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 유통쌀의 품질 특성 비교
Quality of Jeonbuk-originated Brand Rice Compared with Other Domestic Brands and Imported Market Ri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3 no.4, 2008년, pp.347 - 352  

송영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조승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권영립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최동칠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북 유통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쌀과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북유통브랜드 쌀의 품종은 일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외 신동진, 일본계 품종, 여러 품종이 섞인 일반계 품종이었다. 2. 전북우수브랜드와 전북 외 우수브랜드 쌀의 시기별 품질변화에서 완전미율과 맛에 영향을 주는 수분함량, 식미값 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완전미율은 전북 우수브랜드 쌀 95.3%, 전북 외 우수브랜드 쌀 94.2% 전북일반브랜드 쌀 89.1%였으며 전북우수브랜드 쌀과 전북 외 우수 브랜드 쌀은 동등한 품질을 나타내었다. 3. 국내쌀과 수입쌀의 외관특성 비교에서 국내쌀의 장폭 비는 1.87로 미국산 수입쌀이나 태국산 수입쌀의 2.24, 3.33 보다 작았으며 수입(중국)쌀 장폭비는 1.84로 국내쌀과 같은 단립종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4. 국내쌀의 단백질함량은 6.2%로 미국산 수입쌀 6.1%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고 완전미 함량도 90%이상이었다. 5. 전분호화 특성을 알아 본 결과 최고점도는 중국산 찐 쌀이 가장 낮았고 치반점도, 최종점도 등은 태국산 수입쌀이 가장 높았다. 6. 국내쌀과 수입쌀을 비교한 취반특성은 취반미의 식미를 결정짓는 요인 중의 하나인 부착성(Ad)/경도(H)의 비가 국내쌀과 미국산 수입쌀이 높았으며 태국산 수입쌀이 가장 낮았다. 7. 국내쌀과 밥쌀용으로 국내에 유통된 수입쌀 비교에서 외형적 형태는 미국산 수입쌀과 차이가 났지만 품질은 동등하였고 중국산 수입쌀과 찐쌀의 품질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quality of Jeonbuk-originated brand rice by comparing with other domestic brand rices and imported market rices. Rice variety, "Ilmi" was a major portion of brand rices in Jeonbuk region, and in few portion, there were variety-mixed brands, Shindongjin, K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전북 쌀은 전국 생산량의 15%(전국 3위), 유통량의 31%(전국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쌀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정하고 있으나 브랜드 관리는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유통브랜드 쌀의 계절별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여 쌀의 고급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 전라북도 지역유통브랜드 쌀의 품질특성 연구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최소시장 접근물량(MMA)으로 국내시장에 의무적으로 유입되는 외국의 밥쌀용 쌀과 국내쌀의 품질 비교를 통하여 국제 쌀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본 자료를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 유통브랜드 쌀의 계절별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여 쌀의 고급화와 브랜드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 전라북도 지역유통브랜드 쌀의 품질특성 연구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최소시장 접근물량(MMA)으로 국내시장에 의무적으로 유입되는 외국의 밥쌀용 쌀과 국내쌀의 품질 비교를 통하여 국제 쌀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본 자료를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6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얼마인가? 건강에 대한 관심과 맞벌이 부부 증가로 육류, 과채류 및 곡물가공품(국수, 라면, 즉석밥, 씨리얼식품) 등의 소비확대로 식생활 방식이 다양화, 편의화 됨에 따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88.9 kg(2001)에서 78.8 kg(2006)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통계청, 2007). 쌀 생산량 역시 552만톤(2001)에서 468만톤(2006)으로 감소하였고 이제는 양적 확보보다 질적 개선에 힘을 기울어야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2005년 국내 유통브랜드 쌀의 완전미율은 얼마인가? 그 동안 고품질 쌀 생산과 수확 후 관리 등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내 유통브랜드 쌀은 57.4%(2000)에 불과하던 완전미율이 88%(2005)까지 증가하여 브랜드 쌀 관리를 통한 품질 고급화가 이루어져 가고 있다(김 등, 1998; 김 2002, 김 등, 2002; 손 등, 2002; 최 등, 2002; 농진청, 2001). 그러나 관세화 유예로 인한 밥쌀용 수입쌀의 국내유통으로 과잉 생산된 쌀에 대한 판로를 걱정하는 생산 농가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 유통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쌀과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무엇인가? 전북 유통브랜드 쌀과 국내 및 수입쌀과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북유통브랜드 쌀의 품종은 일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외 신동진, 일본계 품종, 여러 품종이 섞인 일반계 품종이었다. 2. 전북우수브랜드와 전북 외 우수브랜드 쌀의 시기별 품질변화에서 완전미율과 맛에 영향을 주는 수분함량, 식미값 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완전미율은 전북 우수브랜드 쌀 95.3%, 전북 외 우수브랜드 쌀 94.2% 전북일반브랜드 쌀 89.1%였으며 전북우수브랜드 쌀과 전북 외 우수 브랜드 쌀은 동등한 품질을 나타내었다. 3. 국내쌀과 수입쌀의 외관특성 비교에서 국내쌀의 장폭 비는 1.87로 미국산 수입쌀이나 태국산 수입쌀의 2.24, 3.33 보다 작았으며 수입(중국)쌀 장폭비는 1.84로 국내쌀과 같은 단립종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4. 국내쌀의 단백질함량은 6.2%로 미국산 수입쌀 6.1%와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고 완전미 함량도 90%이상이었다. 5. 전분호화 특성을 알아 본 결과 최고점도는 중국산 찐 쌀이 가장 낮았고 치반점도, 최종점도 등은 태국산 수입쌀이 가장 높았다. 6. 국내쌀과 수입쌀을 비교한 취반특성은 취반미의 식미를 결정짓는 요인 중의 하나인 부착성(Ad)/경도(H)의 비가 국내쌀과 미국산 수입쌀이 높았으며 태국산 수입쌀이 가장 낮았다. 7. 국내쌀과 밥쌀용으로 국내에 유통된 수입쌀 비교에서 외형적 형태는 미국산 수입쌀과 차이가 났지만 품질은 동등하였고 중국산 수입쌀과 찐쌀의 품질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15-23 

  2. Choi, Y. H., J. I. Choung, H. K. Park. J. H. Kim, K. Y. Kim, M. S. Shin, J. K. Ko, and J. G. Kim. 2005. Rice quality of circulated brand rices about different regional production in korea. Korean J. Crop. Sci. 50(S1) : 242-243 

  3. Chun, A. R., E. J. Jeong, Y. H. Choi, K. J. Kim, and J. S. Lee. 2006. Grain quality of imported steam-rice. Korean J. Crop. Sci. 51(S) : 7-11 

  4. Kim, J. H., J. I. Lee, H. K. Kang, J. R. Son, and J. K. Kim. 2002. Comparison of milled rice appearance among rice brands in korea and major rice production countries. Kor. J. Intl. Agri. 14(2) : 100-104 

  5. Kim, K. J., S. L. Kim, J. Song, J. R. Son, H. K. Hwang, J. C. Choi, H. C. Choi, Y. K. Choi, and Y. K. Min. 2001. Physiochemical and milling characteristics of paddy rice with the harvesting tim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3): 179-184 

  6. Min, B. J., S. H. Hong, and M. K. Shin. 1992. Optimum ratios of added water for rice cooking at different amount of rice cont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6) : 623-624 

  7. Newport Scientific Pty. Ltd. 1988. Applications manual for the rapid visco analyser. : 13-15 

  8. Oh, K. S., H. S. Na, Y. S. Lee, K. Kim, and S. K. Kim. 2002. Texture of cooked milled added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 :213-219 

  9. Okabe, M. 1979.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ating quality. J. Texture Std. 10 : 131-152 

  10. Son, J. R., J. H. Kim, J. I. Lee, Y. H. Youn, J. K Kim, H. G. Hwang, and H. P Moon. 2002. Trend and further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ation. Korean J. Crop. Sci. 47(S) : 33-54 

  11. Song, J., C. K. Lee, A. R. Chun, D. Y. Song, J. C. Kim, and J. R. Son. 2004. Quality among rice brands in korea and major rice production countries. Korean J. Crop. Sci. 49(S2) : 240-241 

  12. Song, Y. J., S. J. Kwon, K. N. Oh, J. S. Choi, and Y. K. Choi. 2003. Comparison of Mechanical Taste Value and Quality Properties on Commercial Brand Rice Produced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Crop. Sci. 48(S1) : 353 

  13. Won, J. G., D. J. Ahn, S. J. Kim, S. D. Park, K. B. Choi, S. C. Lee, and J. K. Son. 2005. Comparison of grain quality between chinese parboiled and domestic rice. Korean J. Crop. Sci. 50(S) : 19-23 

  14. 김광호, 체재천, 임무상, 조수연, 박내경. 1998. 쌀 품질의 연구 현황, 문제점 및 방향. 한국작물학회지. (품질연구 1호) : 1-17 

  15. 김동철. 2002.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확 후 관리기술. 국제 쌀 박람회 국제 학술 심포지엄. pp. 54-63 

  16. 농산물유통공사. 2006. 수입쌀정 

  17. 농촌진흥청. 2001. 고품질 쌀 생산기술. p. 14 

  18. 통계청. 2007. 2006양곡년도 가구부문 1인당 쌀 소비량. p. 4 

  19. 한국작물학회.작물과학원. 2004. 작물의 유용 성분 분석 및 평가. pp. 277-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