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위해성 관리를 위한 나노물질 주요 배출원 파악
Investigation on the Main Exposure Sources of Nanomaterials for Nanohazards Assessment 원문보기

환경독성학회지 =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v.23 no.4, 2008년, pp.257 - 265  

김영훈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박준수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휘로 (광운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정진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배은주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이수승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곽병규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최경희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노출평가과) ,  박광식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이종협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notechnology is emerging a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of the 21 st century and is expected to enable one to broaden the applicability across a wide range of sectors that can benefit public and improv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lready, consumer products containing nanomaterials are availabl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정내 잔류 나노물질의 폐기 또한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정보이며, 이에 대한 자료도 조사되었다. 제조생산하고 남은 나노물질의 처리방식은 소각, 매립, 폐기, 재사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산불, 연소가스 등)을 제외한 인위적으로 제조한 나노물질만을 배출원 및 배출량 파악의 대상으로 하였다. 나노물질 배출량 조사는 나노물질을 생산/판매/사용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공정내 나노물질의 배출 정도를 조사하여 국내 나노물질의 주요 배출원 및 배출량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우편 발송법과 이메일 발송법을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설문조사에서는 나노물질을 직접 취급하는 기관에 대한 나노물질의 위해성 인식을 파악하였다.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언론 보도나 자발적인 정보취득을 통해 나노물질의 위해성을 인지하고 있는지 관하여 조사 하였다.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는 작업자는 31%로 전체의 1/3에 불과 하였다.
  • (KISTI, 2006). 따라서 본 설문조사에서는 나노물질을 직접 취급하는 기관에 대한 나노물질의 위해성 인식을 파악하였다. 나노물질의 위해성에 관한 언론 보도나 자발적인 정보취득을 통해 나노물질의 위해성을 인지하고 있는지 관하여 조사 하였다.
  • 2006). 본 연구에서는 국가 나노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나노물질에 의한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나노기술의 위험도 인식 조사 수준을 넘어서 나노물질의 주요 배출원 및 배출량 파악에 중점을 두었다. 초기 조사를 통하여 기업처L 연구소대학 등에서 주로 생산, 사용.
  • 따라서 사업장 내의 자발적인 보고를 통한 "물질수지법"을 이용한 나노물질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나노물질의 환경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나노제품의 유통방식이나 잔류 나노입자의 처리방식, 나노물질 노출시 모니터링 능력 등에 관한 배출량 산정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내용을 조사하였다.
  • 취급하는 나노물질의 주요 활용분야 및 해당 물질의 물리화학적 정보 취득경로에 관하여 조사하였다(Fig. 1). 나노물질은 원료물질로 생산하여 판매하거나, 다른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해 해당 물질을 취급한다.
  • 초기 조사를 통하여 기업처L 연구소대학 등에서 주로 생산, 사용. 폐기, 관리하고 있는나노물질의 종류를 개략적로 파악하고, 특정 나노물질의 주요 배출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나노위해성 관리에 관한 정책 결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orm PJA and Kreyling W. Toxicological hazards of inhaled nanoparticles-potential implications for drug delivery, J Nanosci Nanotech 2004; 4: 521-531 

  2. Kim MS, Choi K, Kim Y and Yi J. Risk assessment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s of nanomaterials, Clean Technol 2007; 13: 159-170 

  3. Kim Y and Yi J. Risk of nanotechnology,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05; 23: 338-342 

  4. KISTI. Investigation results on the nano-hazard in Korea, Japan, USA, and UK, Nano Weakly 2006; 182: 2-4 

  5. KISTI. Annual report on the nanotechnology 2005, 2006 

  6. Lam CW, James JT, McCluskey R and Hunter RL. Pulmonary toxicity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in Mice 7 and 90 days after intratracheal instillation, Toxicol Sci 2004; 77: 126-134 

  7. Malsh I and Oud M. Outcome of the open consultation on the european strategy for nanotechnogy, Nanoforum 2005 

  8. Maynard A and Michelson E. Nanotechnology consumer products inventory,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05 

  9. Morones JR, Elechiguerra JL, Camacho A, Holt K, Kouri JB, Ramirez JT and Yacaman MJ. The bactericid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Nanotechnol 2005; 16: 2346-2353 

  10. NanoKorea. 2007 webpage (see http://www.nanokorea.or.kr) 

  11. Oberdorster E. Manufactured nanomaterials (Fullerenes, C60) induce oxidative stress in the brain of juvenile largemouth bass, Environ Health Persp 2004; 112: 1058-1062 

  12. Warheit DB, Brock WJ, Lee KP, Webb TR and Reed KL. Comparative pulmonary toxicity iInhalation and instillation studies with different $TiO_2$ particle formulations: Impact of surface treatments on particle toxicity, Toxicol Sci 2005; 88: 514-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