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황의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Rheum undulatum L. Extracts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4, 2011년, pp.357 - 363  

김정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찬하 (한성과학고등학교) ,  오대석 (한성과학고등학교) ,  이승연 (한성과학고등학교) ,  장세훈 (한성과학고등학교) ,  홍지연 (한성과학고등학교) ,  민혜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수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원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박수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나노바이오화장품연구실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황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황 추출물들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FSC_{50}$)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아글리콘 분획의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은 $0.265\;{\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의 rose-bengal로 증감된 $^1O_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757.0 min으로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황 추출물 중 아글리콘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IC_{50}$)은 $11.20\;{\mu}g/mL$으로 $226.88\;{\mu}g/mL$알부틴(arbutin)보다 큰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대황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현저한 항산화작용 및 큰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로부터 이들 분획 또한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Rheum undulatum (R.undulatum) L. extracts were investigated. 50 %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of R. undulatum L. were used in experiment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각종 ROS가 생성되는 Fe3+-EDTA/H2O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과 1O2으로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항산화 작용은 보고되어 있지 않았기에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좀 더 직접적으로 피부 손상과 연관된 대황의 항산화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 등 3가지 분획 대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 중에는 항산화[16,18]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에 관한 연구[19,20]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각종 ROS가 생성되는 Fe3+-EDTA/H2O2 계에서의 총항산화능과 1O2으로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항산화 작용은 보고되어 있지 않았기에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좀 더 직접적으로 피부 손상과 연관된 대황의 항산화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 등 3가지 분획 대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 라디칼 설에 의하면 활성산소종은 무엇에 의해 생성되는가? 광 노화에 대한 여러 이론들 중 자유 라디칼 반응(free radical theory)에 의해 노화가 진행된다고 주장하는 자유 라디칼 설은 오랜 기간 다양한 연구로 인해 많은 근거가 뒷받침된 이론이다[5-7]. 자유 라디칼 설에 의하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방사선, 자외선 등에의 노출, 대기오염 물질, 체내의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ROS는 피부의 많은 조직들을 산화시키고 MMPs 등의 효소 생성을 과발현시켜 피부 구성 물질의 분해를 촉진 시킨다.
피부가 노화하는 원인에는 무엇을 들 수 있는가? 피부가 노화하는 원인으로 크게 내인성 노화와 광 노화를 들 수 있다[1]. 이 중 시간에 의한 자연적 현상인 내인성 노화를 제외하고, 광범위한 연구가 광 노화에 집중되고 있다[2-4].
활성산소종은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가? 자유 라디칼 설에 의하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방사선, 자외선 등에의 노출, 대기오염 물질, 체내의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ROS는 피부의 많은 조직들을 산화시키고 MMPs 등의 효소 생성을 과발현시켜 피부 구성 물질의 분해를 촉진 시킨다. 사람의 피부에는 ROS와 같은 산화적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항산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데, ROS가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이러한 항산화 네트워크를 망가뜨리고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있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 Yaar and B. A. Gilchrest, Photoageing: mechanism, prevention and therapy, Br. J. Dermatol., 157(5), 874 (2007). 

  2. K. Scharffetter-Kochanek, P. Brenneisen, J. Wenk, et al., Photoaging of the skin from phenotype to mechanisms, Experimental Gerontology, 35(3), 307 (2000). 

  3. S. Kondo, The roles of cytokines in photoaging, J. Dermatol. Science, 23(1), S30 (2000). 

  4. H. K. Choi, D. H. Kim, J. W. Kim, S. Ngadiran, M. R. Sarmidi, and C. S. Park, Labisia pumila extract protects skin cells from photoaging caused by UVB irradiation, J. Biosci. Bioeng., 109(3), 291 (2010). 

  5. D. Harman,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utat. Res., 275, 257 (1992). 

  6. B. T. Ashok and R. Ali, The aging paradox: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Experimental Gerontology, 34, 293 (1999). 

  7. A. P. Wickens, Ageing and the free radical theory, Respiration Physiology, 128, 379 (2001). 

  8. T. F. Slater, Free 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Biochem. J., 222, 1 (1984). 

  9. S. I. Oh, Effect of melatonin on rat skeletal muscles of oophorectomized rat : oxidative stress and anti of oophorectomized rat :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Kor. J. Gerontol., 12, 1 (2002). 

  10. S. I. Kim, Y. J. Ahn, E. H. Kim,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and isolation of active ingredie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59 (2009). 

  11. J. H. Michael and E. D. Frederick, An epigenetic perspective on the free radical theory of development, Free Radic. Biol. Med., 43, 1023 (2007). 

  12. L. C. Magdalena and Y. A. Tak, Reactive oxygen species, cellular redox systems, and apoptosis, Free Radic. Biol. Med., 48, 749 (2010). 

  13. H. Masaki, Role of antioxidants in the skin : Anti-aging effects, J. Dermatol. Sci., 58, 85 (2010). 

  14. H. Masaki,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s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 (1995). 

  15. J. H. Park, The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180, Shinilbooks Publication, Seoul (2002). 

  16. S. J. Oh, N. I. Beak, and H. Y. Kim, Piceatannol,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 of Rheum undulatum L.,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3), 208 (2001). 

  17. S. M. Kwon, D. H. Kim, T. H. Chang, M. G. Jeon, I. S. Kim, and I. H. Kim, Screening of antifungal medicinal plants for turfgrass fungal disease control, Kor. Turfgrass Sci., 24(2), 176 (2010). 

  18. S. M. Park, G. W. Lee, and Y. H. Cho,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i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J. of Life Sci., 18(12), 1700 (2008). 

  19. J. W. Lee, J. S. Lee, and J. S. Lee,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wrinkle elastase inhibitor from Rheum undulatum L., Korean J. Food & Nutr., 21(2), 143 (2008). 

  20. J. C. Lee and K. J. Kim, The effect of elastase inhibition and tyrosinase by Rheum undulatum stokes extracts, The J. of Kor. Ori. Med. Oph. & Oto. & Derma., 22(3), 36 (2009). 

  21.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