고 친구지지와 급우지지를 구분하지 않고 구성하였다.
  • 또한 청소년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자기 개념을 들 수 있는데(Harter, 1989), 심리적 사회적 발달의 여러 차원들에서 개인 스스로지각하는 긍정적, 부정적인 만족 정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이춘재․곽금주, 1994). 이에 청소년 시기가 특히 자기에 대한 평가에 민감하다는 전제하에, 외모, 능력, 사람됨의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자아상과 관련된 내적 성격요인과 대인관계를 포함하는 외적 상황변인 중 한가지만으로 삶의 만족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두 변인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 또한 신체적, 정신적 발육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도 사춘기의 특성들이 발현되고 있음을 고려해볼 때, 초등학교 5학년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시기라고 가정할 수 있다.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되는 초등학교 5학년의 외로움과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또한 청소년기 중반에 해당되는 중학교 2학년의 외로움과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각각 살펴보고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외로움을 관련된 사회적 관계망의 구도가 청소년기에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과도기적 시기에 있는 초기 청소년과 청소년기 중반에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사회적 지지망의 구도 차이, 만족도의 차이, 외로움의 차이에 대한 기술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사회적 지지와 만족도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동일한 사회적 지지를 받는 청소년들이 삶에 대해 긍정적 으로 해석하고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느끼는 외로움이 달라지는지, 즉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의 만족도는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자기 보호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청소년의 외로움을 경감시키고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가설 설정

  • 외로움에 대한 정의들을 살펴보면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다(Peplau & Perlman, 1982). 첫째, 외로움은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것이다. 둘째, 외로움은 객관적인 사회적 고립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결핍감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로움에 대한 정의들의 두가지 공통점은 무엇인가? 외로움에 대한 정의들을 살펴보면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다(Peplau & Perlman, 1982). 첫째, 외로움은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것이다. 둘째, 외로움은 객관적인 사회적 고립과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결핍감을 의미한다. 즉, 외로움은 자신의 대인관계에 대한 불만족감으로, 객관적으로 평가되는 것이라기 보다는 지극히 개인 내적인 감정으로 넓은 대인관계 안에서도 느낄 수 있는 사적인 정서라는 것이다 (Cassidy & Asher, 1992; Margalit, 1994).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이란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정서적 관계의 부족에서 느끼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고통스러운 정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사회적 관계에서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사회적 관계에서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이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Cohen & Hoberman, 1983). 청소년들은 사회적 지지를 통해 물질적, 정서적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받고, 실패에 대한 좌절을 극복하고 심리적 적응을 하게 되며, 다양한 변화와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문제해결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장미애, 1999; Dubow & Tisak,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광웅. 조유진. 정유진(2005). 어머니와의 애정적 유대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379-389 

  2. 김의철. 곽금주. 김영신(1998).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79-101 

  3. 김혜경(1999).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도현심(1996).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33-45 

  5. 박선영. 도현심(1997). 가족기능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229-244 

  6. 송종용(1988).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가 성취과제의 수행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7(1), 21-31 

  7. 이순형. 이영미(1997). 청소년의 가치지향과 생활만족의 관계-집합주의, 개인주의, 가족주의와 물질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4(1), 1-24 

  8. 이춘재. 곽금주(1994). 자기상으로 본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발달(I): 연령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7(2), 119-135 

  9. 장미해(1999). 중.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따른 스트레스 및 공격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최미경(2006). 아동의 또래 괴롭힘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7(4), 133-145 

  11. 최보가. 임지영(1999). 또래괴롭힘이 아동의 외로움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5), 111-121 

  12. 탁정미. 이주희(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7(1), 141-155 

  13. Asher, S. R., Parkurst, J. T., Hymel, S., & Williams, G. A. (1990). Peer rejection and loneliness in children. In S. R. Asher & J. D. Coie(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pp. 253-273).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Asher, S. R., & Wheeler, V. A. (1985). Children's loneliness: A Comparison of rejected and neglected status.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53, 500-505 

  15. Barrera, M. (1986). Distiction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 measures, and model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413-445 

  1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c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7. Bowen, G. L. & Chapman, M. V. (1996). Poverty, neighborhood danger, social support, and the individual adaption among at-risk youth in urban areas. Journal of Family Issues. 17(5), 641-666 

  18. Brennan, T. (1982). Loneliness in adolescence. In L. A. Peplau & D. Perlman(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pp. 269-290). N.Y.: Wiley-interscience 

  19. Cassidy, J., & Ahser, S. R. (1992). Loneliness and peer relations in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 350-365 

  2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21. Cohn, D. A., Patterson, C. J., & Christopoulos, C. (1991). The family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8, 315-346 

  22.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10-357 

  23. Crick, N. R. & Ladd, G. W. (1993).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eer experiences: Attributions,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social avoida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244-254 

  24. Dubow, E. F., & Tisak, J. (1989).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hild Development, 60(6), 1412-1423 

  25.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 1016-1024 

  26. Goldenberg, I. & Goldenberg, H. (1980). 김혁표. 김정택 공역(1988).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7. Harter, S. (1989). Causes, correlates and the functional of role of global self-worth: A life-span perspective. In J. Kolligan & R. Sternberg(Eds.), Perceptions of competence and incompetence across the life-spa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8. Kaiser, C. & Berndt, D. (1985). Predictors of loneliness in the gifted adolescent. Gifted Child Quaterly, 29, 74-77 

  29. Margalit, M. (1994). Loneliness amo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rapy, research, coping, and intervention. NY: Springer-Verlag 

  30. Matthews, G., Hillyard, E. J., & Campbell, S. E. (1999). Metacognition and maladaptive-coping as components of test anxiety. Clinical Psychology and Psycyotherapy, 6, 111-126 

  31.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611-621 

  32. Pelpau, L. A. & Perlman, D. (Eds.) (1982).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Y.: Wiley 

  33. Reynolds, M., & Wells, A. (1999). The thought control questionnaire-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linical sample, and relationships with PTSD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29, 1089-1099 

  34. Richman, J. M., Rosenfeld, L. B., & Bowen, G. L. (1998).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at risk of school failure. Social Work, 43(4), 309-323 

  35. Rusell, D., Peplau, L. A., & Cutrona, L.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480 

  36. Shaver, P. & Rubenstein, C. (1980).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 and adult loneliness, In L. Wheelar(Ed).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2-73).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37. Sullivan, H.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Y.: Norton 

  38. Teasdale, J. D.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emotion: The mind-in-place in mood disorders. In D. M. Clark, & C. G. Fairburn(Eds.), Science and practice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67-93,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39. Thoits, P. A. (1986).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416-423 

  40. Turner, R. J. (1981). Social support as a contingency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57-367 

  41. Weiss, R. S. (1973).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 MIT Press 

  42. Wethington, E., & Kessler, R. C. (1996).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 78-89 

  43. Wheeler, L., Reis, H., & Nezlek (1983). Loneliness, social interaction, and sex ro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4), 943-9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