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의 음주실태와 음주문제 관련요인
Alcoho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Drinking Problems among Residents at Permanent Rental Apartm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227 - 1239  

이윤주 (인천재능대학교 간호과) ,  김희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미형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유진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박상주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여기동 (창원문성대학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의 음주실태와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2년 8월 20일부터 9월 28일까지 인천 Y지역에 소재한 영구임대아파트의 20세 이상 지역주민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chi-square 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음주율은 낮았지만, 알코올사용장애 유병율은 높게 나타났다.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의 음주문제는 40대 이하, 미혼인 경우, 음주이유가 습관성, 불면, 불안, 무직, 대인관계 때문인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변수를 고려하여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의 문제음주수준에 따른 개별적인 접근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을 위협하는 문제 음주자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과 정책개발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lcoho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drinking problems among Residents at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Incheon. Data was collected from 20 August 2012 to 28 September 2012, and the 663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지역 주민센터와 임대아파트 내 종합사회복지관의 협조를 통해 사전에 현수막과 포스터를 게시하여 조사사업 실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주민센터와 복지관의 실무자,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통장을 대상으로 조사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20세 이상의 설문조사원을 모집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대상자를 대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영구임대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음주실태와 음주문제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해당 보건소와 공동으로 주관하는 조사사업을 구성함으로써 주민들의 이해를 돕고 참여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해당지역 주민센터와 임대아파트 내 종합사회복지관의 협조를 통해 사전에 현수막과 포스터를 게시하여 조사사업 실시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였다.
  • 소요시간은 평균적으로 20분에서 30분 정도이었지만, 노인이나 신체적인 이유로 혼자 이해하기 힘든 경우 조사원들이 설명하고 대답에 따라 대필하기도 하다 보니 1시간이 넘게 소요되기도 하였다. 설문조사는 주로 낮에 이루어졌으나 첫 방문 시 부재인 경우에는 안내문을 남겨 재방문을 하는 등 최적화된 자료를 얻으려고 하였다. 조사원들이 전 세대를 개별적으로 방문하였음에도 설문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빈집이거나 장기부재, 거부 등의 이유가 많았다.
  • 알코올상담센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음주문제로 상담한 경험이 있는지와 알코올상담센터의 단주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상자들이 실제적으로 음주문제와 관련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임대아파트 중 인구밀도가 높은 단일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음주 실태와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음주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소득수준이 낮은 빈곤층에서 알코올사용장애로 인한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가? 국내에는 아직 빈곤과 알코올 중독의 인과성을 명확하게 밝혀낸 연구가 거의 없지만, 기초생활 보장 수급자들과 일반인의 문제음주를 비교한 연구결과에서는 일반인구 집단이 문제음주의 비율은 더 높은 반면, 알코올의존 비율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살펴보더라도 만 19세 이상의 월간음주율과 연간음주율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연간음주자의 고위험 음주율은 소득수준 상위집단이 15.3%인데 반해 소득수준 하위집단은 19.5%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았다[6]. 이것은 연간음주자의 월 1회 이상 폭음률, 평생음주자의 문제음주율과 알코올의존율에서도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빈곤층에서 알코올사용장애로 인한 문제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6].
알코올사용장애 추정환자수는 몇 명인가? 4%이다. 그리고 알코올사용장애 추정환자수는 약 160만 명으로 니코틴 사용 장애를 제외한 모든 정신장애의 추정환자수 약 480만 명 의 1/3에 이르는 수준이다[1]. 외국과 비교하더라도 우리 나라의 알코올남용 일년유병율은 미국보다는 낮지만, 대부분의 유럽 국가나 가까운 일본보다 높다[1].
정신장애의 추정환자수는 몇 명인가? 4%이다. 그리고 알코올사용장애 추정환자수는 약 160만 명으로 니코틴 사용 장애를 제외한 모든 정신장애의 추정환자수 약 480만 명 의 1/3에 이르는 수준이다[1]. 외국과 비교하더라도 우리 나라의 알코올남용 일년유병율은 미국보다는 낮지만, 대부분의 유럽 국가나 가까운 일본보다 높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psychiatric illness in Korea 2011 [Ienternet]. Seoul: M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2 Feb 15],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66858&page1. (accessed Apr., 05, 2012) 

  2. M. J. Jo, B. J. Hahm, D. W. Suh, J. P. Hong, J. N. Bae, J. K. Kim, D. W. Lee, S. J. Cho, "Development of a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K-CIDI)",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1(1), pp. 123-137, 2002. 

  3. A. R. Sohn, S. V. Legaspi, I. O. Hong, T. K. Kim, E. J. Ryu, G. J. Oh, "Alcohol Use Disorder, Stress, Mental Health and Suicide among Seoul Citize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4), pp. 71-81, 2009. 

  4. Y. P.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service needs of the public aid recipient alcoholics and non-alcoholic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9(2), pp. 13-26, 2001. 

  5. M. S. Yoon, S. H. Kim, W. S. Choi,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state, problem drinking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and citizen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9(2), pp. 13-26, 2008. 

  6. Ministry and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ited 2012 Aug 3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accessed Sep., 2, 2012) 

  7. E. Y. Do, Y. R. Hong,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drinking of public aid recipi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9), pp. 371-380,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9.371 

  8. J. Y. Kim, S. Y. Jeong, "Juvenile delinquency and family viol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5(1). pp. 71-93, 1997. 

  9. S. H. Kim, "A study on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upon on alcohol use disorder of the lower income brackets at urban cities", Sejong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3. 

  10. Y. H. Kim, J. S. Kim, "A study on the relations of alcohol dependance, depression and anxiety of rental apartment resi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4(1), pp. 43-54, 2005. 

  11. H. K. Kim, K. H. Suh,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9(2), pp. 27-39, 2008. 

  12. J. S. Park, M. O. Sung, "A study on the risk factors of alcoholism of the urban low income group Based on ecosystems perspectiv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0(1), pp. 189-222, 2004. 

  13. Incheon Development & Tourism Corporatio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status [Internet]. Incheon: Incheon Development & Tourism Corporation, 2011[cited 2012 April, 10], Available From: http://www.idtc.co.kr/open_content/main/salerental.do?actview&idx1227777569906. (accessed Apr., 10, 2012) 

  14. B. Y. Lee, C. H. Lee, P. G. Lee, M. J. Choi, G. K. Na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4(2), pp. 83-92, 2000. 

  15. T. J. Sung, Statical analysis. p., Hakjisa, 2012. 

  16. J. C. Nam,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welfare recipients: centered around permanent rental hous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SasangGu", Busa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3. 

  17. Ministry and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 [Internet]. Chungbuk: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cited 2013 Dec 3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accessed Apr., 2, 2014) 

  18. G. S. Jeon, H. Y. Lee,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pp. 91-103, 2010. 

  19. J.S. Ryu, K. H. Kang, J. H. Lee, "Factors of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1), pp. 29-42, 2011. 

  20. J. Y. Hong, J. H. Kim, O. S. Kim, "Factors influencing problem drinking of male drinkers according to life cycl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2), pp. 139-148, 2014.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4.26.2.139 

  21. Y. C. Lee, B. H. Im, "Associated factors of problem drinking grade and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y drinking grade among Korean Men and Women",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2), pp. 107-123, 2010. 

  22. J. S. Lee, S. Y. Lee, S. M. Lee, "The factors related in an urban resident's drinking state and drinking problem",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3), pp. 327-335, 2013. DOI: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3.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