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7, 2014년, pp.572 - 584  

손준호 (서일초등학교) ,  김종희 (전남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영곤 (교육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해 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천문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초등과학 영재학생들 5-6학년 36명 중 실험집단은 16명, 비교집단은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티칭을 활용한 천문 STEAM 프로그램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이 프로그램은 학습기회개방성 영역과 문제 해결 기술 영역의 향상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생들은 코티칭이 많은 피드백과 깊이 있는 설명을 제공하는 것에 만족했고, 교사들은 코티칭이 STEAM 수업에서의 전문지식 부족과 평가 및 수업자료준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STEAM 수업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코티칭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stronomical STEAM program using co-teach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 astronomical STEAM program and applied it to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irty six, $5^{th}$ and $6^{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초등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심화ㆍ보충형 천문학습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코티칭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그리고 산출물 제작 시 모둠 구성원들의 방향이 맞는지에 대해 의문점이 생길 때 속 시원하게 해결해 주지 못했다고 하였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2명 이상의 선생님이 동시에 지도해 주신다면 오히려 선생님들이 갖고 있는 경험이나 지식들이 다양할 것이므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며, 혼자보다는 2명 이상이므로 자신들에게 관심을 갖는 시간이 더 많아 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EAM의 목적은 무엇인가? 2011년 초·중등단계부터 전주기적 지원시스템을 포함한 ‘제2차 과학기술 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 (2011~2015)’이 수립되면서, 과학기술 인력양성의 첫 단계인 초·중등 수학·과학 교육 강화라는 과제가 처음으로 포함되었고, STEM 교육에 예술(A)요소를 추가한 한국형 융합인재교육(STEAM)이 시작되었다(MEST and KFASC,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의 목적은 과학, 수학 지식을 습득하는 수준을 넘어 공학과 기술 분야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활용 되는지를 아는 것으로 현대의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과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있다(Bak and Kim, 2014). 그러므로 학습자가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제시된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려는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가 필요하다.
교사와 학생의 입장에서 코티칭의 장점은 각각 무엇인가? 코티칭의 장점에 대해 Chun (2012)은 교사와 학생의 입장에서 설명하였다. 교사의 입장에서 코티칭은 첫째, 교사 간에 서로의 전문지식을 보충할 수 있으며 둘째, 교사는 서로 관찰한 것들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방법들을 제안하고 연구하며 성장할 수 있으며 셋째, 수업을 분담함으로써 수업 계획 및 학생 개인 지도의 여유가 생기며 넷째, 효과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수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섯째, 교사들은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고 학습 시작 전에 학습 재료를 미리 준비하고 교육의 심리적인 부분들을 논의하여 가르치는 활동의 시간적 배분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학생의 입장에서 코티칭은 첫째, 교사간의 다른 수업 방법에 의한 수업 교대는 학생에게 자극이 되어 흥미를 갖도록 할 수 있어 수업에 집중하게 되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으며 둘째, 학생들이 훌륭한 교사로부터 배우고 학생과 교사 간에 대화를 가능하게 해 주고 셋째, 서로 다른 배경 지식을 가진 교사와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학생들의 지식을 풍부하게 도와주며 넷째, 학습에서 소외되는 학생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다섯째, 학생들의 활동적인 참여가 유도되고 학생들은 서로를 더 깊게 알 수 있으며 여섯째, 코티칭은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이란 무엇인가?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은 학습자가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Schunk, 2011). 다시 말해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을 통제하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율적인 학습을 하려는 일관된 마음의 경향인 것이다(Jung,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J.H. and Kwon, N.J., 2013, An analysis on STEAM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708-717. (in Korean) 

  2. Bak, A.R.N. and Kim, Y.K., 2014,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on the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flow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 439-452. (in Korean) 

  3. Cho, H.S., 2012, STEAM and donation for education with science teacher. 2012 Annual Meeting of the Korea Society for School Science. The Korea Society for School Science, Seoul, Korea, 238 p. (in Korean) 

  4. Clark, B. and Button, C., 2011, Sustainability transdisciplinary education model: Interface of arts, science and community (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12, 41-54. 

  5. Chun, M.K., 2012, Development of co-teaching STEAM materials for creative experience, and a survey o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Unpublished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0 p. 

  6. Im, A.R., 2011, The Effects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S. thesis, Chuncheon University of Education, Gangwon, Korea, 78 p. 

  7. Jarratt, T., Eckert, C., Caldwell, N., and Clarkson, P., 2011, Engineering change: An overview and perspective on the literature. Research in Engineering Design, 22, 103-124. 

  8. Jung, K.S., 2011, For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of the co-teaching science instruction. Unpublished M.S. thesis, Chuncheon University of Education, Gangwon, Korea, 99 p. 

  9. Jung, K.Y., Chun, M., and Choi, S.U., 2008, Investigation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teachers' beliefs of gifted education, identification, class preparations, and suppo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7, 161-177. (in Korean) 

  10. Jung, M.K., 2002, The effects of problem-based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73 p. 

  11. Kim, J.Y., 2007,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with e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Chuncheon University of Education, Gangwon, Korea, 129 p. 

  12. Kim, K.M., Park, Y.S., and Choe, S.U., 2008,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the Astronom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 204-217. (in Korean) 

  13. Lee, B.W., Son, J.W., Choi, W.H., Lee, I.H., Jhun, Y.S., and Choi, J.H., 2008,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 252-260. (in Korean) 

  14. Lee, Y.S. and Kim, S.S., 2012, The Effects of the Space Percept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s through the Science-Based STEAM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5, 297-306. (in Korean) 

  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2011 Business report-Opening Korea with a creative talented person and a developed scientific technology. Seoul, Korea, 15 p. (in Korean) 

  16. MEST and KFASC, 2012, STEAM guide book-Handy STEAM education. Shinsangyougsachon Co., Seoul, Korea, 154 p. (in Korean) 

  17. Na, J.J., Park, J.B., and Kook, D.S., 2010,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s applying 3D planetarium softwa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164-171. (in Korean) 

  18. Noh, T.H., Kang, S.J., and Kang, H.S., 2012, A case study on the use of mentoring as a method of improving novi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 331-341. (in Korean) 

  19. Noh, T.H., Yang, C.H., Lee, J.W., You, J.Y., and Kang, H.S., 2013, The influences of co-teaching through mentoring up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021-1040. (in Korean) 

  20. Schunk, D.H., 2011,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s (6th ed.). Pearson, Boston, USA, 576 p. 

  21. Shim, K.C. and Kim, H.S., 2006, Survey o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of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education distri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34, 479-484. (in Korean) 

  22. Yang, C.H. and Kang, H.S., 2013, Analysi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science teaching through co-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373-38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