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의 음주 및 흡연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obacco and alcohol us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5, 2008년, pp.39 - 51  

Choi, Eun-Jin (Korea Institute for Health end Social Affairs) ,  Kim, Chang-Woo (Yongi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의 흡연음주 현황과 관련 건강위험요인을 연구분석 하는 데 있다. 성, 연령, 외래의료이용횟수, 주관적 건강수준, 흡연수준, 음주수준, 우울증상, 저소득 등이 주요 분석변수였다. 복지패널데이터에 있는 건강변수가 제한된 관계로 분석도 제한적으로 실시되었다. 흡연율은 성별 차이가 컸고, 특히 연령이 젊을수록 높았으며, 저소득 층에서 더 높았다. 20-29세 연령층의 경우 흡연율이 일반계층은 23.3%였고, 저소득층에서는 25%였다. 20대 남성흡연율은 일반가구 48.1%, 저 소득가구 47.4%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30대에서는 일반가구 60.7%, 저 소득가구 71.0%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여성의 경우 전 연령층에서 저 소득층이 흡연율이 높았고 50대에서 일반가구 3.9%, 저 소득가구 10.5%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음주율 특성을 보면 일반가구에서 음주율은 오히려 높게 나타났는데, 일반가구는 전혀 안마신다는 비율이 36.7%, 저 소득가구는 58.4%였다. 흡연과 고위험 음주문제 모두에서 성별, 연령과 교육수준, 소득계층 등의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성, 이십대 및 삼십대 연령층, 고졸이하의 학력, 저소득 가구일수록 건강위험요인의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는 여성의 건강이 더 안 좋다. 저소득층 여성의 흡연율은 일반가구 여성의 흡연 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일수록 건강위험행동을 경험하고, 더 많은 의료서비스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건소 이용경험은 저소득층은 4.6%, 일반계층은 1% 정도였다. 2005년도의 건강영양조사결과에서도 건강수준이나 활동제한의 정도가 각 연령별로 분석해도 저소득층일수록 더 안 좋은 상태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흡연과 음주와 관련된 심리적 요인과 소득수준의 요인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건강위험행동과 관련하여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대하여 향후 심층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개인이 경험하는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이 건강위험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ocio-economical factors related to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data. The key variables were sex, age, frequency of health and medical facilities visit, subjective health level, smoking level, drinking level, dep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smoking and drinking according to income level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drinking by using the national survey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 This study tried analysis on low income status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and high risk drinking. The smoking and high risk drinking factors had been reported to be important health promotion factors along with eating habits and exercising and to have relations with each other(Choi,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 Sung Jin, Seo, Kook Hui, Seo, Dong Woo, Cho, Maeng Jae, 1998,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Highly Suspected Alcohol Dependency Group - Subjected on the National Probability Samples-,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37 Number 6: 1186-1200 

  2. Cho Hyunsoon, 2005.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Job Preparation for Better Job seeking Efficiency of the Low-income Unemployed with Drinking Problem: Focused on practice model of Generalist social work,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3. Choi, Eun Jin, Kim, Chang Woo, 2007. Analytical Research on High Risk Drinking Behavi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Drin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lcohol Science: 29-38 

  4. Choi, E.J. 2004. Relationship of smoking with self-perceived health and selected health behavi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4): 35-49 

  5. Chun, Y. W,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ChoongAng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6. Brownson et al., 1998. Chronic Disease Epidemiology and Control,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7. Green LW & Kreuter MW, 1991.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approach, Mountain View, CA: Mayfield 

  8. Han, D.W. 2002. Inequity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Kyunghe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9. Hemstrom, O. 2002. Alcohol-related deaths contribute to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mortality in Sweden. Eur J Public Health. Dec;12(4):254-62 

  10. Kim, Ok Soo, Kim, Kye Ha, 2001. Comparative Study on Social Support,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Working Women, Journal of the Adult Nursing Association, Vol. 13, Number 3: 363-372 

  1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The New General Plan for Public Health Promotion Establishment 

  12. Lopez AD, Collishaw NE, Piha T. 1994. A descriptive model of the cigarette epidemic in developed countries. Tobacco Control, 3(3):242-247 

  13. Main C. Thmas S., Ogilvie D., Stirk L, Petticrew M., Whiteheald M., Sowden A., 2008. Population tobacco control interventions and their effects on social inequalities in smoking:placing an equity lens on existing systematic reviews, BMC Public Health, May 27(8) 178 

  14.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Action for Smoke-Free Korea 2008 

  15. Park, Jung-Sook, 2002. A Study on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fluencing Alcohol Use Disorder of the Urban Low Income Group, Seoul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16. Rehm J., Fischer B. 1997. Measuring harm: implications for alcohol epidemiology. In: Plant M., Single E., Stockwell T.(Eds) Alcohol: minimizing the harm. London: Free Association Press 

  17. Song, J. S., 2008. Analysis of Vulnerable Children's health status,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dministration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18. Song, Sun Hui, Hah, Eun Hye, Song, Dong Ho, 2002. Mental and Social Variable Causes Related to the Smoking of Adult Males: Subjected on the Visitor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ealth, Vol. 7 Number : 447-461 

  19. Woo, Hye Kyung, 2007. Equity in health attributable to income and labor status in wage-earn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ater's thesis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