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 임부의 혈당조절을 위한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Coaching Program on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672 - 681  

고정미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종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a Coaching Program on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with pregnant women who have gestational diabet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study. Pregnan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교육 대상에서 간과되어져 왔던 임신성 당뇨 임부를 대상으로 혈당조절, 우울, 자가 간호에 효과적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 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혈당을 잘 조절하여 과체중아 출산을 막고 출산 후 현성 당뇨로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임신 36주까지만 추적하였고 분만 후 실제 출생 신생아의 몸무게나 출산 후 산모의 당화혈색소나 공복 시 혈당을 측정하지 못하여 코칭의 효과가 출산 후까지 이어지는지 추적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연구를 통하여 출산 후까지 추적해 신생아의 체중이나 제2형 당뇨병 발생 여부까지의  효과를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간과되어져 왔던 임신성 당뇨 임부를 대상으로, 건강 행위 변화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GROW 모형을 바탕으로 당뇨 교육, 소그룹 코칭과 1:1 전화코칭으로 이루어진 포괄적 생활양식 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임신성 당뇨지식, 자가 간호, 우울, 혈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 임부에게 4주 동안 당뇨교육과 함께 소그룹 코칭과 1:1 전화코칭을 이용한 포괄적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임부에게 포괄적 생활양식 조절 코칭프로그램이 임신성 당뇨지식, 자가간호, 우울,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유사 실험설계이다(Figure 1).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성 당뇨임부를 위한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임신성 당뇨 임부의 임신성 당뇨 지식, 자가 간호, 우울,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포괄적 생활양식 조절 프로그램은 임신성 당뇨 임부가 생활양식 조절을 통해 자신이 목표하는 혈당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코칭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4주 과정으로 매주 과정은 교육(30분), 소그룹 코칭(30분), 전화 코칭(20분)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자는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15년간 임신성 당뇨 교육 경험과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 운영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한국멘토링 코칭협회에서 16시간의 그룹코칭과 18시간의 전화코칭 교육과 함께 50시간의 코칭 실습 훈련을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연구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고 연구 대상 병원의 기관장과 해당 산부인과, 내과전문의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대상자로부터 연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았다.

가설 설정

  •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공복 시 혈당이 더 낮아질 것이다.
  •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당화혈색소(HbA1C)가 더 낮아질 것이다.
  •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우울이 더 감소될 것이다.
  • “포괄적인 생활양식조절 코칭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가 간호 수행정도가 더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포괄적인 생활양식 조절 코칭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공복시 혈당이 더 낮아질 것이다.
  • 가설 5. 포괄적인 생활양식 조절 코칭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당화혈색소가 더 낮아질 것이다.
  • 가설 3. 포괄적인 생활양식 조절 코칭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우울이 더 감소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란 무엇인가? 임신성 당뇨는 임신에 의한 생리적 변화나 호르몬 대사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대사장애로, 전 세계적으로 임신성 당뇨 발병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7년 유병률이 4.1%였던 것이 해마다 1~2%씩 증가되어 2011년에는 10.
임신성 당뇨는 임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임신성 당뇨는 임부에게는 임신 중 양수과다증, 자간전증, 요로 감염, 난산으로 인한 산도손상 등의 산과적 합병증을 일으킬 뿐 아니라[2], 출산 후에는 10~45%가 현성 당뇨병으로 진행되며[3], 또한 신생아에게는 출생 후 저혈당증, 고빌리루빈 혈증, 신경손상 등 주산기 합병증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는 소아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증가시키게되므로[2],임신성당뇨임부의혈당관리가매우중요하다.
GROW 코칭의 4단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GROW 코칭에서는 대상자인 피코치가 자기 주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행동변화를 통해 목표를 달성할수 있도록 코치가 돕는 과정으로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코칭이슈를 명료화하는 목표설정 단계(Goal), 2단계는 현재의 상황을 확인하는 현실파악 단계(Reality), 3단계는대안 탐색 단계로 목표에 이르지 못하는 장애요인을 찾고(Obstacles), 가능한 대안을 탐색하거나 다른 전략 혹은 행동계획을 파악하는 단계로(Option), 여러 대안 중에서 근본적이고도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4단계는 실천의지 다지기 단계로 언제,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의지(Will)를 확인하여 행동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8]. 이 4단계를 통하여 본인이 주어진 현실에서 대안을 찾고 실행하여 본인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장 간단하고 유용한 모델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3 [Internet]. Seoul: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3 [cited 2013 October 12]. Available from: www.diabetes.or.kr/temp/diabetes_factsheet_2013111.pdf. 

  2. Reece EA. The fetal and maternal consequence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10;23(3):199-203. http://dx.doi.org/10.3109/14767050903550659 

  3. Jang HC. Diagnosi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06;7(4):296-301. 

  4. Park JE.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2;13(3):148-151. http://dx.doi.org/10.4093/jkd.2012.13.3.148 

  5. Choi ES, Oh JA, Hur MH, Lee IS, Choi SY. The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about gestational diabete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000;6(1):96-108. 

  6. Katon JG, Russo J, Gavin AR, Melville JL, Katon WJ. Diabetes and depression in pregnancy: Is there an association? Journal of Women's Health. 2011;20(7):983-989. http://dx.doi.org/10.1089/jwh.2010.2662 

  7. McKellar JD, Humphreys K, Piette JD. Depression increases diabetes symptoms by complicating patients' self-care adherence. The Diabetes Educator. 2004;30(3):485-492. 

  8. Whitmore J. Coaching for performance: GROWing human potential and purpose: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coaching and leadership. 4th ed. London, UK: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9. 

  9. Hayes E, Kalmakis KA. From the sidelines: Coaching as a nurse practitioner strategy for improving health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e Practitioners. 2007;19(11):555-562. http://dx.doi.org/10.1111/j.1745-7599.2007.00264.x 

  10. Whittemore R, Melkus GD, Sullivan A, Grey M. A nurse-coaching intervention for women with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2004;30(5):795-804. 

  11. Navicharern R, Aungsuroch Y, Thanasilp S. Effects of multifaceted nurse-coaching intervention on diabetic complications and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the Medical Association of Thailand. 2009;92(8):1102-1112. 

  12. Olsen JM, Nesbitt BJ. Health coaching to improve healthy lifestyle behaviors: An integrative review.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0;25(1):e1-e12. http://dx.doi.org/10.4278/ajhp.090313-LIT-101 

  13. Jeon HO, Kim O. The effects of an internet based coaching program for obesity management in hypertensiv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2):146-159. 

  14. Hwang JY.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on self-esteem, subjective-wellbeing, depression for middle-aged housewives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12. 

  15. Armstrong C, Wolever RQ, Manning L, Elam R, 3rd, Moore M, Frates EP, et al. Group health coaching: Strengths, challenges, and next steps.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2013;2(3):95-102. http://dx.doi.org/10.7453/gahmj.2013.019 

  16. Kim S, Kim HS, Cheong HY. Effects of a coaching-based childbirth program on anxiety and childbirth self-efficacy among primigravida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69-377.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4.369 

  17. Gu MO. The effect of a self reg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promotion and maintenance of self care behavior in the chronically ill patients: For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6;26(2):413-427. 

  18. Bae JI.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6. 

  19. Korea Association of Diabetes Nurse Educator. Gestational diabetes [Internet]. Seoul: Korea Association of Diabetes Nurse Educator; 2013 [cited 2013 September 8]. Available from: http://kadne.cafe24.com/bbs/board.php?bo_tablesub3_13&wr_id8. 

  20. Park JY. A study for developing an effective group coaching process.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2010;3(1):41-64. 

  21. Lee YR, Kang MA, Kim PG.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8;14(1):12-19. 

  22. Paek KS. The effect of a diabetic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behavior and glucose metabolis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1;12(2):390-396. 

  23. Wolever RQ, Dreusicke M, Fikkan J, Hawkins TV, Yeung S, Wakefield J, et al. Integrative health coaching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The Diabetes Educator. 2010;36(4):629-639. http://dx.doi.org/10.1177/0145721710371523 

  24. Polonsky WH, Earles J, Smith S, Pease DJ, Macmillan M, Christensen R, et al. Integrating medical management with diabetes self-management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 trial of the diabetes outpatient intensive treatment program. Diabetes Care. 2003;26(11):3048-3053. 

  25. Radder JK, van Roosmalen J. HbA1c in healthy, pregnant women. The Netherlands Journal of Medicine. 2005;63(7):256-259. 

  26. Yoo JS, Lee SJ, Lee HC, Kim MJ.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body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sian Nursing Research. 2007;1(2):106-115. http://dx.doi.org/10.1016/s1976-1317(08)60013-4 

  27. Kim H, Kim S. Effects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on self-management, glycemic control, and maternal identit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69-80.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69 

  28. Homko CJ, Santamore WP, Whiteman V, Bower M, Berger P, Geifman-Holtzman O, et al. Use of an internet-based telemedicine system to manage underserved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2007;9(3):297-306. http://dx.doi.org/10.1089/dia.2006.0034 

  29. Thom DH, Ghorob A, Hessler D, De Vore D, Chen E, Bodenheimer TA. Impact of peer health coaching on glycemic control in low-income patients with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Family Medicine. 2013;11(2):137-144. http://dx.doi.org/10.1370/afm.1443 

  30. Katon J, Williams MA, Reiber G, Miller E. Antepartum A1C, maternal diabetes outcomes, and selected offspring outcomes: An epidemiological review. Paediatric and Perinatal Epidemiology. 2011;25(3):265-276. http://dx.doi.org/10.1111/j.1365-3016.2011.0119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