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당뇨병의 예방, 치료제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산업적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번행초 추출물을 사용하여 당뇨관련 효소인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그리고 aldose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번행초의 HX 분획물은 인간 타액, 돼지 췌장 $\alpha$-amylase에 대해 5 mg/mL 농도에서 각각 62.23%, 88.74%로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alpha$-glucosidase에 대해서도 HX 분획물이 1 mg/mL 농도에서 60.27%로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현재 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는 acarbose와 1-deoxynorjirimycin보다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만성 합병증에 의한 시력장애, 신경성장애, 신장기능장애, 심장기능 장애 등의 심각한 당뇨병성 합병증 유발과 관련이 있는 aldose reductase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1 mg/mL 농도에서 번행초 DCM 분획과 HX 분획물이 각각 51.95%, 47.22%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냄으로써 당뇨병과 그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가 증가추세에 있어 당뇨병 치료제의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은 번행초의 항당뇨 효능의 우수성을 검증함으로써 바이오산업육성뿐만 아니라 신소득 작물로 순화재배를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diabetic activity in vitro by the crude extract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which has been known to superior plants for the tradition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omach-related diseases.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the p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당뇨 활성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번행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당뇨관련 효소인 α-amylase, α-glucosidase, β-glucosidase 그리고 aldose reduct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에 대한 기초 조사를 하여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로써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당뇨병의 예방, 치료제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서 산업적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번행초 추출물을 사용하여 당뇨관련 효소인 α-amylase, α-glucosidase,β-glucosidase 그리고 aldose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암, 위궤양, 항염증, 항산화 등에 관한 약리효능이 잘 알려져 있는 번행초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보고가 없었던 항당뇨에 관한 활성을 연구하고자 당뇨관련 효소인 α-amylase, α-glucosidase, β-glucosidase 그리고 aldose reduct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은 무엇인가? 2명이 당뇨병에 의해 사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당뇨병의 발병율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 당뇨병은 인슐린을 비롯하여 글루카곤, 글루코 콜티코이드 등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당질, 단백질, 지질 및 전해질 대사 등 생리적 대사조절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혈당 증세가 나타나고 증상이 지속되면서 망막, 신장, 신경, 심혈관계 등에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시키는 만성적인 질병이다(2-6).
당뇨병 치료 요법은 어떠한가? 당뇨병 치료 요법은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으로 대별 되며 환자의 증상에 따라 인슐린 약재와 각종 혈당 강하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은 간에서의 당 생성 과다, 인슐린 저항성, 근육과 지방 세포 등에서 당 처리 능력 감소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복합적인 질병이므로 특정 치료법만으로는 여러 가지 부작용의 유발을 막을 수 없다.
포도당에서 소르비톨로의 변환을 억제하는 Aldose reductase 억제제가 당뇨병성 합병증 유발 억제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α-glucosidase inhibitor의 작용기전은 인슐린 분비를 통하지 않고 소장에서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를 저해함으로써 기존 약물들이 갖고 있는 저혈당 현상, 간 독성 유발, 베타세포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2-14). 또한 포도당으로부터 소르비톨을 경유하여 과당에 이르는 polyol 경로에 의한 대사이상이 당뇨병성 합병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Aldose reductase 억제제는 포도당에서 소르비톨로의 변환을 억제하는 효소 억제제로서, 소르비톨의 생산을 저하시키는 것이 목적으로 당뇨병성 합병증의 유발을 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attenberg, L. W (1983), Inhibition of neoplasia by minor dietary constitutents, Cancer Res. 43, 2448-2453 

  2. Abrams, J., H. Ginsberg, and S. M. Grundy (1982),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31, 903-910 

  3. Choi, J. S., H. Y. Chung, and S. Y. Han (1990), A preliminary study on hypercholesterolemic and hyper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al plants, Korean J. Pharm. 21, 153-157 

  4. Bantle, J. P., J. W. Rosett, A. L. Albrigh, C. M. Apovian, N. G. Clark, M. J. Frans, B. J. Hoogwerf, A. H. Lichtensterin, E. M. Davis, A. D. Mooradian, and M. L. Wheeler (2000), Nutrition recommendation and principles for people with diabetes mellitus (Position Statement), Diabetes Care 23, 843-846 

  5. Stratton, I. M., A. I. Adler, H. A. Neil, D. R. Matthews, S. E. Manley, C. A. Cull, D. Hadden, R. C. Turner, and R. R. Holman (2000),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 Med. J. 321, 405-412 

  6. Tovar, J. M., O. V. Bazaldua, and R. S. Poursani (2007), LDL levels in diabetes: how low should they go, J. Fam. Pract. 56, 634-640 

  7. Choi, H. J., Y. K. Jeong, D, O. Kang, and W. H. Joo (2008), Inhibitory effect of four solvent fractions of Alnus firma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J. Life Sci. 18(7), 1005-1010 

  8. Shan, J. J., M. Yang, and J. W. Ren (2006), Anti-diabet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the flower of Inula japonica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Biol. Pharm. Bull. 29(3), 455-459 

  9. Lim, S. J., S. Y. Kim, and J. W. Lee (1995), The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blood glucose level and liver-muscle metabolism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28, 585-594 

  10. Schmidit D. D., W. Frommer, B. Junge, L. Muller, W. Wingender, E. Truscheit, and D. Schafer (1977), alpha-Glucosidase inhibitors. New complex oligosaccharides of microbial origin, Naturwissenschaften 64, 535-536 

  11. Saito, N., H. Sakai, H. Sekihara, and Y. Yajima (1998), Effect of an ${\alpha}$ -glucosidase inhibitor (voglibose), in combination with sulphonilureas, on glyca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 Int. Med. Res. 26, 219-232 

  12. Andrade-Cetto, A., H. Wiedenfeld, M. C. Revilla, and I. A. Sergio (2000), Hypoglycemic effect of Equisetum myriochaetum aerial parts on streptozotocin diabetic rats, J. Ethnopharmacol. 72, 129-133 

  13. Hyuncheol, O. H., D. H. Kim, J. H. Cho, and Y. C. Kim (2004),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dging activityes of phenilics petrosins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Equisetum arvense, J. Ethnopharmacol. 95, 421-424 

  14. Samulitis, B. K., T. Goda, S. M. Lee, and O. Koldovsky (1987), Inhibitory mechanism of acarbose and 1-deoxynojirimycin derivatives on carbohydrates in rat small intestine, Drugs Exp. Clin. Res. 13, 517-524 

  15. Dvornik, D. (1987), Aldose Reductase Inhibitior, In Aldose Reductase Inhibition, D. Porter Ed.; An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1987, New York. pp221-323 

  16. Aoki, T., Takagi, K. Hira, T., and Suga, T. (1982), Two naturally occurring acyclic diterpene and norditerpene aldhyde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Phytochem. 21(6), 1361-1363 

  17. Kato. M., T. Takeda, Y. Ogihara, M. M. Shimizu, T. Nomura, and Tomita, T. (1985), Syudies on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I. Chem. Pharm. Bull. 33(9), 3675-3680 

  18. Mori, K. and Kinsho, T. (1988), Synthesis of anti-ulcergenic cerebroside isolated Tetragonia tetragonioides, Liebigs Ann. Chem. 8, 807-814 

  19. Emi, O. and Y. Mikio (1983), The principl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having anti-ulcergenic activit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erol glucoside mixture (compound A). Yakuguku zasshi. 103(1), 43-48 

  20. Lee, M. A., H. J. Choi, J. S. Kang, Y. W. Choi, and W. H. Joo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J. Life Sci. 18(2), 220-227 

  21. Houghton, P. J. and A. Soumyanath (2006), ${\alpha}$ -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yllanthus amarus, J. Ethnopharmacol. 107, 449-455 

  22. Adisakwattana, S., K. Sookkongwaree, S. Roengsumran, A. Petsom, N. Ngamrojnavanich, W. Chavasiri, S. Deesamer, and S. Yibchok-anun (2004),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of trans-cinnamic acid derivatives on ${\alpha}$ -glucosidase inhibition, Bioorg. Med. Chem. Lett. 14, 2893-2896 

  23. Fujita, T., T. Funako, and H. Hayashi (2004), 8-Hydroxydaidzein, and aldose reductase inhibitor from Okara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 HK-388, Biosci. Biotechnol. Biochem. 68(7), 1588-1590 

  24. Fischer, P. B., G. B. Karlsson, R. A Dwek, and F. M. Platt (1996), N-butyldeoxynojirimycin-mediated inhibi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entry correlates with impaired gp120 shedding and gp41 exposure, J. Virol. 70, 7153-7160 

  25. Puls, W. and U. Keup (1973), Influence of an ${\alpha}$ -amylase inhibitor on blood glucose, serum insulin and NEEF in starch loading tests in rats, dogs and man, Diabetologia. 9, 97-101 

  26. Gowri, P. M., A. K. Tiwari, A. Z. Ali, and J. M. Rao (2007),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and amylase by bartogenic acid isolated from Barringtonia racemosa Roxb. seeds, Phytother. Res. 21, 796-799 

  27. Conforti, F., M. R. Loizzo, G. A. Statti, and F. Menichini (2005), Comparative Radical Scavenging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and Fractions from Achillea ligustica ALL, Biol. Pharm. Bull. 28(9), 1791-1794 

  28. Gua, J., Y. S. Jin, W. Han, T. H. Shin, J. H. Sa, and M. H. Wang (2006),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tioxidative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Equisetum arven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1), 77-81 

  29. Lee, S. L., Y. C. Park, and J. B. Kim (2007), Effects of Hambag Mushroom (Grifola Frondosa)-Powder on Hyperglycemia and Hyperlipemia in STZ and High Fat Diet-induced Diavetic Rats, J. Life. Sci. 17, 1387-1393 

  30. Rhinegart, B. L., K. M. Robinson, P. S. Liu, A. J. Payne, M. E. Wheatley, and S. R. Wanger (1987), Inhibition of intestinal disaccharidase and suppression of blood glucose by a new ${\alpha}$ -glucohydrolase inhibitor-MDL 25,637, J. Pham. Exp. Ther. 241, 915-9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