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12 = no.104, 2008년, pp.1700 - 1704  

박성민 ((주)코씨드바이오팜 기술연구소) ,  이계원 (건양대학교 제약공학과) ,  조영호 (건양대학교 제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MMP-1 활성 저해효과 및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황 추출물의 DPPH radicals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 소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와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각각 20 ${\mu}g$/ml에서 72%와 80% 정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 저해효과 측정에서 대황 추출물은 1 ${\mu}g$/ml에서 약 79.5%로 매우 우수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의 MMP-1 활성 저해효과는 20 ${\mu}g$/ml에서 약 70%의 우수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MMP-1 활성 저해효과와 자외선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heum undulatum L. has been commonly used as a cure for hematemesis, dropsy, and haematuria in the Oriental medicine for a long time. The main constituents of R. undulatum are chrysophanol and emodin, which are an antioxidative substance that has an anthraquinone structure. In the present study,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MMP-1 활성 저해효과 및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황 추출물의 DPPH radicals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 소거효과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와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각각 20 μg/ml에서 72%와 80% 정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MMP-1의 활성 저해 효과 및 자외선 A에 의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에서 MMP-1 생성 억제효과 등을 관찰하였고,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항노화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노화란 무엇인가?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인자로는 기후, 흡연, 공해, 자외선 등이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photoaging)라고 한다. 자외선은 피부 세포 내에 유해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시키고, 이 활성산소종은 피부 세포에서 불포화 지방산, 단백질, DNA 등의 고분자 물질들과 반응하여 피부 콜라겐 등의 결합조직 형성 파괴, 세포막 기능저해, DNA 변이촉진, 단백질 작용변형 등을 유발하므로 피부 노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14].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인자로는 무엇이 있는가?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인자로는 기후, 흡연, 공해, 자외선 등이 있으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photoaging)라고 한다. 자외선은 피부 세포 내에 유해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시키고, 이 활성산소종은 피부 세포에서 불포화 지방산, 단백질, DNA 등의 고분자 물질들과 반응하여 피부 콜라겐 등의 결합조직 형성 파괴, 세포막 기능저해, DNA 변이촉진, 단백질 작용변형 등을 유발하므로 피부 노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14].
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어떻게 주름과 탄력저하 및 피부 처짐의 원이이 되는가?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활성 중심부에 아연을 갖는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현재까지 약 20 여종 이상의 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특히 MMPs는 피부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 섬유아세포(fibroblasts)를 비롯한 많은 세포들로부터 분비되어 지지 구조체인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구성요소들을 가수분해 함으로서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결합조직을 파괴하여 주름과 탄력저하 및 피부 처짐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Brenneisen 등[2]은 자외선 조사와 활성 산소종에 의해 피부내의 MMPs 활성이 증가되어 진피층 내의 콜라겐 등과 같은 세포 외 기질들의 붕괴에 영향을 미치며, MMPs가 광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 Brenneisen, P.,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2002. Ultraviolet-B irradi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from induction via signaling to initial events. Ann. N.Y. Acad. Sci. 973, 31-43. 

  3. Cadenas, E. 1989. Biochemistry of oxygen toxicity. Annu. Rev. Biochem. 58, 79-110. 

  4. Cho, Y. H., G. S. Sim, J. H. Kim, S. M. Park, B. C. Lee, H. B. Pyo, Y. P. Yun and H. D. Park. 2004. Effect of Melothria heterophylla extract on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 in human skin fibroblasts. Yakhak Hoeji. 48, 358-363. 

  5. Chung, J. H., S. W. Kang, J. Varani, J. Lin, G. J. Fisher and J. J. Voorhees. 2000. Decreased extracellular-signal regulated kinase and increased stress-activated MAP kinase activities in aged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5, 177-182. 

  6. Davies, K. J. 1987.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s. J. Biol. Chem. 262, 9914-9920. 

  7. Furuno, K., T. Akasako and N. Sugihara. 2002. The contribution of the pyrogallol moiety to the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lavonoids. Biol. Pharm. Bull. 25, 19-23. 

  8. 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363. 

  9. Jung, H. A., H. Y. Chung, T. Yokozawa, S. K. Kim and J. S. Choi. 2004. Alaternin and emodin with hydroxyl radical inhibitory and/or scavenging activities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G2 cells. Arch. Pharm. Res. 27, 947-953. 

  10. Kitahara, A., U. Matsumoto, H. Ueda and R. Ueoka. 1992.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xidation of $\gamma$ -irradiated methyl linolate. Chem. Pharm. Bull. 40, 2208-2209. 

  11. Kochanek, S. K., M. Wlaschek, K. Briviba and H. Sies. 1993. Singlet oxygen induces collage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 FEBS Lett. 331, 304-306. 

  12. Kondo, S. 2000. The roles of cytokines in photoaging. J. Dermatol. Sci. 23, S30-S36. 

  13. Kuppusamy, P. and J. L. Zweier. 1989. Characterization of free radical generation by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64, 9880-9884. 

  14. Lavker, R. M. and A. M. Kligman. 1988. Chronic heliodermatitis: a morphologic evaluation of chronic actinic dermal damage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mast cells. J. Invest. Dermatol. 90, 325-330. 

  15. Masaki, H.,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6.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 assay. J. Immunol. Methods 65, 55-59. 

  17. Oh, S. J., N. I. Beak and H. Y. Kim. 2001. Piceatannol,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 of Rheum undulatum 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208-210. 

  18. Park, J. H. 2002. The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Shinilbooks Publications, Seoul, pp. 180-184. 

  19. Shah, C. S., J. S. Qadry and J. G. Bhatt. 1972.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anthraquinone derivatives in Indian thubarb. Plant Med. 22, 103-108. 

  20. Wang, Y., A. R. Johnson, Q. Z. Ye and R. D. Dyer. 1999. Catalytic activities and substrate specificity of the human membrane type 4 matrix metalloproteinase catalytic domain. J. Biol. Chem. 274, 33043-33049. 

  21. Wlaschek, M., K. Brviba, G. P. Stricklin,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1995. Singlet oxygen may mediate the ultraviolet A induced synthesis of interstitial collagenase. J. Invest. Dermatol. 104, 194-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