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유기/무기 복합 전해질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18 no.4, 2008년, pp.345 - 353  

구자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최미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신춘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강태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조남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다양한 분자량(400, 600, 1,500, 3,400)의 polyethylene glycol의 양 끝단을 ethoxysilane기로 치환하여 전구체를 제조하였으며, 전구체의 졸-겔 반응을 통하여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전해질막은 유기/무기 복합소재를 NaI 및 $I_2$로 도핑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해질막의 이온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는 원료로 사용한 PEG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는 분자량 1,500의 PEG를 원료로 사용한 전해질 막에서 볼 수 있었다. 복합전해질막은 전도도에 있어서 큰 향상을 보였다. PEO 전해질막에 비하여 분자량 1,500의 PEC로 제조한 복합전해질막은 월등하게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membranes were prepared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DSSC). Polyethylene Glycol (PEG)s with various molecular weight (400, 600, 1,500 and 3,400) was ethoxysilated to fabricate organic/inorganic composite materials through sol-gel processes. The electrolyt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외에도 전해질 고분자의 가교화(crosslink)]]], 공중합(copolymeriza­ tion)[2], 빗모양(comb-like polymer) 형성]3], 상호침투고 분자(interpenetrate network)[4], 무기물 충진제 사용 (inorganic filler)[5]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G를 유기/무기 복합소재화하여 결정화도를 낮추는 방안을 선택하였다. 졸-겔 반응을 통해 복합소재화하기 위한 전구체의 제조과정으로서 PEG 분자의 양 말단에 각각 triethoxysilane기를 결합시켰으며 그 과정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 Nishimoto, K. Agehara, and N. Furuya, "High Ionic Conductivity of Polyether-Based Network Polymer Electrolytes with Hyperbranched Side Chains", Macromolecules, 32, 1541 (1999) 

  2. D. J. Harris, T. H. Bonagamba, K. Schmidt-Rohr, P. P Soo, D. R. Sadoway, and A. M. Mayers, "Solid-State NMR Investigation of Block Copolymer Electrolyte Dynamics", Macromolecules, 35, 3772 (2002) 

  3. T. J. Cleij, L. W. Jenneskens, M. Wubbenhorst, and J. van Turnhout, "Comb-Branche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Isqb(4,7,10,13-tetraoxatetradecyl)methylsilane] and Lithium Percholrate", Macromolecules, 32, 8663 (1999) 

  4. X. Hou and K. S. Siow,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novel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electrolytes", Solid State Ionics, 147, 391 (2002) 

  5. F. Croce, G. B. Appetecchi, L. Persi, and B. Scrosati, "Nanocomposite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 batteries", Nature, 394, 456 (1998) 

  6. S. Chintapalli and R. Frech, "Effect of Plasticizers on Ionic Association and Conductivity in the $(PEO)_9LiCF_3SO_3$ electrolyte", Macromolecules, 29, 3499 (1996) 

  7. J. H. Kim, B. R. Min, C. K. Kim, J. Won, and Y. S. Kang, "Role of Transient Cross-Links for Transport Properties in Silver-Polymer Electrolytes", Macromolecules, 34, 6052 (2001) 

  8. S. M. Zahurak, K. L. Kaplan, E. A. Rietman, D. W. Murphy, and R. J. Cava, Macromolecules, 21, 654 (1988) 

  9. G. P. Kalaignam, M. S. Kang, and Y. S. Kang, "Effects of compositions on properties of PEOKI-I2 salts polymer electrolytes for DSSC", Solid State Ionics, 177, 1091 (22006) 

  10. G. Kastros, T Stergiopoulos, I. M. Arabatiz, G. K. Papadokostaki, and P. Falaras, "A solvent-free polymer/inorganic oxide electrolyte for high efficiency solid-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J. Photochem. Photobiol, 149, 191 (2002) 

  11. SO. A. Ileperuma, M, A. K. L. Dissanyake, S. Somasunderam, and L. R. A. K. Bandara,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s with polyacrylonitrile-based and polyethylene oxide-based polymer electrolytes", Sol. Energy Mater. Sol. Cells, 84, 117 (2004) 

  12. J. Kang, W. Li, X. Wang, Y. Lin, X. Xiao, and S. Fang, "Polymer electrolytes from PEO and novel quaternary ammonium iodi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Electrochim. Acta, 48, 2487 (2003) 

  13. 홍영택, 정진주, 윤경석,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인산 도핑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벤즈이미다졸 고분자전해질 막의 제조 및 특성", 멤브레인, 16, 276 (2006) 

  14. 문승현, 우중제, 푸룽창, "스티렌 유도체를 이용한 비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산화적 안정성 개선", 멤브레인, 17, 294 (2007) 

  15. 오세중, "PVA/SSA/HPA 복합막의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의 응용연구", 멤브레인, 16, 9 (2006) 

  16. 임지원, 천세원, 전지현,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직접메탄올 연로전지용 이온교환막 제조에 관한 연구", 멤브레인, 13, 191 (2003) 

  17. J. H. Kim, M. S. Kang, Y. J. Kim, J. Won, and Y. S. Kang, "Poly(butyl acrylate)/NaI/ $I_2$ electrolytes for dye-sensitized nanocrystalline $TiO_2$ Solar cells", Solid State Ionics, 147, 57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