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용사들의 작업환경과 호흡기 자각증상과의 관련요인
The Related Factor on a Work Environment of Hairdressers and a Subjective Symptom of Respiratory Orga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7 no.6, 2008년, pp.1215 - 1224  

이계숙 (호원대학교 패션뷰티학부) ,  이명희 (송호대학 뷰티케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measured the indoor environment of thirty hair salons, which are located on Gunsan-Si, Jeonlabbuk-Do, from April 1st to April 30th 2005, to examine the related factors on a work environment of hairdressers and a revelation of respiratory symptom, and has polled 260 hairdresser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용산업이 발달하면서 작업의 특성상 다루어지는 많은 화학물질의 이용 또한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미용사의 건강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므로, 미용업에 종사하고 있는 미용사들의 작업환경 및 작업 특성과 호흡기 증상과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박성희, 엄상화(1999).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11(3), 385-392. 

  2. 김윤신(1999).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환경부용역보고서, 76-85. 

  3. 김윤신(1993).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소고, 한국대기보건학회지, 9(1), 33-43. 

  4. 김종헌(2001). 지하상가의 실내공기질 평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광석(1987). 위생접객업소의 실내공기 오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일성(1992). 대전지역 지하상가 공기오염도 및 종사자들의 자각증상.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정균, 윤재웅(2003). 다중공중이용시설의 실내환경 관리 수준과 영향요인의 분석. 환경관리학회지, 9(1), 49-56. 

  8. 신승철(2003). 치과 기공사의 호흡기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학위논문. 

  9. 양미경, 김선미, 송선영, 정지숙(2003). 미용관계법규. 정문각. 

  10. 이경희, 윤재옥, 정재국(1997). 사무소 건물의 실내공기환경을 고려한 자연환기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6), 185-195. 

  11. 이명선, 문인옥, 박경옥, 오영아(2005).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작업환경 인지도의 변화; 1998년과 2003년 전국 근로자 건강실태 표본조사 비교분석. 대한보건연구, 31(1), 55-64. 

  12. 이승제(1987). 서울시 서어비스 업소의 실내공기에 관한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 대학원. 

  13. 이양근(2004). 생활습관과 호흡기질환. 대한내과학회지, 66(1), S58-S62. 

  14. 이정재, 김석근, 최석용(2005). 부산지역의 신축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21(6), 175-182. 

  15. 임병철(2000). 우리나라 치과기공사의 직업성 질병과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유의경, 황인철, 이미령(1998). 부산지역 미용실의 실내공기오염. 보건과학연구소 8, 101-112. 

  17. 윤동원(1995). 세계 각국의 실내환경에 관한 오염물질과 필요환기량 기준. 한국온열환경학회지, 2(2), 71-82. 

  18. 장태현, 조현욱(2005).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29(5), 540-551. 

  19. 정희선(2001). 치과기공사들의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호소율 및 관련요인.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희선, 이무식, 김남송(2002). 치과기공사들의 호흡기 자각증상 및 관련요인.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8(2), 174-187. 

  21. 특수건강진단기술협의회(1999).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 제3권 유해인자별 건강장애. 

  22. Gamboa PM. de la Cuest CG, Garcia BE, Castillo JG, Oehling A(1989). Late asthmatic reaction in a hairdresser, to inhalation of ammonium persulfate salts. Allerologia et immunopathologia, 17, 109-111. 

  23. Coppieters Y, Piette D(2004). Targeting pupils at risk of occupational asthma.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5, 136-141. 

  24. Hollund BE, Moen BE, Lygre SH, Florvaag E, Omenaas E(2001). Prevalence of airway symptoms among hairdressers in Bergen, Norway. Occup Environ Med, 58, 780-785. 

  25. Jan F, van der Wal Ank, W Hoogeveen, Andre M, M Moons, Paul Wouda(1997). Investigation On the exposure of hairdressers to chemical agents. Environment International, 23(4), 433-439. 

  26. John EM, Savitz DA, Shy CM(1994). Spontaneous abortion among cosmetologists. Epidemiology, 5, 147-155. 

  27. Last J(1983)A. Health effects of indoor Air Pollution: Synergistic effects of nitrogen dioxide and respirable aerosol. Environment International, 9(4), 319-322. 

  28. Leena M, Jouni J, Olli S(1992). The Effect of Air Humidification on Symptoms and Percep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Office. Arch. Of Env. Health, 47(1), 8-15. 

  29. Leino T, K?hko?nen E, Saarinen L, Onos T(1999).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in Hairdressing Salons. Appl Occup Environ Hyg, 14, 26-33. 

  30. Lund J, Rice C(1992). In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Experience with a Questionary Survey Instrument. Appl. Occup. Envire. Hyg, 7(10), 682-688. 

  31. Marie-Louise Lind(2005). Dermatitis in Hairdressers as a Problem in Chemical Control. Ann. Occup. Hyg. 49(6), 457-459. 

  32. Micheal D, Douglas S(1992). Indoor Air '90: Health Effects Associated with Indoor Air Contaminants. Arch. of Env. Health, 7(1), 6-7. 

  33. Pearce N(1992). Increasing incidence of Non-Hodgkin's lymphoma: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an Res, 52(Supplment): 5496s-5500s. 

  34. Schwarts HJ, Arnold JL, Strohl KP(1990). Occupational allergic rhinitis in the hair care industry. Reactions to permanent wave solutions. J Occ Med, 32, 473-475. 

  35. Steineck G. Plato N, Norell SE, Hogstedt C(1990). Urothelial cancer and some industry-related chemicals: Anevaluation of the epidemiologic literature. Am J Ind Med, 17, 371-391. 

  36. Stock L, Cone (1998)J. Barbering and cosmetology in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4th ed.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00, 5-9. 

  37. Van der Walle HB, Brunsveld VM(1994). Dermatitis in hairdressers. Contact Dermatitis, 30, 217-221. 

  38. Zahm SH, Weisenburger DD, Babbitt PA, Sall RC, Vaught JB & Blair A(1992). Use of hair coloring products and the risk of lymphoma, multiple myeloma, and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Am J Public Health, 82, 990-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