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65 - 471  

최덕주 (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강민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조희숙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신정혜 (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마늘, 찐마늘($100^{\circ}C$, 20분) 및 흑마늘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적색도는 흑마늘에서 2.86으로 월등히 높은 값이었고, 명도와 황색도는 흑마늘에서 각각 $22.52{\pm}0.17$$3.19{\pm}0.68$로 가장 낮았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 조단백 및 총당은 흑마늘> 찐마늘> 생마늘의 순으로 높았고, 수분의 함량은 흑마늘에서 $58.20{\pm}0.39%$로 이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pH는 생마늘에서 $6.84{\pm}0.01$이었으나 찐마늘은 $6.54{\pm}0.02$, 흑마늘은 $4.36{\pm}0.06$으로 점차 산성화 되는 경향이었다. 생마늘의 total pyruvate 함량은 $188.47{\pm}3.03{\mu}mol/g$이었으며 찐마늘과 흑마늘은 각각 $77.03{\pm}0.97{\mu}mol/g$$277.85{\pm}2.57{\mu}mol/g$이었다. Total thiosulfate의 함량은 찐마늘에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생마늘 및 흑마늘 순이었다. 유리당 중 arabinose와 galactose는 흑마늘에서 각각 $1.62{\pm}0.30mg$/100 g과 $13.11{\pm}1.73mg$/100 g이었으며, 생마늘에서는 glucose, 찐마늘에서는 sucrose, 흑마늘에서는 fruct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무기물은 칼륨의 함량이 다른 무기물에 비하여 월등히 그 함량이 높아 전체 무기물 함량의 약 76%를 차지하였다. 구성아미노산은 모든 시료에서 glutamic acid, argi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ammonia를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 생마늘에 비해 흑마늘에서 높게 정량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생마늘과 찐마늘에서는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나 흑마늘에서는 taurine, L-aspartic acid, glycine, L-$\alpha$-aminoiso-n-butyric acid 및 $\gamma$-amino-n-butyric acid를 포함한 총 5종의 아미노산과 urea 및 O-phosphoethanolamine이 더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were analyzed. Colorimetry measurement showed that the black garlic, compared with fresh and steamed garlics, was the highest in a value and the lowest in L and b values. Crude lipid, crude protein, and total sugars were the highest in black garlic,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부분 일부 중소기업들에서 제조사 고유의 특허출원중이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고 있는데, 흑마늘의 품질특성이나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실험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을 고온에서 장시간 저장 및 숙성시켜 제조한 흑마늘의 성분이 생마늘이나 찐마늘에 비해 어떤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가를 밝혀 마늘의 가공 방법 개선 및 향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1)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냄새 제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마늘의 냄새는 구근의 외피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곤란하므로(8) 독특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마늘의 냄새를 유발시키는 alliinase는 기질, 온도, pH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특히 pH 4~8 또는 37oC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므로(9), 마늘의 냄새 제거를 위한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고 일반적인 방법은 마늘을 찌거나 굽는 것으로, 마늘을 구울 경우 그 풍미가 달콤해지고 자극적인 냄새가 부드러워진다(10). 그러나 이러한 가열 공정을 거친 마늘은 그 조건에 따라 풍미뿐만 아니라 색, 영양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이화학적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마늘 고유의 냄새 어떤 성분에 의한 것인가? 마늘의 가공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마늘 고유의 냄새는 세포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alliin이 alliinase에 의해 분해되어 강렬한 냄새를 가진 allicin으로 바뀌고, 이것이 pyruvic acid와 서로 반응하여 저급 황화합물 및 carbonyl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이다(7). 마늘의 냄새는 구근의 외피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하기가 곤란하므로(8) 독특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마늘의 총 thiosulfinates 함량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마늘의 총 thiosulfinates 함량은 저장 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고 Byun 등(22)이 보고한 바 있다. 즉, 25oC 이상에서는 더 빠르게 감소하는데, 20oC에서는 10일 후, 50oC에서는 1일 후 검출 되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는 본 실험에서 생마늘과 찐마늘의 thiosulfinate의 함량을 비교할 때 일치되는 경향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농림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2005. 2005 주요작물 지역별 재배동향. p 3-15 

  2. Park SW, Kim G. 2005. A study on adequate trade volume for individual members in the different channel levels of garlic distribution. Korean J Intl Agric 17: 296-301 

  3. Kim YP, Lee GW, Oh HI. 2006.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garlic oleoresin an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oleoresi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19: 219-226 

  4. Kim SK, Cha BS, Kim WJ. 1998. Preparation and storage conditions of oleoresin from root portion of peeled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21-1326 

  5. Bae SK, Kim MR. 1998. Changed of browning,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garlic juic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14: 394-399 

  6. Beak KH, Kim SS, Tak SB, Kang BS, Kim DH, Lee YC.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suspension using protopection hydrolytic enzymes. Korean J Food Preserv 12: 351-356 

  7. Park YK, Kang YH. 2000. Enzymic maceration of vegetable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84-188 

  8. Lee JW, Lee JG, Do JH, Sung HS. 1997.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Agric Biotechnol 40: 451-454 

  9. Stoll A,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 on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an Enzymol 11: 377-400 

  10. 박홍현, 이영남, 이경희, 김태희. 2004. 마늘의 세계. 효일출판사, 서울. p 91-94 

  1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 966-967 

  12.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13. Schwimmer S, Weston WJ. 1961.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a measure of pungency. JAFC 9: 301-304 

  14. Freeman GG, Mcbreen F. 1973. A rapid spectrophotometric methods of determination of thiosulfinate in onion and its significance in flavor studies. Biochem Soc Trans 1: 1150-1154 

  15.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1998.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Korean J Food & Nutr 11: 437-443 

  16. Sung NJ, Kim JG, Lee SJ, Chung MJ. 1997. Changes in amino acid contents of low-salt fermented small shrimp during the fermentation. J Inst Agric & Fishery Develop Gyeongsang Nat'l Univ 16: 1-10 

  17.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 161-165 

  18.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19. Miron T, Shin I, Feigenblat G, Weiner L, Mirelman D, Wilchek M, Rabinkov A. 2002.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allicin, alliin, and alliinase with a chromogenic thiol: reaction of 4-mercaltopyridine with thiosulfinates. Anal Biochem 307: 76-83 

  20. Hwang JB, Ha JH, Park WS, Lee YC. 2004. Changed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8 

  21. Oh CY, Hong EB, Yoon KR, Lee YC, Kim KS. 2002.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garlic extracts prepared with various organic solvents. Food Engineering Progress 6: 248-255 

  22. Byun PH, Kim WJ, Yoon SK. 2001. Change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extrac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01-306 

  23. Shin DB, Hwang JB, Lee YC. 1999. Effects of pre-heating on the flavor of garl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583-1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