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의 농부증 비교
Differences in Farmer's Syndrome between Greenhouse-Melon Farmers and Rice Farmer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3 no.1, 2008년, pp.27 - 36  

박종섭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오경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시설참외 농작업자와 수도작 농작업자들의 농부증 유병양상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시설참외 농작업자들의 농부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 대상은 일개 농촌지역에 소재하는 시설참외 농작업자 73명, 수도작 농작업자 8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로부터 교육을 받은 면접원들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면접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특성, 건강관련 행위, 농작업 관련 특성, 농부증, 농사일 및 관련 증상 등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연령이 상대적으로 낮고 학력 및 소득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농작업 종사에 따른 성별, 결혼상태, 동거인 수, 생활행태(흡연, 음주, 운동, 비만) 등의 분포 차이는 없었다. 농작업 종사 경력은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에서 각각 23.4년, 33.9년으로 분포 또한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일 농작업 시간은 시설참외 및 수도작 농작업자에서 각각 8.3시간, 6.5시간이었으며, 분포 또한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p<0.05).농부증 총점수는 시설참외 농작업자(5.9)에서 수도작 농작업자(4.6)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농부증 유병률은 시설참외 농작업자(38.4%)에서 수도작 농작업자(22.6%)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수준은 경계성(p=0.059)을 나타내고 있었다. 직접표준화 방법을 이용하여 연령을 보정한 결과에서의 농부증 유병률은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p<0.05).농부증 증상은 두 군 모두 어깨결림 및 요통, 야간빈뇨, 수족감각 둔화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박종섭, 오경재 9내었으며 특히 어깨결림, 허리통증, 야간빈뇨 등은 시설참외 농작업자에서 수도작 농작업자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시설참외 농작업자들에서의 농부증 유병률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과중한 노동강도 및 노동시간에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업 환경 개선, 농기구의 개발, 주기적 휴식 및 운동 등의 방안이 다른 농작업보다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Acknowledgement이 논문은 2006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서 수행되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ferences in Farmer's syndrome between greenhouse-melon farmers and rice farmer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60 residents, who lived in rural community. Of those subjects, 73 and 87 from June 1 to July 30, 2006.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by...

참고문헌 (18)

  1.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농업안전보건 현황과 과제.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2. Lee JJ. A studs on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ers and evaluation of risk factors of vinylhouse works. Korean J Rural Med. 2004;29(1): 101-119(Korean) 

  3. Lindquist RK. Airborn and surface residues of permethrin after high and low-volume application in greenhouse. J Environ Sci Health 1987;22:15-17 

  4.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배, 노지고추, 시설 참외 재배작업의 근골격계 위험도 및 고위험 작업의 개선방안.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5 

  5. Kumagai T. Disease attacking farming women. Yomiuri Daily Newspaper, November 17, 1943 

  6. Komatsuzaki O. Psychosomatic evaluation of so-called "Nofosho" symptoms, proceeding of 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rural medicine. Tokyo, Japan, 1970 

  7. Song JY, Lee YK, Lee SG, Lee TY, Cho YC, Lee DB. farmer's syndrome and their related factors of rural residents in Chungnam province. Korean J Rural Med 1998;23(1):3-14 (Korean) 

  8. Moon G, Choi JS, Sohn SJ, Kim BW. The Epidemiologic study of Farmer's syndrome n Chonnam province.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93;26(3):321-331(Korean) 

  9. Hong DY, Kim JR, Lee MS, Kang KH, Ha HS. A study on the causes of farmer's disease and greenhouse disease in a rural area of Kyungnam province. Korean J Rural Med 1996;21(2):173-193 (Korean) 

  10. Chang SH, Lee KS, Lee WJ. A study of farmer's syndrome in Choongju area. Korean J Rural Med 1998;23(1):15-26 (Korean) 

  11. Lee IB, Lee YK, Chang SS, Lee SG, Cho YC, Lee DB, Lee TY. A study on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 house worker and farmer in a rural area. Korean J Rural Med 1999;24(1):13-33 (Korean) 

  12. Kim EJ. Factors influencing the farmer's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2;13(4):817-825 

  13. Lee JJ, Yang JH, Hwang IS. Farmer's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f vinylhouse and non-vinylhouse farmers in Gyeongbuk province rural area.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2):146-155(Korean) 

  14. Lee JY, Park JH, Kim DH. A survey on physical complaints related with farmer's syndrome of vinylhouse and nonvinylhouse farmers. Korean J Rural Med 1994;27(2):258-273(Korean) 

  15. 질병관리본부. 2005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자료집. 질병관리본부, 2006 

  16. Park JB, Lee KJ, Lee SW, Kim JG, Chung HK. The Study of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on farmer's syndrome. Korean J Rural Med 2000;25(1):11-21(Korean) 

  17. Oh JK. Health status and medical utilization patterns of rural aged. Korean J of Preventive Medicine 1991;24(3):328-338(Korean) 

  18. Kundiev YuI, Krasnyuk EP, Viter VPh. Specific features of the changes in the health tatus of female workers exposed to pesticides in greenhouses. Toxicol Lett. 1986 Oct;33(1-3):8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