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돼지불고기용 과채열수추출액 함유 고추장양념소스 최적 배합비 개발
Optimum Formulation of Kochujang Seasoning Sauce with the Addition of Fruit and Vegetable Extract for Pork Bulgog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505 - 511  

오현주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장, 고춧가루, 과채열수추출액 첨가에 의한 돼지불고 기양념육의 항산화 증진 효과와 혼합물 실험설계법을 이용한 돼지불고기용 양념소스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냉동저장($-25^{\circ}C$, 5개월) 동안 간장양념을 사용한 대조구와 고추장양념첨가구(KG), 고추장양념.과채열수 추출액첨가구(KFVEG)의 TBA가는 저장기간 동안 원료육에 비해 모든 돼지불고기 양념육에서 낮게 유지되었다. 양념육 중에서는 대조구보다 고추장양념첨가구의 항산화력이 크게 우수하였으며, 고추장양념첨가구의 물 사용량을 과채 열수추출액으로 대체함으로써 항산화 상승작용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념소스에 고추장, 고춧가루, 과채열 수추출액 첨가로 돼지불고기양념육의 지방산화 안정성이 증진되었다. 양념육의 기호성은 고추장과 함께 사용된 고춧가루와 과채열수추출액 사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물 실험 설계법에 의하여 추적된 돼지불고기용 고추장양념소스의 최적 혼합 비율은 고추장 0.04, 고춧가루 0.20, 과채열수추출액 0.39, 물 0.37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Kochujang seasoning sauce with the addition of fruit and vegetable extract (FVE) for pork Bulgogi, as well as to establish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ingredients us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MED). During 5 months of stor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추장, 고춧가루, 과채열수추출액 첨가에 의한 돼지불고기양념육의 항산화 증진 효과와 혼합물 실험설계법을 이용한 돼지불고기용 양념소스 재료의 최적 혼합 비율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냉동저장(-25℃, 5개월) 동안 간장양념을 사용한 대조구와 고추장양념첨가구(KG), 고추장양념·과채열수추출액첨가구(KFVEG)의 TBA가는 저장기간 동안 원료육에 비해 모든 돼지불고기 양념육에서 낮게 유지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돼지불고기 양념육의 고급화와 기능성 증진을 위해 과채열수추출액을 함유한 고추장양념소스의 항산화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 혼합물 실험 설계법을 활용하여 관능적으로 우수한 돼지불고기용 고추장 양념소스의 최적 혼합 비율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념육의 원료육으로 돈육을 이용할 경우 어떤 단점이 있는가? 그러나 양념육의 경우 아직까지 제조 공장의 대부분이 영세하고 배합비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유통기한의 설정과 이의 연장을 위한 기술적 체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3). 양념육의 원료육으로 돈육을 이용할 경우 누린내나 이취의 단점이 있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술, 생강 등의 향신료나 허브류를 사용하여 왔다(4). 육제품은 저장 및 조리가공 중에 지방산화로 인해 형성된 과산화물이나 각종 라디칼과 카르보닐화합물 등의 2차 산화물에 의해 육제품의 불포화지방산, 지용성비타민, 색소 등의 손실과 함께 이취에 의한 품질 저하가 발생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식품 섭취로 인해 생체 내에서 노화, 발암,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5).
양념육의 원료육으로 돈육을 이용할 경우 누린내나 이취가 나는데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러나 양념육의 경우 아직까지 제조 공장의 대부분이 영세하고 배합비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유통기한의 설정과 이의 연장을 위한 기술적 체계가 제대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3). 양념육의 원료육으로 돈육을 이용할 경우 누린내나 이취의 단점이 있어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술, 생강 등의 향신료나 허브류를 사용하여 왔다(4). 육제품은 저장 및 조리가공 중에 지방산화로 인해 형성된 과산화물이나 각종 라디칼과 카르보닐화합물 등의 2차 산화물에 의해 육제품의 불포화지방산, 지용성비타민, 색소 등의 손실과 함께 이취에 의한 품질 저하가 발생되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식품 섭취로 인해 생체 내에서 노화, 발암,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유발하게 된다(5).
식품 개발 연구에 다수 소개되고 있는 mixture experimental design의 최근 국내외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혼합물 실험 설계법(mixture experimental design)은 관심영역의 재료 성분을 제외한 다른 성분들의 비율은 고정하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재료들을 독립변수로 하고 그 혼합비율의 합이 항상 일정(1=100%)하다는 전제하에 각 독립변수들의 최적 혼합비율을 찾을 수 있다(14-16). 식품 개발 연구에 다수 소개되고 있는 혼합물 실험 설계법의 최근 국·내외 연구로는 설기떡(17,18), 율무국수(19), tortilla(20), 시리얼(21)에 관한 보고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2006. Agricultural Industry Statistics. p 330 

  2. Choi WS, Lee KT. 2002. Quality changes and shelf-life of seasoned pork with soy sauce or Kochujang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 22: 240-246 

  3. Hah KH, Ahn CN, Joo ST, Park GB, Park KH, Kim IS. 2006. Effects of aging at low temperature on storage stability of season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 26: 85-91 

  4. Park JG, Her JH, Li SY, Cho SH, Youn SK, Choi JS, Park SM, Ahn DH. 200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y and quality in the traditional seasoning beef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119 

  5. Sung NK. 2000.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in foods. Food Ind Nutr 5: 10-20 

  6. Jin SK, Kim IS, Hah KH, Lyou HJ, Park KH, Lee J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cuum packaged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 during storage. Korea J Anim Sci Technol 47: 825-836 

  7. Jin SK, Kim CW, Lee SW, Song YM, Kim IS, Park SK, Hah KH, Bae DS. 2004.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seasoning on growth of pathogenic germ in fermented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 24: 103-107 

  8. Park SH, Koo HJ, Lim HS, Yoo JH, Hwang SY, Shin EH, Park YH, Lee JH, Cho JS. 2003. Effects of the red pepper powders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70-875 

  9. Lee CH, Chung KY, Kim SC, Choi DY, Kim CJ, Choi BK. 1997.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psaicin and oleoresin from red pepper in grounded bacon belly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96-499 

  10. Shin DH, Kim DH, Choi U, Kim MS, A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1-906 

  11. Seo MY, Kim SH, Lee CH, Cha SK. 2007. Fibrinolytic, immunostimulating, and cytotoxic activities of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15-322 

  12. Choo JJ. 2000. Anti-obesity effects of Kochujang in rats fed on a high-fat diet. Korean J Nutr 33: 787-793 

  13. Park KY, Kong KR, Jung KO, Rhee SH. 2001. Inhibitory effects of Kochujang extracts in the tumor formation and lung metastasis in mice. J Food Sci Nutr 6: 187-191 

  14. Mendes LC, Menezes HC, Aparecida M, Silva AP. 2001. Optimization of the roasting of robusta coffee (C. canephora Conillon) using acceptability tests and RSM. Food Quality Preference 12: 153-162 

  15. Nardi JV, Acchar W, Hotza D. 2004. Enhancing the 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through mixture design and response surface analysis. J European Ceramic Soc 24:375-379 

  16. Iop SCF, Silva RSF, Beleia AP. 1999.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dry dessert mix containing sweetener combinations using mixture response methodology. Food Chem 66:167-171 

  17. Jang MS, Park JE. 2006.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ulgidduk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41-648 

  18. Park HY, Jang MS. 2007. Ingredient mixing ratio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Sulgidduk with barley (Hordeum vulgare L.) sprou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551-560 

  19. Kim SS, Kim BY, Hahm YT, Shin DH. 1999. Least cost and optimum mixing programming by Yulmu mixture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85-390 

  20. Yoo JH, Han GH. 2007. Analysis of optimal mixing ratios in tortilla preparations with rice and wheat flour. Korean J Food Nutr 20: 1-8 

  21. Silvia D, Dutcosky M, Victoria E, Grossmann RS, Silva SF, Welsch AK. 2006. Combined sensory optimization of prebiotic cereal product using multi component mixture experiments. Food Chem 98: 630-638 

  22. Folch I, Lee M, Stat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3. Tarladgis BG, Watts BM, Younathan MT, Dugan L.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malonal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37:44-48 

  24. Nuutila AM, Puupponen-Pimia R, Aarni M, Oksman- Caldentey KM. 200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onion and garlic extracts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od Chem 81:485-493 

  25. Moon GS, Cheigh HS. 1986. Antioxidative effect of soybean sauce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13-318 

  26. Perez-Galvez A, Minguez-Mosquera IM. 2001. Structurereactivity relation ship in the oxidation of carotenoid pigments of the pepper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49: 4864-4869 

  27. Lim SI, Choi SY, Cho GH. 2006.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79-784 

  28. Kim HK, Na G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1: 352-357 

  29.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2-18 

  30. Yoo SJ, Kim SH, Choi HT, Oh HT, Choi HJ, Ham SS. 2007.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natural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515-520 

  31. Kwon SJ. 1992.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s of vegetable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 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