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이끼의 MeOH 추출물을 $CHCl_3$, EtOAc 및 BuOH로 용매 분획하여 $CHCl_3$ 분획으로부터 5,7,3',4'-tetra hydroxy flavone 분리하였고 EtOAc 분획에서 3,3',4',5,7-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과 kaemperol-3-O-$\beta$-D-glucopy-ranoside를 분리하였다. BuOH분획으로부터는 quercetin-3-O-rutinoside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규명하였다. 솔이끼에서 이 물질들은 처음 분리 되어 보고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compounds, luteolin(1), quercetin(2) astragalin(3), rutin(4),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all part of Polytrichum commune.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These compounds have not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황색 침상결정 화 합물 3(12mg)을 얻었다. BuOH(0.6g) 분획은 CHCI3: MeOH: %0(9:3:0.3)을 유출 용매로 하여 SiO2 column chromato- graphy를 실시하여 7개의 분획 (Bl~B7)으로 나누었으며 B7 분 획을 MeOHdOO%)를 용매로 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실시하여 6개의 소분획 (B71~B76)으로 나 누고 이 중 소분획 B71 분획을 MeOH(50%)로 용매로 하여 C18 column chromatogrphy로 정제하여 황색 분말상 화합물 4(30 mg)을 얻었다.
  • CHClg 분획(0.9g)을 H20:MeOH(100:0~0:100)< 유출 용 매로 하여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4개의 분획(C1 ~C4)으로 나누었으며, 그 중 C4 분획을 다시 CHC13:MeOH:H2O(8:2:l)을 용매로 하여 SiO2 column chromatography 실시하여 5개의 소분획 (C41 ~C45)으로 나누 었다. 이 중 소분획 C44를 methanol(55%)를 용매로 하여 屜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황색 분말상 화합물 l(18mg)을 얻었다.
  • E9T1 분획을 농축 후 methan이을 전개용매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graphy를 실시하여 2개의 소분(EA1 -2)으로 나누고 이 중 EA1 을 CHC13:MeOH(4:l)을 용매로 하여 SiO2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황색 침상결정 화 합물 3(12mg)을 얻었다. BuOH(0.
  • 이 중 소분획 C44를 methanol(55%)를 용매로 하여 屜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황색 분말상 화합물 l(18mg)을 얻었다. EtOAc분획(0.7g)을 GHCl3:MeOH:H2O (7:3:1) 전개 용매로 하여 SiQ column chromatography를 실 시하여 20개(E1 ~E20) 소분획을 얻은 후 소분획 E5~7를 농축 하여 이들을 methanoKlOO%) 용매로 재결정하여 황색 침상결 정의 화합물 2(14mg)을 얻었다.
  • 솔이끼의 MeOH 추출물을 CHCk EtOAc 및 BuOH로 용매 분획하여 CHCL 분획으로부터 5, 7, 3', 4'-tetra hydroxy flavone 분리하였고 EtOAc 분획에서 3, 3', 4', 5, 7- pentahydroxy-2-phenylchromen-4-one과 kaemperol- 3-O-/3-D-glucopy-ranoside를 분리하였다. BuOH분획으로 부터는 quercetin-3-O-rutinoside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규 명하였다.
  • 화합물 1-4는 본 식물에서는 처음 분리되었으나 식물에서 흔 히 보고되는 잘 알려진 성분들이다. 이들 성분의 구조는 *H- NMR, 13C-NMR 및 MS 스펙트럼 자료를 문헌과 비교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1은 황색 분말상의 물질로써 m.
  •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MeOH 엑 기스 5g를 얻었다. 이를 n-hexane, chloroform(CHCl3), ethyl acetate(EtOAc), n-butanol(BuOH)로 용매 분획하여 n-hexane(2g), chloroform©.9g), ethyl acetate©7g), n- butanol(0.6g) 분획으로부터 화힙물 4종을 분리하였다.
  • 13C-NMR spectrum에서는 총 15개의 carbon signal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자료로부터 화합물 1은 5, 7, 3', 4'- tetrahydroxy flavone(luteolin)으로 구조를 추정하였고 기존의 문헌을 비교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 6에서 C-4의 carbonyl기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자료로부터 화합물 4은 quercetin-3-O- rutinoside(rutin)로 구조를 추정하였고 기존의 문헌을 비교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 국내에서 자생하는 Polytrichum 선류에 대한 식물 화학적 성분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가 없다 저자 등은 국내에 자생하는 솔이끼과 식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던 중에 솔이끼에 대한 식물화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솔이끼의 성분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건조된 솔이끼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 매 분획과 반복적 인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4종의 화합 물을 분리, 정제하여 이화학적 성상 및 기기분석 자료를 통해 그 구조를 규명 하였다.
  • 는 310~313℃이며, 10% HzSC/EtOH)에서 노란색으로 발색되었다. 화합물 2의 구 조는 IR, UV 스펙트럼, 1H-NMR, 13C-NMR 스펙트럼 자료를 문헌치6F와 비교하여 3, 3', 4', 5, 7-pentahydroxy-2- phenylchromen-4-one(quercetin) 으로 구조를 확정하였다. 화합물 3은 황색 침상의 물질로써 m.
  • 는 187~ 191℃ 이며, 10% HzSC/EtOH)에서 노란색으로 발색되었다. 화합물 3의 구 조는 Mg/Hcl and Zn/HCl test와 U.V 스펙트럼, 1H-NMR, 13C-NMR 스펙트럼 자료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kaempferol-3 -O-/?-D-gluco pyranoside(astragalin)S 구조를 확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NMRe Varian Unity-Inova-500 spectrophotometer# 사용하였다. EI-MS spectrume JMS - 700(Jeol, Japan)와 FAB-MS는 VG70-VSEG(VG Analytical, UK)를 사용 측정하였다, Column chromato- graphy용 silica gele Kiesel gel 60(Merck)와 LiChroprep C-18(Merck)를 사용하였고, molecular sieve column chromatography용 packing 물질은 Sephadex LH-20(GE) 을 사용하였다.' TLC plate는 Kiesel gel 60 F254 precoated plate(Art.
  • 솔이끼 (Polytrichuzn commune)는 2007년 6월에 강원도 평 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새봉산에 직접 채집하여 정확히 감정한 후 사용하였고, 표본은 고령지 농업 연구소 유기분석실(표번번호 NIHA - 004)에 보관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최두문.1980. 한국동식물식물도감, 790, 교육부, 서울 

  2. Janeczewski, E., 1978. In advances in botanical research, 195-276, Woolhouse, H, W.,Academic Press London, New York, San Francisco 

  3. Kim, C. W. and K. S. Choi. 1993.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Impatiens extori. Kor. J. Pharmacogn. 24: 26-31 

  4. Kim, K. S., S. H. Lee, K. H. Kang and B. K. Kim. 2005. Flavonoid galactosides from Artemisia apiacea. Nat. Prod. Sci. 11: 10-1 

  5. Choe, S. G., B. Y. Hwang, M. S. Kim, G. J. Oh, K. S. Lee and J. S. Ro. 1998. Chemical Components of Rumex acetosella L. Kor. J. Phamacogn. 29: 209-216 

  6. Park, J. C., J. G. Park, J. S. Hur, M. R. Choi, E. J. Yoo, S. H. Kim, J. C. Son and M. S. Kim. 2004.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phenolic acids and favonoids from the leaves of Eucalyptus darylmpleana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Nat. Prod. Sci. 10: 244-247 

  7. Huong, D. T. L., N. T. Dat, X. F. Cai and G. Shen. 2004. Phenolic components from the leaves and twings of Rhamnus taquetii. Kor. J. Pharmacogn 35: 139-142 

  8. Lee, E. H., H. J. Kim, Y. S. Song, C. B. Jin, K. T. Lee, J. S. Cho and Y. S. Lee. 2003. Constituents of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saboten. Arch. Pharm. Res. 26: 1018-1023 

  9. Lee, M. S., S. C. Lim and H. J. Park. 1994. Phthalate Ester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Erythronium japonicum. Kor. J.Medicinal Crop Sci. 2: 67-72 

  10. Won, H. M., Y. S. Kwon, J. H. Lee and C. M. Kim. 2004.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Weigela subsesillis, 3. Kor. J. Phamacogn 5: 1-5 

  11. Kim, D. K., J. H. Kwak, K. W. Song, H. C. Kwon, O. P. Zee and K. R. Lee. 1996.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Kor. J. Phamacogn 27: 75-79 

  12. Agrawal, P.K. 1989. Carbon-13 NMR of Flavonoids, 335-337 Elsevier 

  13. Markham, K. R. and V. M. Chari. 1982 .The Flavonoids: Advances in Research, 319. Chapman and Hall, Lodon 

  14. Hasan, A., L. Ahmed, M. Jay and V. Voirin. 1995. Flavonoid glycosides and anthraquinone from Rumex chulepensis, Phytochemistry 39: 1211-1213 

  15. Nam, J. H., S. Z. Choi and K. R. Lee. 2004.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ynurus excelsus, 35 Kor. J. Phamacogn pp. 116-1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