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3~5세 유아를 위한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Rating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0 no.7, 2012년, pp.109 - 116  

손승희 (Welfare and Development & Guidance, Hannam University) ,  김명순 (Departmen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Yonse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for evaluation of Parent's Literacy Interaction Rating Scale (PLIRS) for preschool childre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42 Korean mothers with children of 3 to 5 year olds. The methods for data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모 문해 상호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제시한 문항변별도, 요인분석,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 문해 상호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제시한 문항변별도, 요인분석,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부모 문해 상호작용에 관한 여러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부모-자녀 간 문해 상호작용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척도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 척도의 문항 변별도는 어떠한가?
  • 2. 부모 문해 상호작용 평정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문명화된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문명화된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유능하게 생활하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다. 어린 영유아의 경우에도 자신을 둘러싼 수많은 문자언어를 접하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주변의 성인 특히,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생활한다.
가정에서의 문해 활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가정에서의 문해 활동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책읽기를 아동에게 즐거움이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읽기 연습을 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식하거나, 부모가 적절한 읽기와 쓰기의 모델이 되지 못할 경우 이들 자녀의 문해 발달이 더디게 이루어진다고 밝혔고[17], 읽고 싶은 책을 아동스스로 선택하게 하고 어머니와 더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는 가정의 유아가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또 다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에게 어느 정도 책을 읽어주는지, 아동이 문해 활동에 어느 정도 참여하는지, 부모가 아동의 문해 활동을 얼마나 도와주는지와 아동의 읽기 능력과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영유아에게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어떨 때 접하게 되는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은 문명화된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유능하게 생활하기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다. 어린 영유아의 경우에도 자신을 둘러싼 수많은 문자언어를 접하며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주변의 성인 특히,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생활한다. 자신보다 유능한 파트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읽기, 쓰기 능력이 발달한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들은[3, 7] 문해 활동에서의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중요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ker, L., & Scher, D. (2002). Beginning reader's motivation for reading in reading in relation to parental beliefs and home reading experience. Reading Psychology, 23, 239-269. 

  2. Britto, P. R. (2001). Family literacy environments and young children's emerging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6(4), 346-349. 

  3. Burgess, S. R., Hetch, S. A., & Lonigan, C. J. (2002). Rela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HLE) to the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 abilities: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Reading Research Quaterly, 37, 408-426. 

  4.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nual: Comprehensive edition. Little Rock, AR: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5. Cho, H. S. (2004).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reading & writing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 Clark, M. M. (1984). Language at home and at school: Insights from a study of fluent readers. In J. Goelman, A. A. Oberg, & F. Smith (Eds.), Awakening to literacy. (pp. 122-130). London: Heinemann. 

  7. Foy, J. G., & Mann, V. (2003).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preschool children: Differential effects for rhyme and phoneme awareness. Applied Psycholinguistics, 24, 59-88. 

  8. Hindman, A. H. (2008). School-family partnership and early learning: The role of school outreach and family involvement preschooler's literacy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USA. 

  9. Hwang, H. Y. (2005). Influence of the family income,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Jung, J. Y. (2006). 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print concep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1. Kim, M. S. (1999). Mother's belief in the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home literacy environment. Human Ecology Journal, 13, 120-131. 

  12. Lee, J. H., & Kim, Y. J. (2005). The effects of explicit vocabulary instruction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on young children's acquisition of word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0(4), 297-31. 

  13. Lee, M. S. (2011).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preschoolers' emergent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literacy skills: maternal language behavior in picture book rea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S. H., & Park, H. K. (2007). The effects of the balanced literacy program for young children.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2), 113-135. 

  15. Mason, J. M. (1980). When do children begin to read? An exploration of four-year-old children's letter and word reading competencies. Reading Research Quarterly, 15(1), 203-227. 

  16. McGee, L. M., & Richgels, D. J. (200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M. S. Kim & Y. L. Shin,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17. Morrow, L. M., Sharkey, E., & Firestone, W. A., (1993). Promoting independent reading and writing through self-directed literacy activities in a collaborative setting. Reading research report No. 2. Athens, GA: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18. Park, C. H., & Kim, G. S. (2008).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rat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9), 87-97. 

  19. Roberts, J., Jurgens, J., & Burchinal, M. (2005). The role of home literacy practices i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kil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Research, 48, 345-350. 

  20. Sung, T. J. (2010).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21. Weigel, D. J., Martin, S. S., & Bennett, K. K. (2006). Contribution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to preschool-aged children's emerging literacy and language skill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3), 357-378. 

  22. Xue, Y. (2002). The influence of early literacy instruction on children's learning in kindergart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USA. 

  23. Yim, Y. G. (2005). Effect of balanced-approach using young children's name let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