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이미지와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명품구매행동 연구
The Role of Body Imag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on Luxury Brand Buying Behaviour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6 no.7 = no.243, 2008년, pp.109 - 120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f body imag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influenced luxury brand buying behaviour.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from 430 females in their 20's.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신체이미지가 곽시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그러나 이제까지의 과시 소비성향 연구에서는 자기개념과 과시소비성향을 다룬 연구가 대부분으로 신체적 자기의 중요 요소인 신체이미지와 과시 소비성향과의 관계를 본 연구가 전무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기를 구성하는 신체이미지와 관련하여 과시소비를 설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시소비와 그에 관련된 의류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기를 구성하는 신체 이미지와 과시 소비 성향과 관련하여 명품 구매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이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자기개념을 증진시키려 한다는 소비자 구매의 심리적 측면을 좀더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명품과 같은 과시성 이 강한 패션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구체적으로 개인이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론이 존재하는데(Rosenberg, 1989), 그 두 가지 동기는 '자기 일관성 동기(self- consistency motive)'와 '자기향상동기(self-enhancement motive)' 로 구별될 수 있으며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명품구매행동에 영향 미치는 변인으로 신체이미지와 과시소비성향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비자가 명품을 구매하게 되는 동기 및 심리적 측면을 자기향상동기와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여러가지 견해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Labarbera(1988)의 정의를 기반으로 과시 소비를 제품의 경제적, 기능적 효용보다는 사회적,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여 타인에게 소유자 자신의 인상을 심어주려는 동기에 의해 제품을 소비하는 것' 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그 의의가 있다. 특히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이 제품을 소유함으로써 자신의 자기개념을 증진시키려 한다는 소비자 구매의 심리적 측면을 좀더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가 명품과 같은 과시성 이 강한 패션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 신체이미지는 과시소비성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과시소비성향은 명품구매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혜원(1995). 의상사회심리학. 서울: 교문사 

  2. 고순례(1988). 청소년의 유명상표 선호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민희(1998). 물질주의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중산층 성인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숙경(1998). 청소년기 수입의류상표 선호도와 구매태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지영(1998).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명품소비 어디까지인가.(2007.6). 매일경제. 자료검색일 2007.4.2. 자료출처 http://www.mk.co.kr 

  7. 명품이 젊어진다: 20-30대 입맛맞게 변신.(2004.7).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07.4.1. 자료출처 http://www.chosun.com 

  8. 박미정(2001).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은아(1994). 자기 존중감, 사회적인정요구, 돈에 대한 태도에 따른 현시적 소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백경미(1995). 도시주부의 과시소비성향과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백화점 명품 세일 매출급증.(2004.7.) 동아일보. 자료검색일 2007.3.2. 자료출처 http://www.donga.com 

  12. 성영신(1994). 한국인의 그릇된 물질주의와 과소비 유형. 한국심리학회지, 7(5), 35-47 

  13. 손영석(1984). 서울지역 청소년 남성의 외국상표 인지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송은경(1997). 청소년의 물질주의 및 과시소비성향과 관련요인.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송인숙(1993). 소비자의 중독구매성향 및 영향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17. 이승희, 장윤경 (2007). 명품 브랜드 충성도가 복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3), 145-155 

  18. 이윤정(2004). 신체통제에 대한 신념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7), 974-982 

  19. 조선명, 고애란(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20. 조은아, 김미숙(2004).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명품 및 유명브랜드 의류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8(1), 76-87 

  21. 최선형 (2001).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2. 편세린(1997). 청소년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홍금희(2006).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2), 348-357 

  24. Aune, R., & Aune, K.(1994). The influence of culture, gender, and relational status on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5(2), 258-272 

  25. Brown, T., Cash, T., & Mikulka, P.(1990). Attitudinal body-image assessment: Factor analysis of the Body Self Relations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 135-144 

  26. Cash, T.(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Appendix.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Thomson, J. K.). Pergamon Press 

  27. Cash, T., & Pruzinsky, T.(1990). Body Images, NY: The Guilford Press 

  28. Grossman, G., & Shapiro, C.(1988). Foreign counterfeiting of status good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Feb. 79-100 

  29. James, W.(195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Y: Dover Publication 

  30. Kwon, Y., & Parham, E.(1994). Effects of state of fatness perception on weight conscious women's clothing practi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4), 16-21 

  31. Labarbera, P.(1988).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re of self-ful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21, 179-210 

  32. LaBat, K., & DeLong, M.(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4), 203-211 

  33. Mahoney, E., & Finch, M.(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cathexis. The Journal of Psychology, 92, 277-279 

  34. Mason, R.(1984). Conspicuous consumption: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3), 26-39 

  35. Mowen, J., & Minor, M.(1998). Consumer Behavior, Prentice Hall 

  36. Nueno, J., & Quelch, J.(1998). The mass marketing of luxury. Business Horizon Nov.-Dec., 61-68 

  37. Rosenberg, M.(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Middletown, Connecticut: Wesleyan University Press 

  38. Secord, P., & Jourard, S.(1953). The appraisal of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 343-347 

  39. Sirgy, M. J.(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287-298 

  40. Thompson, J.(1990).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ergamon Press 

  41. Veblen, T.(189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NY: Pennguin Books 

  42. Wicklund, R. A., & Gollwitzer, P. M.(1982). Symbolic self-completion. Hillsdale, NJ: Erlbaum 

  43. James, W.(191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 Y.: Dover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