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Embryonic and Larva Development of Nake-Headed Goby, Luciogobius grandis 원문보기

Development & reproduction = 발생과 생식, v.12 no.2, 2008년, pp.133 - 139  

윤성민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  한경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이성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임후순 (포항지방해양수산청) ,  황재호 (전남대학교 친환경해양바이오특성화사업단) ,  연인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김이청 (국립수산과학원 남부내수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06년 $2{\sim}5$월에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 주변 해역의 하천과 연계된 기수구역에서 간조시 돌 밑부분에 부착된 큰미끈망둑의 난을 채집하여 전남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사육하면서 난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큰미끈망둑의 수정란은 난막이 타원형으로 부풀어 장경이 $2.06{\pm}0.23\;mm$ (n=20), 단경이 $0.74{\pm}0.04\;mm$ (n=20)로 투명하였고,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돌에 부착하는 부착란으로 다수의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18.4{\sim}21.0^{\circ}C$(평균 $19.4^{\circ}C$)일 때 상실기로부터 120시간 54분이었으며, 그때의 근절수는 $34{\sim}36$개로 되었다. 난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란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쪽을 향하는 역자란이 출현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30{\pm}0.07\;mm$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 소포는 부화 직전보다 증가하였으며, 근절수는 $34{\sim}36$개 였다. 부화 후 9일째 자어의 전장은 $5.06{\pm}0.18\;mm$ (n=30)로 눈의 앞쪽에서 부레의 앞까지 직선상으로 흑색 소포가 더욱 넓게 발달하였으며,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9일째 전장은 $11.46{\pm}0.12\;mm$ (n=30)로 모든 지느러미 수가 정수에 달하고, 근절수는 $40{\sim}41$개로 증가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ggs of Luciogobius grandis attached beneath the small stone were collected at Ocheon-dong, Yeosu-city from February to May, 2006. We carried them to the laborator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ir development. The fertilized eggs were elliptical in shape (mean long ax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큰미끈망둑의 초기생활사 연구의 일환으로 난발생 과정 및 발육 단계에 따른 자치어의 형태 발달에 대하여 연구하였기에 보고한다.
  • 이 연구는 큰미끈망둑의 산란습성 및 난의 형태, 난발생 과정, 자치어의 형태 발달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미끈망둑의 초기생활사 연구의 목적으로 난 발생 과정 및 발육 단계에 따른 자치어의 형태 발달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난 정상란과 역자란의 출현율은 어떻게 되는가? 3, A)과 머리부분이 부착사(기부)쪽을 향하는 역자란(abnormal egg or agrippa egg; Fig. 3, B)이 출현하였고, 총 123개의 난중 정상란과 역자란의 출현율은 110 : 22로 역자란의 출현율이 전체의 약 20%에 이르렀으며, 이들 역자란도 부화할 때는 정상적으로 부화하였다.
큰미끈망둑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은 농어목(Perciformes), 망둑어과, 미끈망둑속(Luciogobius)에 속하는 어류로 1970년 Arai에 의하여 신종으로 기록되었으며, 김 등(1986)은 관찰표본 없이 국명만 신칭하였다. 큰미끈망둑은 주로 내만의 모래질이나 펄질에 주로 서식하며, 하천 하구역의 자갈과 돌이 있는 기수역에도 분포한다(Shiogaki et al., 1974).
큰미끈망둑는 분류학상으로 어디에 속하는 어류인가?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은 농어목(Perciformes), 망둑어과, 미끈망둑속(Luciogobius)에 속하는 어류로 1970년 Arai에 의하여 신종으로 기록되었으며, 김 등(1986)은 관찰표본 없이 국명만 신칭하였다. 큰미끈망둑은 주로 내만의 모래질이나 펄질에 주로 서식하며, 하천 하구역의 자갈과 돌이 있는 기수역에도 분포한다(Shioga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