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3월까지 전남 여수시 거문도 해역에서 어획된 찰가자미의 어미로부터 실험실 내 자연 산란을 유도하여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이고, 유구는 없었으며, 난경은 1.64${\pm}$0.03 mm(n=50)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9.8\sim13.0^{\circ}C$(평균 $11.4{\pm}1.6^{\circ}C$)에서 수정 후 168시간 40분이었으며, 부화 직후의 평균 전장은 4.05${\pm}$0.18 mm(n=20)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막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물방울 모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이때 근절은 14~15+33~34=47~49개였으며, 난황은 장경이 평균 1.64${\pm}$0.12 mm, 단경은 평균 1.23${\pm}$0.19 mm였다. 부화 후 12일째 자어의 전장은 평균 7.32${\pm}$0.42 mm(n=20)로 난황은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막지느러미 가장자리에는 별 모양 흑색 소포와 나뭇가지 모양의 황색 소포가 더욱 밀집되었고, 척색은 국화 모양의 흑색 소포가 밀집되어 4~5개의 흑색 소포대를 형성하였다. 부화 후 90~93일째 평균 전장이 19.91${\pm}$1.63 mm(n=20)였고, 모든 지느러미 줄기 수가 정수에 달하였으며, 모든 반문이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lime flounder Microstomus achne were caught at Geomun Island, Yosu-si, Jeollanamdo from January to March in 2006. The fertilized eggs were observed for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embryo and larva. Eggs were colorless transparent, separative pelagic, absent of oil globule, and the diam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찰가자미의 난 발생과정과 발육단계에 따른 자치어의 형태 발달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생태학적 연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찰가자미의 외형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가자미과에 속하는 어류는 39속 93종이 보고되어 있으며(Nelson, 1994), 우리나라에서는 17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한국동물분류학회, 1977). 찰가자미의 몸은 긴 타원형이며, 꼬리자루 길이는 짧고, 꼬리자루 높이는 높은 편이며, 몸 빛깔은 붉은 색을 띤 갈색으로 분명치 않은 흑갈색 또는 유백색의 반점들이 있고, 눈이 없는 쪽은 백색이다. 찰가자미는 우리나라 연 근해, 발해, 동중국해, 일본 서부 연안 등에 걸쳐 분포하며, 바닥이 펄이나 모래질인 수심 50~450 m로 주로 깊은 바다에 서식한다.
가자미과에 속하는 어류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가자미류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는 문치가자미(Pleuronectes yokohamae)의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 발달(Yusa, 1960b; Kim et al., 1983; Han et al., 2001),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의 초기 발달과 성장(Yusa, 1961; Imaoka & Misu, 1974),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의 난발생과 초기생활사(Takita & Fujita, 1964; Minami, 1982), 갈가자미(Tanakius kitaharai)의 초기생활사(Minami, 1983),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에 대한 난발생과 초기생활사(Kim, 1982; Minami, 1984), 범가자미(Verasper variegatus)에 대한 난발생과 형태 발육 및 성장(Takita et al., 1967; Cho et al., 1995; Aritaki et al., 2001), 노랑가자미(Verasper moseri) 자치어의 형태 발육과 성장(Aritaki et al., 2000) 등과 문치가자미와 점가자미(Limanda schrencki)의 난과 자어의 구조적 차이(Yusa, 1960a), 물가자미와 갈가자미의 초기 발생과 자어 사육(Fujita, 1965), 문치가자미와 참가자미(Limanda herzensteini)의외부 형태의 비교와 식별(Kato et al., 1974), 참가자미의 초기 발생과 자치어 사육(Rho et al., 1988) 등의 많은 연구가 있다. 찰가자미에 관한 연구는 수정란의 분포(Ishito & Hashimoto, 1993), 정자의 냉동 보존(Saitoh, 1996), 해양 세균(Erythrobacter sp.
찰가자미는 무엇인가? 찰가자미, Microstomus achne는 가자미목(Pleuronectiformes), 가자미과(Pleuronectidae), 찰가자미속(Microstomus)에 속하 저서성 어류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찰가자미속 어류는 찰가자미 1종이 알려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자미과에 속하는 어류는 39속 93종이 보고되어 있으며(Nelson, 1994), 우리나라에서는 17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한국동물분류학회, 197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itaki MK, Ohta Y, Hotta, Tanaka M (2001)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reared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Nippon Suisan Gakkaishi Japanese 67:58-66. 

  2. Aritaki M, Suzuki S, Watanabe K (2000) Morp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laboratory-reared barfin flounder Verasper moseri. Nippon Suisan Gakkaishi Japanese 66:446-453. 

  3. Byun SG, Lee BI, Lee JH, Ku HD, Park SU, Yun SM, Hwang SY, Kim YC, Han HG (2007)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Korean J Ichthyol 19:350-359. 

  4. Cho KC, Kim JH, Go CS, Kim Y, Kim KK (1995) A study on seedling production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50:41-57. 

  5. Chyung MK (1991)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Korea, pp 443-444. 

  6. Fujita S (1965) Early development and rearing of two common flatfishes, Eopsetta grigorjewi (Herzenstein) and Tanakius kitaharai (Jordan et Starks). Bull Jap Soc Sci Fish 31:258-262. 

  7. Han HK, Kang DY, Hur SB, Kim SW (2001)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arly development, survival and growth rate in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J Aquaculture 14:17-21. 

  8. Han KH, Kim YU (1997a)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Bull Mar Sci Inst Yosu Nat'l Fish 6:39-47. 

  9. Han KH, Kim YU (1997b)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1.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s. Bull Yosu Nat'l Fish 11:105-117. 

  10. Han KH, Park JT, Jin DS, Jang SI, Joung HH, Jho JK (2001)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Korean J Ichthyol 13:161-165. 

  11. Ishito Y, Hashimoto R (1993) Distribution of the egg of the slime-flounder, Microstomus achne (Jordan et Starks) in the northeastern coast of Japan. Bull Tohoku Nat'l Fish Inst 55:37-51. 

  12. Imaoka Y, Misu H (1974) Fisheries biology of the roundnose flounder, Eopsetta grigorjewi Herzenstein, in the south-weatern Japan sea and its adjacent water-Ⅵ. Early stage in development and growth by rearing. Bull Jap Soc Sci Fish 40:1107-1114. 

  13. Kang SJ, Lim YS, Park SU, Lee WJ, Cho BD, Park HG, Park YS, Oh HY (1999) Availability of marine bacteria (Erythrobacter sp. S ${\pi}$ -1) for enrichment of livefood in the slime flounder larvae, Microstomus achne. J Korean Fish Soc 32:798-802. 

  14. Kato F, Okiyama M, Tajima M (1974) External morphology and discrimination of two species of flounders belonging to the genus Limanda (L. yokohamae, and L. herzensteini) from the Japan sea. Bull Jap Sea Reg Fish Lab 25:63-87. 

  15. Kim YU (1982)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right-ey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Basilewsky). Bull Korean Fish Soc 15:323-328. 

  16. Kim YU, Myoung JK, Park JS (1983) Eggs development and larvae of the right-eye flounder, Limanda yokohamae Gunther. Bull Korean Fish Soc 16:389-394. 

  17. Kim YU, Kim YM, Kim YS (199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Nat'l Fish Res Dev Agency, pp 1-299. 

  18. Minami T (1982) The early life history of a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Bull Jap Soc Sci Fish 48: 369-374. 

  19. Minami T (1983) The early life history of a flounder Tanakius kitaharai. Bull Jap Soc Sci Fish 49:527-532. 

  20. Minami T (1984) The early life history of a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Bull Jap Soc Sci Fish 50:551-560. 

  21. Mito S (1963) Pelagic fish eggs from Japanese waters-Ⅸ. Echene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Jap J Ichthyol 11:81-102. 

  22.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H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pp 1-439. 

  23. Okiyama M (1987)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pp 1-1154. 

  24. Rho S, Pyen CK (1986) Mass fry production of rock cod, Epinephelus fario and flat fish, Paralichthys olivaceus. Rept Aquacult Lab Coll Mar Sci Technol Cheju Univ 3:20-37. 

  25. Rho YG, Park DW, Lee GT (1988) Early development and rearing of floating larvae and fry of flatfish, Limanda herzensteini Jordan et Synder.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41:65-73. 

  26. Rho YG, Park DW, Park YJ, Lee JH (1988) The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flounder, Limanda sakhalinensis Hubbs. Bull Nat'l Fish Res Dev Inst 41:75-85. 

  27. Saitoh S (1996) Cryopreservation of flatfish sperm 1. Pellet and straw methods. Sci Rep Hokkaido Fish Exp Stn 48:9-17. 

  28. Takita T, Fujita S (1964) Egg development and prolarval stages of the turbot, Pleuronichthys cornutus (Temminck et Schlegel). Bull Jap Soc Sci Fish 30:613-618. 

  29. Takita T, Fujuta S, Dotsu Y (1967) Egg development and prolarval stages of flatfish, Verasper variegatus (temminck et Schlegel). Fac Fish Nagasaki Univ 23:101-106. 

  30. Yusa T (1960a) Differences of structures of eggs and larvae between Limanda yokohamae Gunter and Limanda schrencki Schmidt. Bull Mar Biol Station Ashamushi 10:127-131. 

  31. Yusa T (1960b) Eggs and larvae of flatfishes in the costal water Hokkaido IV. Embryonic development of Mub dab, Limanda yokohamae Gunter. Bull Tokohu Reg Fish Res Lab 17:18-30. 

  32. Yusa T (1961) Eggs and larvae of flatfishes in the costal water Hokkaido V. Embryonic development of flatfish, Xystrias grigorjewi (Herxenstein). Bull Tohoku Reg Fish Res Lab 19:109-118. 

  33. 한국동물분류학회 (1977) 한국동물명집(곤충제외).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1-489. 

  34. 杉野博之, 水戶 鼓, 近藤正美 (1996) メイタガレイの採卵と飼育. 岡山水試報 11:65-68. 

  35. 中川 亨 (1989) 栽培漁業と新養成技術. (27) マツガワの種苗生産, 水産の硏究 8(6):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