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를 위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6 no.9 = no.245, 2008년, pp.87 - 97  

박찬화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길숙 (경인여자대학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HLERS) and to analyze its item discrimin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8 parents whose children were three to five years old. The item discrimination, determined by comparing th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여 가정문 해 환경 관련 연구에 이 척도를 널리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의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는 가정문 해 환경을 신뢰롭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가정의문해 환경을 평가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가정 문해 환경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문항 변별도,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우리나라 유아에게 적합한 가정문해환경 평정척도를 통하여 부모들이 가정에서 적절한 문해 활동의 모델이 되고 문해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는 가정문해환경에 관한 여러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가정의 문해 환경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가정문 해 환경 평정 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정의 언어 환경, 부모와 자녀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부모와의 학습경험은 아동의 인지적, 언어적 발달과 출현 적 문해 기술에 직접적이며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친다. 아동은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읽기와 쓰기를 배우기 이전에 가정에서 문해 활동을 관찰하고 참여함으로써 문해 지식, 문어의 본질과 기능에 대해 이미 친숙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명순(1999). 4-5세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가정의 문해환경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13, 120-131 

  2. 김명순, 권희경(2002). 어머니와 아버지의 가정 문해 발달에 대한 태도 및 가정문해환경. 대한가정학회지, 40(1), 1-12 

  3. 김수희(2003). 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주아(2006). 유아의 가정문해환경실태 및 어머니의 문해신념과 실천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29-140 

  5. 신혜영, 김명순(2008). 저소득 가정 부모의 문해발달 태도 및 가정문해 활동과 유아의 어휘력, 인쇄물 개념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9(4), 199-212 

  6. 우수명(2001). 마우스로 잡는 SPSS 10.0/11.0. 서울: 인간과 복지 

  7. 이근영(2000). 아동의 읽기 태도와 가정의 문해 환경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이문옥(1997).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과 가정문해환경의 상관관계 연구. 교육학 연구, 35(3), 263-281 

  9. 정지연(2004). 아동의 가정 문해 환경과 인쇄물 개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호수진(2007). 어머니의 문해신념 및 가정문해환경이 만 2세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Aulls, M. W., & Sollars, V.(2003).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entering grade one. Reading Improvement, 40(4), 164-177 

  12. Baker, L., Sonnenschein, S., Serpell, R., & Scher, D.(1996). Early literacy at home: Children's experiences and parents' perspectives. The Reading Teachers, 50(1), 70-72 

  13. Bradley, R. H., Corwyn, R. F., Burchinal, M., Ma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I: Relations with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age thirteen. Child Development, 72, 1868-1886 

  14. Britto, P. R.(2001).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and young children's emerging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6(4), 346-347 

  15. Burgess, S. R., Hecht, S. A., & Lonigan, C. J.(2002). Rela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HLE)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 abilities: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7(4), 408-426 

  16. Bus, A., van IJzendoorn, M., & Pelligrini, A.(1995). Joint book reading makes for success in learning to read: A meta analysis o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literac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 1-21 

  17. Caldwell, B. M., & Bradley, R. H.(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ition. Littl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18. Christian, K., Morrison, F. J., & Bryant, F. B.(1998). Predicting kindergarten academic skills: Interaction among child care, maternal education, and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501-521 

  19. de Jong, P. F., & Leseman, P. P. M.(2001). Lasting effects of home literacy on reading achievement in schoo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9(5), 389-414 

  20. Foy, J. G., & Mann, V.(2003).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Differential effects for rhyme and phoneme awareness. Applied Psycholinguistics, 24, 59-88 

  21. Griffin, E, A., & Morrison, F. J.(1997). The unique contribution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to differences in early literacy skill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27-128, 233-243 

  22. Leseman, P. P. M., & de Jong, P. F.(1998). Home literacy: Opportunity, instruction, cooperation and social-emotional quality predicting early reading achievement. Reading Research Quarterly, 33(3), 294-318 

  23. Lindo, E. J.(2007). Family background: A predictor of comprehension difficulty in the elementary grad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Nashville, Tennessee, USA 

  24. Purcell-Gates, V.(1996). Stories, coupons, and the TV guide: Relationships between home literacy experiences and emergent literacy knowledge. Reading Research Quarterly, 31(4), 406-428 

  25. Roberts, J., Jurgens, J., & Burchinal, M.(2005). The role of home literac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kil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8, 345-359 

  26. Senechal, M., LeFevre, J., Thomas, E. M., & Daley, K. E.(1998). Differential effects of home literacy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Reading Research Quarterly, 33(1), 96-116 

  27. Shapiro, J.(1973). Investigation the home environment for its impact on children's read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Atlanta, Georgia 

  28.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9. Teale, W. H.(1986). Home background and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W. H. Teal & E. S. Sulzby(Eds.), Emergent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Norwood, NJ: Ablex 

  30. van Steensel, R.(2006). Relations between socio-cultural factors,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the first years of primary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 Reading, 29(4), 367-382 

  31. Weigel, D. J., Martins. S., & Bennett, K. K.(2005). Ecological influences of the home and the childcare center on preschool-ag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Reading Research Quarterly, 40(2), 204-2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