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호의식 조사를 통한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버스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Stated Preference Analysis of the Impacts of Bus Crowdedness Information on Bus Choice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6 no.6 = no.105, 2008년, pp.61 - 70  

이백진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실) ,  김준기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실) ,  김경석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오성호 (국토연구원 교통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버스정보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s)에 의해 제공되는 교통정보는 도착예정시간 정보와 같은 실시간 운행정보 위주인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다양한 교통정보 수요를 반영하고 대중교통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새로운 대중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인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에 관해 논의한다.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이용자들의 버스선택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호의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버스 선택모형 구축을 위해 대표적 개별행태모형인 이항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용자 계층별(연령대별, 통행목적별 등) 정보제공 효과 분석을 위해 계층별 버스 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추정결과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는 이용자들의 버스선택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정보제공의 필요성이 있음을 보였다. 버스 차내 혼잡정보가 버스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대별(청년층, 장년층, 고령층)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고령자(60대 이상)의 버스선택에 가장 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행목적 별로 분석한 결과 통근?통학과 같은 업무통행에 비하여 비업무통행(여가/친교/개인업무, 쇼핑, 병원)인 경우가 버스차내 혼잡정보에 더 민감하였으며 특히 쇼핑통행인 경우가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proposed a new type of bus information, Real-time Bus Crowdedness (RBC) information, to meet various demands of users and improve the convenience level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while existing bus information provided by bus information systems(BIS) were limited to bus operating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버스정보 시스템은 대중교통 활성화 측면에서 현재 많은 지역에서 운영 중이거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버스정보 시스템이 도착예정시간과 같은 실시간 운행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의 필요성과 이용자 계층별, 통행목적별 정보제공의 효과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실시간 버스 차내 혼정보가 이용자들의 버스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호의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표적인 개별행태모형인 이항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 본 장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이용자의 버스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버스선택 모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모형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의 유의성을 제시한다. 또한 이용자 계층별 다양한 모형구축을 통해 향후 서비스 도입에 따른 이용자 계층별 버스선택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한다.
  • 또한 통행목적별 실시간 버스 차내정보제공에 따른 버스의 선호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행목적을 총 네 가지 (통근/통학, 여가/친교/개인업무, 쇼핑, 병원)로 구분하고 응답자별 무작위로 선정된 통행목적을 위한 이동을 가정한 후 제시된 SP카드에 대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단, 응답자의 직업이 가정주부 또는 무직인 경우에는 통근/통학은 제외되었다.
  • 본 연구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의 필요성과 정보제공에 따른 이용자들의 버스선택 행태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계층별(연령대별, 통행목적별 등)로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 효과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서 향후 서비스 도입 시 주요 이용자 계층 등에 관하여 논의한다.
  • 본 장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이 이용자의 버스선택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버스선택 모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모형의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의 유의성을 제시한다. 또한 이용자 계층별 다양한 모형구축을 통해 향후 서비스 도입에 따른 이용자 계층별 버스선택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한다.
  • 앞 절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의 제공은 연령대별, 통행목적별 버스 선택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절에서는 비업무 통행시(여가/친교/개인업무/쇼핑/병원) 연령대별 버스 차내 혼잡정보의 영향에 관하여 분석한다. 통근 통학(업무통행)의 경우 연령대별 버스선택에 이질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본 논문에는 생략하였다.
  • 본 절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 제공이 연령대별 버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령대별 버스 선택모형 구축을 위해 먼저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의 계량화는 전체 데이터를 이용한 모형구축 결과를 바탕으로 지수함수로 가정하고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절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 제공이 이용자들의 통행목적별 버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통행목적별 버스 선택모형의 경우에도 연령대별 버스선택모형과 같이 차내 혼잡도를 지수함수로 가정하여 이항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버스정보 시스템이 실시간 운행정보만을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대중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인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에 관하여 논의한다.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 차내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류장 대기 승객 등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이용자 관점에서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비교적 업무시간 등과 같은 시간제약이 없는 고령자들의 경우 혼잡한 버스 보다는 대기시간이 조금 증가하더라고 혼잡도가 낮아 좌석에 여유가 있는 버스를 선호할 수 있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버스정보 시스템이 실시간 운행정보만을 제공하는 반면 새로운 대중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인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에 관하여 논의한다.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 차내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류장 대기 승객 등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이용자 관점에서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의 필요성과 정보제공에 따른 이용자들의 버스선택 행태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계층별(연령대별, 통행목적별 등)로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제공 효과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서 향후 서비스 도입 시 주요 이용자 계층 등에 관하여 논의한다.

가설 설정

  • 모형의 추정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모든 모형에서 추정된 변수들이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우도비를 비교한 결과 버스 차내 혼잡도를 지수함수로 가정한 경우(Model2)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 차내 혼잡도 수준에 대한 정성적 표현(한적, 보통, 혼잡)은 지수함수를 따른 다고 가정한 Model2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 본 절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 제공이 연령대별 버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령대별 버스 선택모형 구축을 위해 먼저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의 계량화는 전체 데이터를 이용한 모형구축 결과를 바탕으로 지수함수로 가정하고 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절에서는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정보 제공이 이용자들의 통행목적별 버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통행목적별 버스 선택모형의 경우에도 연령대별 버스선택모형과 같이 차내 혼잡도를 지수함수로 가정하여 이항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통행목적은 통근통학, 여가/친교/개안업무, 쇼핑, 병원으로 구분하였다.
  • 버스도착예정시간은 2 수준 (5분후 도착, 10분후 도착), 버스 차내 혼잡도는 3수준 (한적, 보통, 혼잡), 버스 차내 이동시간은 3수준 (30분, 40분, 50분)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두 번째 버스의 도착예정시간를 첫 번째 버스 도착 후의 (+)5분과 (+)10분으로 각각 설정한 이유는 목적지까지 이용가능한 버스(동일노선의 버스 포함)가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실제 첫 번째와 두 번째 버스의 차내 혼잡도에 따라 버스이용자들이 10분 이상 추가로 대기하는 것은 매우 드문 현상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스정보 시스템의 목적은? 이러한 대중교통 정보제공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가 버스정보 시스템 (BIS: Bus Information Service)이다. 버스정보 시스템은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버스 도착예정시간, 버스 위치 등에 관한 실시간 운행정보를 다양한 정보제공매체(예, 버스정류장 안내단말기, 인터넷, 모바일 등)를 통해 제공함으로서버스 이용의 효율성 증진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2007년 현재 수도권 및 광역시를 중심으로 약 22개 도시에서 구축·운영 중에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버스정보 시스템은 어떠한 것을 제공하는가? 이러한 대중교통 정보제공 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가 버스정보 시스템 (BIS: Bus Information Service)이다. 버스정보 시스템은 버스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용자에게 버스 도착예정시간, 버스 위치 등에 관한 실시간 운행정보를 다양한 정보제공매체(예, 버스정류장 안내단말기, 인터넷, 모바일 등)를 통해 제공함으로서버스 이용의 효율성 증진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2007년 현재 수도권 및 광역시를 중심으로 약 22개 도시에서 구축·운영 중에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7).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실시간 버스 차내 혼잡도 정보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버스 차내 혼잡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정류장 대기 승객 등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이용자 관점에서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면 비교적 업무시간 등과 같은 시간제약이 없는 고령자들의 경우 혼잡한 버스 보다는 대기시간이 조금 증가하더라고 혼잡도가 낮아 좌석에 여유가 있는 버스를 선호할 수 있다. 또한 버스운영자 관점에서도 한 대의 버스에 많은 승객이 승차하려고 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버스 혼잡도 증가, 운행지연 등과 같은 서비스 질 저하를 방지하고 한정된 버스의 효율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남궁문. 성수련. 최기주. 이백진(2000), SP 패널데이터의 Bias를 고려한 동적모델,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63-75 

  2. 노정현. 김용석(1999), 통행전 교통정보의 불확실성에 따른 출발시각 선택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4권 제4호, pp.135-147 

  3. 빈미영. 김효빈(2005), 실시간 버스도착정보의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81-89 

  4. 신동호. 임용택. 박정근(1998), 비반복 도로혼잡시교통정보제공에 따른 출발시간대별 통행수요변화연구, 국토계획 제33권 제4호, pp.193-208 

  5. 원제무. 최기주. 황준환(1996), 운전자의 출근 통행 행태에 미치는 교통정보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1권 제5호, pp.281-297 

  6. 윤대식. 김상황(2001), 교통정보 제공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2호, pp.101-115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TAGO 기본계획 및 유지관리방안 수립 연구.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8. B. Lee, and H. J.P. Timmermans(2007), A latent class accelerated hazard model of activity episode du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41, pp.426-447 

  9. D. McFadden(1981), Econometric models of probabilistic choice. In: Manski, C., McFadden, D. (Eds.), Structural Analysis of Discrete Data with Econometric Applications, The MIT press, Cambridge, MA 

  10. E. J.E. Molin, H. J.P. Timmermans(2006), Traveler Expectations and Willingnessto- Pay for Web-Enabled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14, pp.57-67 

  11. G. Lyons, J. Urry(2005), Travel Time Use in the Information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39, pp.257-276 

  12. J. Grotenhuis, B. W. Wiegmans, P. Rietveld (2007), The Desired Quality of Integrated Multimodal Travel Information in Public Transport: Customer Needs for Time and Effort Savings, Transport Policy 14, pp.27-38 

  13. J. L. Adler, V. J. Blue(1998), Toward the Design of Intelligent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6, pp.157-172 

  14. K. Dziekan, K. Kottenhoff(2007), Dynamic at-Stop Real-Time Information Displays for Public Transport: Effects on Customer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1, pp.489-501 

  15. K. Goto, Y. Kambayashi(2002), A New Passenger Support System for Public Transport Using Mobile Database Acess, 28th VLDB Conference, Hong Kong, China 

  16. K. Zografos, V. Spitadakis, K. Androutsopoulos (2008), An Integrated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for Multimodal Trip Planning, TRB Annual Meeting 

  17. M. Abdel-Aty(2001),Using ordered probit modeling to study the effect of ATIS on transit ridership,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9, pp.265-277 

  18. M. Adbed-Aty, R. Kitamura, P. Jovanis (1996), Investigation the effect of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on commuter tendency to use transi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50, pp.65-72 

  19. T. F. Golob, A. C. Regan(2001),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Personal Travel and Commercial Vehicle Operations: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9, pp.87-121 

  20. W. H. Greene(2003), Econometric Analysis, 5th ed, Prentice Hal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