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90년대 초 독서 대중화 운동과 독서교육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1990'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39 no.1, 2008년, pp.377 - 407  

윤금선 (동덕여자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초록

이 연구는 1990년대 초기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는 근현대 독서 대중화 운동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일제 강점기, 건국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에 속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목적은 시기별 독서 현상의 변화상을 비교 분석하여, 오늘에 이르는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의 현주소를 찾아보려는 데 있다. 제반적인 독서 현상에 대한 분석은 그에 따른 향후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개시키는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본론에서는 첫째, 1990년대 초기 독서 대중화 운동의 양상, 둘째, 1990년대 초기 독서경향 등으로 대별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독서경향에서는 사회 전반적인 독서운동의 양상과 공교육 내에서의 독서교육 현상을 비교하려는 목적에서, 일반독서와 학생독서를 구별하여 살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llows purpose to investigate aspect of reading movement and reading education in the early period of the 1990's. This is succession research that is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fter release, the 1950's, the 1960's, the 1970's, the 1980's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research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의 독서운동은 언제부터 이뤄져 왔는가? 공공도서관의 독서운동은 192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져 온 것으로서 다양한 활동상을 보였다. 먼저 매년 실시되는 ‘독서주간’은 도서관의 빠질 수 없는 행사로서, 90년대에도 40여회를 기록하며 정기적인 독서붐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했다.
회나 학교에서 벌이는 학생 독서운동은 왜 취학 전 아동에게 집중되는가? 사회나 학교에서 벌이는 학생 독서운동은 실제로 취학 전 아동이나 초등학생에 거의 집중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고생의 경우는 입시로 인한 교과 공부로 독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시기별 독서양상을 보면, 정책적인 변화로 인해 독서교육이 강화되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
이동도서관의 출현으로 어떤 계기를 일으켰는가? 특히 90년대에 보다 활성화된 ‘이동도서관’6)은 독서 인구를 보다 증가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서울시립도서관’, ‘남산도서관’, ‘새마을운동 중앙협의회’ 서울지부 등이 운영하였는데, 아파트 단지 등 동네를 순회하며 책을 빌려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中央日報"(1990-1995) 

  2. 박영민. '독서 교육의 성격과 유형.' 청람어문교육(청람어문교육학회) 제31집(2005), pp.53-74 

  3. 박영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한국어학(한국어학회), 6집(1997). pp.11-132 

  4. 신헌재 외. 독서 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 서광학술자료사. 1993 

  5. 손영애. 21세기 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서울 : 한국문화사. 2002 

  6. 윤금선. '근현대 국어교육 양상2.' 국어교육연구(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제13집(2004), pp.439-501 

  7. 윤금선. '1920-30년대 독서운동 연구.' 한말연구(한말연구학회), 제17집(2005), pp.129-167 

  8. 윤금선. '해방 이후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국어교육연구(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제17집(2006), pp.333-380 

  9. 윤금선. '日帝强占期 學生 讀書運動 硏究.' 語文硏究(韓國語文敎育硏究學會), 제133호(2007), pp.389-413 

  10. 윤금선.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1970년대를 초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한국어교육학회), 제124호 (2007), pp.271-294 

  11. 윤금선. '1970년대 독서 대중화운동 연구 - 중 . 후반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제20집(2007), pp.339-382 

  12. 윤여탁 외. 국어교육 100년사(1)-(2),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13. 이경화. '도서관 활용 독서교육의 방안.' 청람어문교육(청람어문교육학회), 제32집(2005), pp.75-97 

  14. 정준섭,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6 

  15.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서울 : 푸른역사. 2003 

  16. 한성택.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한국도서관 . 정보학회), 제33권 제4호(2002), pp.307-330 

  17. 한철우. '독서교육 연구 및 지도방안 탐색: 독해과정 연구와 독서 교육; 1970년대 이전.'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한국어교육학회), 33(1988), pp.18-37 

  18. 허재영. '국어과 교육과정과 독서교육론의 전개 -학문적 정체성 확립 과정을 중심으로.' 한말연구(한말연구학회), 제16집(2005), pp.265-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