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재교육을 위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Gifte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9 no.6, 2008년, pp.474 - 486  

주국영 (성수여자고등학교) ,  최성봉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대상의 증가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영재들의 다양한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고 인성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 지구과학 영역의 교육활동 자료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은 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정의적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설명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활동적 수업이 진행되었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급우들과의 토의 및 토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하여 다른 학생을 배려하고 서로 조화를 이루며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집단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인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s been an amounting interest and subjects in gifted education in recent years as a number of studies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However, earth science area remained as a low profile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that meet the varying curiositi...

Keyword

참고문헌 (25)

  1. 노태희, 차정호, 임희준, 노석구, 권은주, 1997, 협동학습전략의 교수 효과: 고등학교 화학수업에 STAD 모델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251-260 

  2.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6, 302 p 

  3. 신현숙, 1995, GEIK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노리적 사고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0 p 

  4. 오윤재, 1999, 열린 초등학교에서 협동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9 p 

  5. 우종옥, 김종일, 1993, 고등학생의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 296-307 

  6. 조석희, 1997,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 46 p 

  7. 한국교육개발원, 2003a, 영재성의 발굴 및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8, 414 p 

  8. 한국교육개발원, 2003b, 초등 영재학생의 지적정의적 행동 특성 및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3-25, 292 p 

  9. 한재영, 노태희, 2002, 과학 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499-507 

  10. Adolf, J., 1982, Creative thinking through science. ED 232785, 6 p 

  11. Cohen, E., 1982, Expectation states and interracial interaction in school sett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8, 209-235 

  12. Davidson, N., 1990, Cooperative learning in mathematics: A handbook for teacher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CA, USA, 57 p 

  13. Good, T.L., Muiryan, C., and McCaslin, M., 1992, Grouping for instruction in mathematics: A call for programmatic research on small-group progresses. In Grouws, D.A.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NY, USA, 165-194 

  14. Good, T. and Biddle, B., 1988, Research and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The need for observational resources. In Grouws, D. and Coony, T. (eds.), Perspectives on research on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Lawrence Erlbaum, NJ, USA, 114-142 

  15. Johnson, D.W. and Johnson, R.T., 1974, Instructional goal structure: Cooperative, competitive, or individualistic.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4, 213-240 

  16. Johnson, D.W. and Johnson, R.T., 1989,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ory and Research. Interaction Book Company, MN, USA, 265 p 

  17. Kagan, S., 1994, Cooperative Learning. Kagan Publishing, CA, USA, 2 p 

  18. Lewis, K. and Woodward, P., 1984, What really happens in large university classes?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AERA(68th, New orleans, LA), 41 p 

  19. Menges, R., 1988,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relevant and the redundant. Review of Higher Education, 11, 259-268 

  20.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The National Council for Teachers of Mathematics, VA, USA, 5 p 

  21. Pepitone, E., 1985, Children i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elf-orientation. In Slavin, R., Sharan, S., Kagan, S., Lazarowitz, R., Webb, C., and Schmuk, R. (eds.), Learning to cooperate, cooperating to learn. Springer, NY, USA, 17-67 

  22. Sawyer, K., 2008, Group Genius: The Creative Power of Collaboration. Basic Books, MA, USA, 288 p 

  23. Sharan, S., 1980, Cooperative learning in small groups: Recent method and effects on achievement, attitudes, and ethnic rela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241-271 

  24. Slavin, R.E., 1989,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Six theoretical perspectives. In Ames, C. and Maehr, M.L.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JAI Press, CT, USA, 161-177 

  25. Wilkinson, L.C., 1988, Grouping children for learning. In Rothkopf, E. (ed.),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5.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03-22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