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의 식습관 및 식이섭취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A Case-Control Study of Food Habits and Diet Intake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1, 2008년, pp.41 - 53  

지선경 (전주기전대학 식품영양과) ,  장학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혜미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신성 당뇨병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인자를 알아보고자 컴퓨터용 식품섭취 빈도조사지와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임신성 당뇨병의 환자군-대조군 연구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연령과 BMI가 높았고, 당뇨병의 가족력이 많았다. 임신전의 식습관은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1일 식사횟수가 적었고, 식사시간이 불규칙하고 식사속도가 빨랐으며 채식을 적게 하고 기름진 음식을 싫어하는 경향이었으며, 식습관점수가 낮았다. 식품섭취빈도법으로 조사한 영양소 섭취량에서는 임신성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고 단백질의 에너지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지방의 섭취량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단백질과 칼슘, 인, 비타민 B,의 영양밀도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두 그룹간에 섭취량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식품 중 쌀, 중국국수, 돼지고기 등은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대조군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옥수수, 오징어채, 큰멸치, 수박, 포도, 복숭아, 밤, 땅콩, 호상 요구르트, 치즈, 검정콩, 당근 등은 대조군에서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많았다. 두 군 사이에 섭취량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는 음식 중 온면, 시루떡, 햄버거, 돼지고기편육, 삶은 계란 등은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섭취량이 많았고, 전병, 두부조림, 오징어채무침, 깍두기, 야채샐러드, 김치국, 과일샐러드, 콩밥, 콩조림, 토마토쥬스 등은 대조군에서 섭취량이나 섭취빈도가 많았다. 특히 쌀의 경우에는 임신성 당뇨병군이 대조군보다 섭취량은 많았으나 섭취빈도는 적어 임신성 당뇨병군에서 1회의 섭취분량이 많았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영양소 중에서는 탄수화물이나 에너지의 섭취량이 많을 때 임신성 당뇨병의 odds ratio가 증가하였고, 식품이나 음식은 쌀, 국수, 돼지고기, 온면, 시루떡, 햄버거, 삶은 계란, 돼지고기편육 등의 섭취량이 많을 때 임신성 당뇨병의 odds ratio가 증가하였다. 상관관계의 분석결과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 등이 혈액의 포도당농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신성 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인자는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의 섭취량으로 생각되어지며 단백질을 포함한 식사의 질과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defined as glucose intolerance discovered or onset during pregnancy and attention is needed because of increased risk of perinatal morbidties and higher incidence of diabetes afterwar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dietar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

주제어

참고문헌 (33)

  1.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1997; 20 (7): 1183-1197 

  2. Franz MJ, Horton ES, Beebe CA, Brunzell JD, Coulston AM, Hoogwere BJ, Stacpoole PW. Nutrition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mplications. Diabetes Care 1994; 17(5): 490-518 

  3. Yang EJ, Kim WY.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tus in Korea. Korean J Nutr 1999b; 32(4): 401-406 

  4. Kawate R, Yamakido M, Nisimoto Y. Diabetes mellitus and its vscular complications in Japanes migrants on the island of Hawaii. Diabetes Care 1979; 2: 161-170 

  5. Sevak L, McKeigue PM, Marmot MG. Relationship of hyperinsulinemia to dietary intake in South Asian and European men. Am J Clin Nutr 1994; 59: 1069-1074 

  6. Feskens E JM, Bowles CH, Kromhout D. Carbohydrate intake and body mass Index in relation to the risk of glucose intoler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1991; 54: 136-140 

  7. Major CA, Henry MJ, De Veciana M, Morgan MA. The Effect of Carbohydrate Restriction in Patients With Diet-Controlled Gestational Diabetes. Obstert Gyneol 1998a; 91 (4): 600-604 

  8. Moses RG, Shand JL, Tapsell LC. The Recurrence of Gestational Diabetes: Could Dietary Differences in Fat Intake Be an Explanation? Diabetes Care 1997; 20(11): 1647-1650 

  9. Choi MS, Lee JH, Paik IK, Chung YS, Lee HC, Huh KB. Influence of Body Fat Distribution on Glucose Tolerance and Serum Lipids i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92; 16(1): 45-53 

  10. So HK. A Case-Control Study for the Dietary Habits Related to Diabetes Mellitu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0 

  11. Choi MJ.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Calorie Intake, Blood Glucose, and Exercies in Female Diabetic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3; 26(2): 164-173 

  12. Song MH, Lee JM. A Study on Food and Nutrients Intake and Blood Contituents of Diabetes by Obese Index. Korean J Nutr 1993; 26(8): 953-966 

  13. Rho SN, Ko HS. A Clinical Properties on Nutrients Intake and Serum Concentration of Diabetic Subjects by Duration in Ansung Kyunggi-do. Korean J Nutr 1997; 30(10); 1203-1210 

  14. Ahn YJ, Paik HY, Lee HK, Park YS. Comparison of Food Intakes between Newly Diagnosed Diabetics and Nondiabetic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182-190 

  15. Yang EJ, Kim WY. The Influence of Dietary Factors on the Incidence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tus. Korean J Nutr 1999a; 32(4); 407-418 

  16. Park SM, Choi SB. The Meal Management of Korean Type 2 Diabetes Patients Using Carbohydrate Counting. J Korean Diet Assoc 1999; 5(1): 64-73 

  17. Kim SH.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 and pregnant Outcome in Pregnant Women with or without Gestational Diabetes Mellutes (GDM). Department of Food and Nutrtio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00 

  18. Park BK. The effects of carbohydrate-restricted diet therapy in gestational diabetes. Department of Food and Nutrtion Informa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Human Environment Science, Yonsei University; 2001 

  19. Yang EJ. A Study on Dietary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Department of Food and Nutrtion.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20. Cousins L, Baxi L, Chez R, Coustan D, Gabbe S, Harris J, Landon M, Sacks D, Shailini. Screening Recommendations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m J Obstet Gynecol 1991; 165(3); 493-496 

  21.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ategories of Glucose Intolerance. Diabetes 1979; 28(12): 1039-1057 

  22. McDonald A, Horn LV, Slattery M, Hilner J, Bragg C, Caan B, David Jacobs Jr, Liu K, Hubert H, Gernhofer N, Betz E, Havlik D. The CARDIA dietary history: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J Am Diet Assoc 1991; 91(9): 1104-1112 

  23. Ji SK. A Study of Dietary Factors and Biochemical Indices on the Onse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epartment of Food and Nutr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24. Harris SB, Caulfield LE, Sugamori ME, Whalen EA, Henning B.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in Pregnant Native canadians. Diabetes Care 1997; 20(9): 1422-1425 

  25. Jang HC. Prevalence and Heterogeneit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Seoul. Depatment of Internal Medicin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26. Kim YL, Ahn MO, Kwak IP, Kim MJ, Cha KS, Chung CH, Ahn KJ, Chung YS, Lee HC, Huh KB. Clinical Feature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n. Korean J Intern Med 1992; 43(6): 776-784 

  27. Feskens E JM, Bowles CH, Kromhout D. Carbohydrate intake and body mass Index in relation to the risk of glucose intoler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1991; 54: 136-140 

  28. Goldman M, Kitzmiller JL, Abrams B, Cowan RM, Laros JR KR. Obstetric Complications With GDM Effects of Maternal Weight. Diabetes 1991; 40 Suppl 2(12): 79-82 

  29. Choi MJ.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Calorie Intake, Blood Glucose, and Exercies in Female Diabetic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993; 26(2): 164-173 

  30. Kim SH. Changes of the Food Preferences and the Practices of Pica of Women in the Latter Half of Pregnancy. Korean J Nutr 1976; 9(4): 28-35 

  31. Tepper BJ, Seldner AC. Sweet taste and intake of sweet foods in normal pregnancy and pregnancy complicated by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m J Clin Nutr 1999; 70(2): 277-284 

  32. Lee KU, Ryu JS, Kim YT, Shong YK, Kim GS, Lee MH.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betic Patients classified by Fasting Plasma C-Peptide Level and Degree of Obesity. Korean J Intern Med 1992; 42(3): 315-321 

  33. Anderson JW, Herman RH. Effect of Carbohydrate restriction on glucose tolerance of normal men and reactive hypoglycemic patients. Am J Clin Nutr 1975; 28: 7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