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충포획성 Arthrobotrys속균에 의한 소나무재선충 포획 특성
Characteristics of Pinewood Nematode Trapping by Nematophagous Arthrobotrys spp.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6 no.2, 2008년, pp.153 - 162  

이각중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 ,  구창덕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과) ,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hrobotrys속 균은 불완전균으로 토양선충을 포획하는 살선충 곰팡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충포획성 균종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균사생장, 선충 포획기작의 특성, 그리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능력을 이해하여 살선충 효과가 높은 균종을 알고자 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a)에 접종해 증식시켰으며 여기에 Arthrobotrys속 3종 각각의 균사배양체 $1\;cm^2$씩 접종하고 배지, 온도, pH, 소나무재선충 접종밀도, 영양조건이 균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A. conoides의 생장이 가장 빨랐으며(13.9 mm/day, PDA) A. dactyloides가 가장 느렸다(3 mm/day, PDA). 3가지 균의 생장은 PDA배지, $25^{\circ}C$, pH 4.5의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A. conoides 균과 A. oligospora 균은 500마리의 재선충 접종으로 생장이 촉진됐으나, 10,000마리 접종으로는 느려졌다. A. dactyloides는 산성에서 생장하지 않았으며 재선충이 많을수록 더 느렸다. A. conoides와 A. oligospora의 선충포획기관은 균사보다 굵은 고리들의 망상 구조로서 선충 존재시만 형성되었으나, A. dactyloides의 포획기관은 단일한 원모양으로 선충이 없어도 형성되었다. A. conoides가 A. oligosora보다 포획기관 형성이 빨랐으며, 재선충 포획 후 균사가 재선충 내부로 침입하여 작고 많은 침입구(infection bulb)를 만들고 선충을 소화하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포획기관의 수가 적었고 포획도 하지 못하였다. A. conoides의 재선충 감염율은 95%였고, A. oligospora의 감염율은 80%였다. 그리고 위 두 균의 조합접종에 의한 선충감염율은 92%였다. 그러나 A. dactyloides는 오히려 재선충의 밀도를 증가시켰다. A. conoides 균은 빠른 생장률과 초기 포획으로, A. oligospora는 균밀도를 증가시켜서 재선충 감염율을 높였다. 결론적으로 A. conoides균은 균사생장률과 재선충감염율이 높으므로 소나무재선충의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wood nematode (PWN) trapping by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conoides, A. dactyloides and A. oligospora and the fungal growth were characterized. The three Arthrobotrys species each was inoculated into the PWN cultured on Botrytis cinera fungal colony on potato dextrose agar (PDA). The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전에 Nordbring-Hertz(1978)는 침입 후 선충 내부에 감염구(infection bulb)를 형성한다고 하였으며 Borrebaeck et al.(1985) 등과 같이 A. oligospora의 포획 기관에서 분리한 렉틴(lectin)과 그 수용체에 대해서 연구 하였다. 렉틴은 특별한 단백질로써 오직 포획기관에서만 발견되며 선충에서 나오는 렉틴의 수용체는 렉틴과의 친화성이 포획능력과 관련된다고도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rthrobotrys속의 대표적 살선충곰팡이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생장속도 및 살선충 기작을 알아보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능력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 Arthrobotrys속 균은 불완전균으로 토양선충을 포획하는 살선충 곰팡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충포획성 균종인 A. oligospora, A. dactyloides, A. conoides의 균사생장, 선충 포획기작의 특성, 그리고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감염 능력을 이해하여 살선충 효과가 높은 균종을 알고자 하였다. 소나무재선충은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a)에 접종해증식시켰으며 여기에 Arthrobotrys속 3종 각각의 균사배양체 1 cm2씩 접종하고 배지, 온도, pH, 소나무재선충 접종밀도, 영양조건이 균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산림에서 소나무류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우리나라 산림은 소나무류가 30%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소나무가 고급용재로 쓰이고 그 자태도 아름다워 조경수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금강송은 재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문화재 복원용으로 사용되며 숲의 공익적 기능과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림의 가치는 수십조에 이를 것이다.
금강송은 어떻게 사용되는가? 우리나라 산림은 소나무류가 30%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소나무가 고급용재로 쓰이고 그 자태도 아름다워 조경수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금강송은 재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문화재 복원용으로 사용되며 숲의 공익적 기능과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고려한다면 소나무림의 가치는 수십조에 이를 것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을 일으키는 소나무재선충의 크기와 전파 방식은 무엇인가? 하지만 이런 소나무들이 소나무재선충병으로 죽어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소나무재선충은 크기 20 µm×600~1000 µm인 선충의 일종으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전파되며(Mamiya and Enda, 1972) 소나무뿐만 아니라 해송과 잣나무 등에도 피해를 주고 감염된 소나무는 솔잎이 처지며 시들고 끝내 고사된다(Mamiya, 1982). 우리나라는 1988년 부산에서 최초 발생한 후 1997년부터 매년 피해가 확산되어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잣나무에 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국립산림과학원,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립산림과학원. 2006.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재선충과 솔수염하늘소. 산림청, 산림과학속보. 06-13. p .24 

  2. 국립산림과학원. 2007. 잣나무림에서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특성 및 방제전략. 산림청, 산림과학속보. 07-01. p. 12 

  3. 균류생물학번역위원회. 2006. 균류생물학 (Fungal biology by J. Deacon). 월드사이언스. 서울. pp. 358-363 

  4. 김동근, 배수곤, 신용습. 2001. 서식환경에 따른 선충잡이 곰팡이의 종류와 분포. 한국균학회지 29:123-126 

  5. 박용근. 1982. Arthrobotrys conoides의 선충포획기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6. 박현철. 1999. 뿌리혹 선충에 대한 선충포식성 곰팡이의 생물학적 방제효과 검정, 밀양대학교, 농지연보 3:57-60 

  7. 박희문. 2005. 기초균류학. 4판. 월드사이언스. pp. 427-431 

  8. 서울대학교. 2005. 주사전자현미경의 원리 및 생물학적 응용, 주사전자현미경의 워크숍 

  9. 최광식, 최원일, 신상철, 정영진, 이상길, 김철수. 2007. 신 산림해충도감.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신서 제 25호. 서울. p. 458 

  10. Barron, G. L. 1977. The nematode trapping fungi. Canadian Biological Publication Guelph. Ontario, Canada. p. 140 

  11. Barron, G. L. 1981. Parasites and predators of microscopic animals. pp. 167-199. In G. T. Cole and B. Kendrick, Eds. Biology of Conidial Fungi. vol. 2. Academic Press, New York 

  12. Barron, G. L. 2004. Fungal parasites and perdators of rotifer, nematodes and other invertebrates. pp. 435-450. In G. M. Mueller, G. F. Bills and M. S. Foster. eds. Biodiversity of Fungi Invertory and Monitoring Methods. Elsevier, A P. Amsterdam 

  13. Borrebaeck, C. A. K., Matiasson, B. and Nordbring-Hertz, B. 1985. A fungal lectin and its apparent receptors on a nematode surface. FEMS Microbiology Letters 27:35-39 

  14. Chen, T.-H. 2001. Heterotrimeric G-protein and signal transduction in the nematode trapping fungus Arthrobotrys dactyloides. Planta 212:858-863 

  15. Cooke, R. C. and Godfrey, B. E. S. 1964. A key to the nematode destroying fungi. Trans. Brit. Mycol. Soc. 47:61-74 

  16. Couch, J. N. 1937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ps in the nematode catching fungus, Dactylella bembicodes, Drechsler, Jour. Elisha Mitchell Sei. Soc. 53:301-309 

  17. Duddington, C. L. 1956. The predaceous fungi : Zoopagales and Moniliales. Biol. Rev. 31:152-193 

  18. Duddington, C. L. 1954. Nematode destroying fungi in agricultural soil. Nature 168:38-39 

  19. Estey, R. H. and Olthof, H. A. 1965. The occurrence of nematophagous fungi in Quebec. Phytoprotection 46:14-17 

  20. Gray, N. F. 1983. Ecology of nematophagous fungi. pp. 501-509 

  21. Higgins, M. L. and Pramer, D. 1967. Fungal Morphogenesis: Ring formation and closure by Arthrobotrys dactyloides. Science 155(3760):345-346 

  22. Kobayasi, T. 1975. The pinewood nematode, fungi and their vector pine sawyer. Forest Pests 24:199-202 

  23. Kumar, D. and Singh, K. P. 2005. Effect of Fertilizers and Neem Cake Amendment in soil on spore germination of Arthrobotrys dactyloides. Mycobiology 33:194-195 

  24. Mamiya, Y. 1982. Ecology and pathology of the pinewood nematode. For. Pests 183-223 

  25. Mamiya, Y. and Enda, N. 1972. Transmission of Bursaphelenchus lignicolus N. sp by Monochamus alternatus. Nematologica 18:159-162 

  26. Migunova, V. D. and Byzov, B. A. 2005. Determinant of trophic modes of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interacting with bacterivorous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Pedobiologia 49:101-108 

  27. Nansen, P., Gronvold, J., Henriksen, S. A. and Wolstrup, J. 1988. Interactions between the predaci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and third-stage larvae of a series of animal prasitic nematodes. Vet. Parasitol. 26:329-337 

  28. Nordbring-Hertz, B. 1973. Peptide-induced morphogenesis in the nematode trapping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Physiol. Plant 29:223-233 

  29. Nordbring-Hertz, B. 1978 Attraction of nematodes to living mycelium of nematophagous fungi. pp. 89-93 

  30. Persson, Y. and Beath, E. 1992. Quantification of mycoparasitism by the nematode-trapping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on Rhizoctonia solani and the influence of nutrient levels. FEMS Microbiology Ecology 101:11-16 

  31. Singh, R. K., Kumar, N. and Singh, K. P. 2005. Morphological variations in conidia of Arthrobotrys oligospora on different media. Mycobiology 33:118-120 

  32. Tunlid, A., Jansson, H. B. and Nordbring-Hertz, B. 1992. Fungal attachment to nematodes. Mycol. Res. 96:401-412 

  33. Veenhuis, M., Nordbring-Hertz, B. and Harder, W. 1985. An ultrastructural study of cell-cell interactions in capture organs of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FEMS Mocrobiology Letters 30:93-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