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겨릅나무에서 분리한 salidroside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alidroside Isolated from Acer Termentosum Max on D-galactosamin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2 no.6, 2008년, pp.1525 - 1531  

김성훈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박희준 (상지대학교 제약공학과) ,  최종원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er tegmentosum Max which is one of the specialized wildness medicinal herbs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widely used for hepatitis, liver cirrhosis, hepatic cancer, leukemia, diabetes mellitus, renal necrosis and edema, etc.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in vi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겨릅나무는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한약제로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특히 강원도를 위시한 고랭지에 서식하는 작목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산겨릅나무의 효능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in vitro에서 DPPH 소거활성, 지질과산화형성 저해효과 및 in vivo에서 D-GaIN 유발 간장해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D-GaIN은 기능과 형태에서 있어서 바이러스성 간염과 유사한 간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25).
  • 이에 본 실험에서는 산겨릅나무에서 분리한 추출물 및 분리한 단일화합물의 간보호작용을 검색하고 그 기전을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간보호 약물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간독성물질을 투여하고서 혈중의 생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또한 활성산소의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겨릅나무는 어디에 속하는 식물인가? 산겨릅나무(Acer termentosum Max)는 단풍과(Acer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산청목 및 벌나무라고도 불리우며, 잎은 넓고 어린 줄기는 연한 녹색이며 줄기가 매우 연하여 잘 부러지며 껍질이 두껍고 재질은 희고 가볍다. 산겨릅나무는 독성이 없으며 어떠한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제이며, 맛이 담백하여 청혈제와 이수제로 사용하고 있다6,7).
산겨릅나무의 외형적 특징은 어떠한가? 산겨릅나무(Acer termentosum Max)는 단풍과(Acer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산청목 및 벌나무라고도 불리우며, 잎은 넓고 어린 줄기는 연한 녹색이며 줄기가 매우 연하여 잘 부러지며 껍질이 두껍고 재질은 희고 가볍다. 산겨릅나무는 독성이 없으며 어떠한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제이며, 맛이 담백하여 청혈제와 이수제로 사용하고 있다6,7).
산겨릅나무에서 분리한 salidroside는 간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향후 기능성 물질의 소재로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산겨릅나무로부터 분리한 salidroside를 대상으로 각 분획 및 성분을 2주간 흰쥐에 투여하고서 d-galactosamine 유발 간장해 병태 모델 흰쥐를 대상으로 간장해 보호효과를 검색하였다. d-Galactosamine 처치로 유발된 간장해 흰쥐에서 혈중 AST , ALT 및 LDH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salidroside의 전처리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간 cytosol중 지질과산화 함량의 지표인 MDA의 함량도 현저히 간장해 유발로 증가되던 것이 억제되었으며, 항산화 효소로 알려진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의 효소 활성도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다. 시험관내 시험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지질과산화의 형성도 저해되는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겨릅나무에서 분리한 salidroside는 간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향후 기능성 물질의 소재로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tholomaeus, A., Ahokas, J. Inhibition of P-450 by aucubin: Is the biological activity of aucubin due to its glutaraldehyde-like aglycone. Toxicol. Letters, 80: 75-83, 1995. 

  2. Campos, R., Garrido, A., Guerra, R., Valenzuela, A.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in rats is attenuated by silybin dihemisuccinate. Progress in Clin. Biol.l Res. pp 375-280, 1988. 

  3. Conti, M., Malandrino, S., Magistretti, M.J. Protective activity of silipide on liver damage in rodents. Japan. J. Pharmacol. 60: 315-321, 1992. 

  4. Dubin, M., Groszmann, R.J., Kravetz, D. Effect of silimarin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Medicina, 36: 437-442, 1976. 

  5. 김부생, 최종원, 이정규, 천련자 추출물이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1) - 천련자의 분획이 약물대사효소계 및 담즙분비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24: 63-68, 1993. 

  6.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항문사, 서울, p 552, 1993. 

  7. 소배근. 중국본초도감(3권), 여강출판사, 서울, p 193, 1994. 

  8. Jang, S.I., Pae, H.O., Choi, B.M., Oh, G.H., Jeong, S., Lee, H.J., Kim, H.Y., Kang, K.H., Yun, Y.G., Kim Y.C., Chung, H.T. Salidroside from Rhodiola sachalinesis protects neuronal PC 12 cells against cytotoxicity induced by amyloid- $\beta$ ,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5: 295-304, 2003. 

  9. Zhang, Y., Liu, Y. Study on effect of salidroside on lipid peroxidation in oxidative stress in rat hepatic stellate cells. Zhong Yao Cai. 28: 794-796, 2005. 

  10. Zhang, X.S., Zhu, B.D., Hung, X.Q., Chen, Y.F. Effect of salidroside on bone marrow cell cycle and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proteins in bone marrow cells of bone marrow depressed anemia mice. Sichuan Da Xue Xue Bao Yi Xue Ban 36: 820-823, 2005. 

  11. Wang, S.H., Wang, W.J., Wang, X.F., Chen, W.H. Effect of salidroside on carbohydrate metabolism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s. Zhong Xi He Xue Bao 2: 193-195, 2004. 

  1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3. Yokozawa, T., Dong, E., Wu, L.Z., Oura, H. and Nishioka, I. Antioxidant activity of Wen-Pi-Tang in vitro. Natural Med. 50: 243-246, 1966. 

  14. Reitman, S., Frankel, S.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cid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hathol. 28: 56-63, 1957. 

  15. Wroblewskin, F., LaDue, J.S.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Proc. Soc. Exp. Biol. Med. 90: 210-213, 1955. 

  16. Mertens, K., Rogiers, V., Vercruysse, A. Measurement of malondialdehyde in cultures of adult rat hepatocytes. Toxic. in Vitro, 7: 439-441, 1993. 

  17. Stefan, M., Gudrun, M.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1974. 

  18. Wilson, S.R., Zucker, P.A., Huang, R.R.C., Spector, A. Development of synthetic compounds with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J. Am. Chem. Soc. 111: 5936-5939, 1989. 

  19. Abei, H. Catalase in vitro. Methods in Enzymol. 105: 93-127, 1984. 

  20. Lowry, O.H., Rod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951. 

  21. Niki, E., Yoshida, Y., Saito, Y., Noguchi, N. Lipid peroxidation: mechanisms, inhibition, and biological effec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8(1):668-676, 2005. 

  22. Luczaj, W., Skrzydlewska, E. The present-day look at lipid peroxidation. Postepy Biochem. 52(2):173-179, 2006. 

  23. Spiteller, G. The important role of lipid peroxidation processes in aging and age dependent diseases. Mol. Biotechnol. 37(1):5-12, 2007. 

  24. Keppler, D., Decker, K. Studies on the mechanism of galactosamine hepatitis; Accumulation of galactosamine I-phosphate and is inhibition of UDP-glucose pyrophosphorylase. Eur. J. Biochem, 10: 219-225, 1969. 

  25. Decker, K., Keppler, D., Pausch, J. The regulation pyridine nucleotide level and its role in experimental hepatitis. Adv. Enzyme Regul. 11: 205-230, 1973. 

  26. Farber, J. L,. GILL, G., Konishi, Y. Prevention of galactosamine- induced liver cell necrosis by uridine. Am. J. Pathol., 72: 53-62, 1973. 

  27. Vimal, V., Devaki, T. Hepatoprotective effect of allicin on tissue defense system in galactosamine/ endotoxin challenged rats. J. of Ethnopharm. 90: 151-154, 2004. 

  28. 임화경, 김학성, 최종원. Bergenin 및 acetylbergenin의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에 대한 치료효과 I. 응용약물학회지 8: 293-298, 2000. 

  29. Terry, D.O., Janice, L,S., Ning, L., Larry, W.O. Antioxidant enzyme levels as a function of growth state in cell culture. Free Radical Bilo. Med. 19: 53-65, 1995. 

  30. Shindo, Y., Hashimoto, T. Time course of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skin fibroblasts afer UV irradiation. J. Dermatol. Sci. 14: 225-232, 1997. 

  31. 김안근, 김지현,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제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응용약물학회지 9: 249-257, 2001. 

  32. Gregus, Z., Klaassen, C.D. Mechanisms of toxicity. In casarett and Doull's Toxicology. McgrawHill Com. New York. pp 39-43, 1996. 

  33. Cutteridge, J.M.C.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proteins ceruloplasmin, albumin and transferrin. A study of their activity in serum and synocial fluid from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Biochem. Biophys. Acta, 869: 119-127, 1986. 

  34. Braughler, J.M., Chase, R.L., Pregenzer, J.F. Oxidation of ferrous iron during peroxidation of various lipid substance. Biochem. Biophys. Acta, 921: 457-467, 1987. 

  35. Yosjikawa, T., Murakami, M., Yoshida, N., Seto, O., Kondo, M. Effects of superoxide dimutase and catalase 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rats. Thromb. Haemostas. 50: 869-872,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