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 미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강점막질환(구강편평태선,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을 지닌 환자의 미각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173명의 환자가 100명의 대조군과 73명의 실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73명의 환자는 부산대학 병원 구강내과에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내원하였다. 대조군은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청주 및 인천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부위에 미각측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의 전기 미각 역치는 대조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01). 2. 실험군에서 만성도와 병소의 개수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Dexan을 단독 사용했을 때와 Dexan과 Prednisolone을 함께 투여한 환자들에서,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치료 경과(반응없음 vs 1/2 개선 vs 완전개선)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만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NAS에 의해 측정된 증상의 개인적 지표는 미반응 군에서는 주목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완전 개선 군에서는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p<0.00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 미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강점막질환(구강편평태선,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을 지닌 환자의 미각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173명의 환자가 100명의 대조군과 73명의 실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73명의 환자는 부산대학 병원 구강내과에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내원하였다. 대조군은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청주 및 인천 소재 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부위에 미각측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의 전기 미각 역치는 대조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01). 2. 실험군에서 만성도와 병소의 개수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Dexan을 단독 사용했을 때와 Dexan과 Prednisolone을 함께 투여한 환자들에서,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치료 경과(반응없음 vs 1/2 개선 vs 완전개선)에 따른 전기 미각 역치의 주목할만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NAS에 의해 측정된 증상의 개인적 지표는 미반응 군에서는 주목할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완전 개선 군에서는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p<0.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aste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Oral lichen planus(OLP), Recurrent apthous ulcer(RAU)) using electrogustometer.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aste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Oral lichen planus(OLP), Recurrent apthous ulcer(RAU)) using electrogustometer.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control 100, patient 73) and patient group was investiga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5 until January, 2007. Control group was investigated in the clinics at Inchen Metroplitan city and Cheongju city from February to August, 2006.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s were measured by using an electrogustometer for the 4 different sites(tongue tip, tongue lateral, circumvallate papilla and soft palate) in oral ca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p<0.001). 2.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terms of the chronicity and lesion multiplicit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atient group. 3.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Dexan only and Dexan+Prs combination treated group. 4.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terms of treatment progress(no response vs half response vs complete respons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subjective index which was determined by NAS(Numerical Analogy Sca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o response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lete response group(p<0.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aste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Oral lichen planus(OLP), Recurrent apthous ulcer(RAU)) using electrogustometer.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2 groups(control 100, patient 73) and patient group was investigated in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5 until January, 2007. Control group was investigated in the clinics at Inchen Metroplitan city and Cheongju city from February to August, 2006.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s were measured by using an electrogustometer for the 4 different sites(tongue tip, tongue lateral, circumvallate papilla and soft palate) in oral ca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p<0.001). 2.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terms of the chronicity and lesion multiplicit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atient group. 3.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Dexan only and Dexan+Prs combination treated group. 4. The electrical taste threshold, in terms of treatment progress(no response vs half response vs complete respons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subjective index which was determined by NAS(Numerical Analogy Sca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o response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plete response group(p<0.001)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김 등17)과 전 등18)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 으며 구강내 환경요인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여 일반치과 환자군 과의 미각역치의 차이를 관찰하고, 치료 단계별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여 치료경과에 따른 미각의 변화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 Model EG-Ⅱ B, Nagashima Medical Instrument Co., Japan, Fig.1)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부위에 미각측정을 시행하였다(Fig. 2). 실험대상자를 편안한 자세로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구강을 실온의 물로 1회 헹군 다음, 왼손에 전기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2). 실험대상자를 편안한 자세로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구강을 실온의 물로 1회 헹군 다음, 왼손에 전기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증가시켰다.
실험대상자를 편안한 자세로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구강을 실온의 물로 1회 헹군 다음, 왼손에 전기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증가시켰다. 환자에게 신맛이나 쓴맛 또는 혀에 건전지를 접촉했을 때와 유사한 감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이러한 감각이 느껴지는 순간에 부저를 누르도록 훈련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증가시켰다. 환자에게 신맛이나 쓴맛 또는 혀에 건전지를 접촉했을 때와 유사한 감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이러한 감각이 느껴지는 순간에 부저를 누르도록 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익숙해진 후 각 부위별로 5분 간격으로 2회 실시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그 부위에 대한 전기미각역치로 정하였고 측정 단위는 dB로 하였다.
환자에게 신맛이나 쓴맛 또는 혀에 건전지를 접촉했을 때와 유사한 감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이러한 감각이 느껴지는 순간에 부저를 누르도록 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익숙해진 후 각 부위별로 5분 간격으로 2회 실시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그 부위에 대한 전기미각역치로 정하였고 측정 단위는 dB로 하였다.
대조군 피검자들은 구강내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였고, 구강점막질환 환자들은 처음 진단이 되었을 때 미각역치를 측정하고, 첫 회 치료부터 치료 종결 후까지 매회 측정하였다. 34 dB에서 반응하지 않는 연구대상자들의 미각역치는 34 dB로 기록하였고 구강점막환자인 실험군에서는 구강증상의 변화를 Numerical Analogue Scale(NAS)로 평가하였다.
대조군 피검자들은 구강내 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하였고, 구강점막질환 환자들은 처음 진단이 되었을 때 미각역치를 측정하고, 첫 회 치료부터 치료 종결 후까지 매회 측정하였다. 34 dB에서 반응하지 않는 연구대상자들의 미각역치는 34 dB로 기록하였고 구강점막환자인 실험군에서는 구강증상의 변화를 Numerical Analogue Scale(NAS)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질환(OLP, RAU)에 대한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에서, Dexamethasone함유 양치 용액이나 Prednisolone의 전신적 투여를 선택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였다. 저자의 실험에서 병소의 수(단수/복수)와 만성도(급성/만성)에 따른 전기미각 역치를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편평태선으로 진단된 치과환자 43명과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으로 진단된 치과환자 30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보존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한 치과환자 10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고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 데이터
2005년 4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구강편평태선(Oral Lichen Planus,OLP)과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Recurrent Apthous Ulcer,RAU)으로 진단된 환자를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2006년 2월부터 4월까지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 00치과병원에 내원한 치과환자와 2006년 6월에서 8월까지 인천 소재 00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구강검사와 설문지를 사용 하여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는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한편 Nakazato 등36)은 20대와 노인의 일부 부위에서는 전기미각장치를 이용한 검사 결과 성별에 따라 그 역치의 분명한 차이가 보인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군은 50.1세, 대조군은 39세의 평균연령을 보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전기미각역치의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데이터처리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기미각역치의 차이,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기미각역치의 차이, 병소의 다수에 따른 전기미각역치의 차이, 실험 군을 병력 6개월을 기준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누어 만성도에 따른 전기미각역치와 NAS의 변화, 치료방법의 차이와 6개월을 기준으로 한 치료기간의 차이, 치료의 결과에 따른 전기미각역치와 NAS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 test로 분석하였고, OLP실험군, RAU실험군, 대조군을 각각 여성과 남성으로 나누어 전기미각역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ANOVA test, Kruskal-Wallis test, Post hoc test로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를 비교하면 연구개 부위를 제외한 오른쪽 혀끝, 혀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 부위에서 실험군의 미각역치가 매우 낮았다(p<0.001, Table 2).
2. 실험군에서 연구개 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의 미각역치가 대조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낮았다(p<0.001).
3.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병소가 단일/복수 병소에 따라 미각역치를 비교하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Table 4).
4. 구강점막질환 환자군을 6개월을 기준으로 한 만성 도에 따른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5).
5. 실험군에서 치료 경과(치료전, 1회 치료후, 마지막 치료후)에 따른 미각역치의 변화는 없었지만 NAS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 OLP, RAU 환자군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Table 6,7,8).
6. 실험군에서 Dexamethasone 양치용액만 사용하여 치료한 경우와 Dexamethasone 함유 양치용액과함께 Prednisolone 을 복용한 경우로 나누어 치료 방법을 비교한 결과 Dexamethasone 함유 양치용액과 Prednisolone을 함께 복용한 경우에서 Tongue lateral 과 Circumvallate papillae 부위에서 미각역치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Table 9).
7. 실험군에서 치료기간을 6개월 미만과 6개월 이상으로 나누어 미각역치와 NAS의 변화를 비교하면 6개월 이상 group에서 낮은 미각역치와 높은 NAS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8. 미각역치의 변화는 치료의 결과(완치, 1/2개선, 미 개선)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NAS는 결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Table 11).
20) 유발 요인들로는 치과시술시의 기계적 외상, 거칠고 잘 맞지 않는 치과보철물, 날카로운 교두에 의한 마찰, 흡연에 의한 열과 자극 등이 있고, 입술과 뺨을 깨무는 구강습관들과 치석과 치태도 관여 한다.21) 최근에는 C형 간염바이러스와 구강편평태선의 연관성에 관한 보고 또한 있다.
또한 지배신경의 종류가 다름으로 해서 미각역 치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도 있다. 본연구의 결과에서도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선학들의 연구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미각역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구강점막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 음식물의 섭취에 불편함을 느끼고 미각의 기능이 저하되어 미각역치가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낮은 전기미각역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실제 병소부위의 점막은 파괴되어 미각세포의 소실로 인하여 미각역치는 높아지겠지만, 본 실험에서의 미각측정부위는 병소를 포함하지 않는 특정한 부위이고, 질환들의 특성상 자가면역질환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미각과 관련된 정확한 기전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연구와 면역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미각역치를 비교하면 연구개부위를 제외한 오른쪽 혀끝, 혀측방 중앙부위, 유곽 유두 근처부위에서 실험군의 미각역치가 매우 낮 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실험군에서 만성도와 병소수에 따른 미각역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실험군에서 치료경과와 치료결과(완치, 1/2개선, 미 개선)에 따른 미각역치의 변화는 볼 수 없었지만, NA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4. 실험군에서 치료방법에 따른 미각역치와 NAS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6개월 이상 치료한 군의 미각역치는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치료방법이나 치료기간에 따라 미각역치는 차이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각은 체액섭취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체액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체내에 이물질이 침입 하는 것을 방어하는 기능도 있다.1) 따라서 미각의 감퇴나 변화는 음식물 섭취에 영향을 주어 영양장애를 초래하거나 이차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경 적인 위험물질에 노출될 위험성이 증대되고, 더욱이맛을 통한 쾌감을 즐길 수 없게 됨으로써 삶의 질에 있어서 중대한 결함이 발생 된다.2)
후속연구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구강점막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 음식물의 섭취에 불편함을 느끼고 미각의 기능이 저하되어 미각역치가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낮은 전기미각역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실제 병소부위의 점막은 파괴되어 미각세포의 소실로 인하여 미각역치는 높아지겠지만, 본 실험에서의 미각측정부위는 병소를 포함하지 않는 특정한 부위이고, 질환들의 특성상 자가면역질환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미각과 관련된 정확한 기전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연구와 면역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각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미각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연령증가와 더불어 나타나는 퇴화, 갱년기 또는 임신여성에서 관찰되는 내분비 변화, 정신적 심리적 요인, 타액분비의 감소와 구강건조증, 상기도, 인두 및 후두의 만성질환, 미각을 담당하는 감각신경의 장애, 후각 장애와의 혼돈, 구강내 환경요인에 의한 이차적 미각이상 등이 있으며, 미 각자극 물질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5)
음식물의 맛 무엇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
음식물의 맛은 혀의 기본적인 미각뿐만 아니라 입주위의 피부 감각, 치근막의 촉각, 후각, 청각, 시각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맛감각은 기본 미각에 구강의 피부 감각이 복합되어 여러 가지의 다른 맛을 낸다.
참고문헌 (38)
이종흔, 김중수. 구강생리학.3판, 서울, 1989, 신광출판사, pp. 208-231
Schiffman SS. Taste bud smell losses in normal aging and disease. J Am Med Assoc 1997;16:1357-1362
박성근, 김선희, 기우천, 최재갑. 한국인에 있어서 연령 증가에 따른 미각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8;23 (4):327-341
Stolbova K, Hahn A, Benes B, Andel M, Treslova T. Gustometry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obese patients. International Tinnitus Journal 1999;5: 135-140
신동민, 장희순, 이수연, 이승일. 맛은 어떻게 인식되며, 맛감각의 이상은 어떻게 치료하나?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6;34:502-508
박경표. Electrogustometry. A simple way to test taste.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6; 34:105-109
Stillman T A, Morton RP, Goldsmith D. Automated electrogustornetry: a new paradime for the estimation of taste detection thresholds. Clin Otolaryngol 2000; 25:120-125
Mahoko N, Sohei E, Hiroshi T. Influence of aging on electrogustometric threshold. Journal of the Oto Rhino Laryngological Society of JAPAN 1995; 98:1140-1153
Perros P, Counsell C, MacFarlabe TW, Frier BM. Altered taste sensation in newly-diagnosed NIDDM. Diabetes Care 1996;19:768-770
Savage NW, Mahanonda R, Seymour GJ et al. The proportion of suppressor-inducer Tr Iyrnphocytes is reduced in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J Oral Pathol 1988;17:293-297
Murphy C, Quinonez C, Nordin 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lectrogustometry and its application to young elderly persons. Chem Sensea 1995;20:499-503
Nilsson B. Taste acuity of the human palate II. Studies with electrogustometry on subjects in different age groups. Acta Odontol Scand 1979;37:217 - 23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