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Drinking of Public Aid Recip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9, 2014년, pp.371 - 380  

도은영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홍연란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와 G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생활수급자의 1/3정도가 문제음주, 알코올남용 및 의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문제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실시한 결과 19세 미만 첫음주, 자아존중감, 종교, 우울, 성별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 변인들을 고려해서 음주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problem drinking of public aid recipient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95 public aid recipients living in D and G cities. It was found that drinking is serious among the public aid recipients of which one thi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기초생활수급자들이 대다수 거주하는 영구임대아파트의 경우 알코올사용장애의 고위험 집단으로 확인되고 있다[29]. 이러한 측면에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 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들의 문제음주정도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탐색하여 보았다.
  • 그러나 수급자들의 음주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음주폐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수급자들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면 수급자들의 문제음주로 인한 위험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문제음주 관련요인인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를 포함한 건강관련요인과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문제음주정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해 보고 향후 이들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문제음주예방 프로그램을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몇명인가요? 2008년에는 6조원대였던 기초생활보장사업 예산이 2013년에는 8조원대를 기록하는 등 사업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1].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약 139만명으로 전 인구 대비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비율인 수급율이 2.7%나 된다[2].
기초생활수급자들의 음주 및 정신건강문제의 적절한 중재가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들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높은 알코올중독률을 갖는 것 이외에 심각한 알코올관련 문제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특히 기초생활수급자들의 음주 및 정신건강문제는 이들의 자립과 빈곤문제해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됨으로 이에 따른 적절한 중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저소득층 지역에 거주하는 알코올중독자 대다수가 음주관련 치료를 거부하거나 술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4], 가족들 역시 상담센터나 공공기관의 도움 요청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5].
Rog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전병재가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이 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 자아존중감은 Rog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전병재(1974)가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22][23]. 자아존중감 척도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된 자가 평가 도구로서 4점 척도로 되어있으며각 문항에 대하여 ‘거의 그렇지 않다’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2점, ‘대체로 그렇다’ 3점, ‘거의 그렇다’ 4점으로 평점 하였다. 5개의 역 문항은 역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국회예산정책처, 기초생활보장사업 평가, 2013. 

  2. 보건복지부, 201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2012. 

  3. 이용표, "알코올중독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일반 수급자의 정신건강 특성, 주관적 삶의 질 및 서비스 욕구에 관한 비교연구-자활사업의 재활프로그램 대상자를 중심으로",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2권, 제2호, pp.5-12, 2001. 

  4. 김혜련, "지역사회기반의 알코올중독자 재발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복지학회, 제4권, pp.31-51, 1999. 

  5. 이상준, 손현미, 배경희, "지역사회복지관 이용자 가족의 음주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사회정신보건, 제7권, pp.75-98, 2005. 

  6. N. J. Estes and M. E. Heinemann, Alcoholism, The C. V. Mosby. Company, St. Louis, Toronto, 1986. 

  7. B. F. Grant, F. S. Sitnson, D. A. Dawson, and S. P. Chou, "Prevalence and Co-occurrence of Substance Use Disorders and Independent Mood and Anxiety Disorder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1, No.8, pp.807-816, 2004. 

  8. A. T. Beck,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1983. 

  9. A, Desimone, P. Murray, and D. Lester, "Alcohol Use,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ce," Vol.29, No.116, pp.939-942, 1994. 

  10. 송지영, "알코올중독의 심리", 대한의학협회지, 제36권, 제11호, pp.1275-1280, 1997. 

  11. K. D. Charalampous, B. K. Ford, and T. J. Skinner, "Self-esteem in Alcoholics and Nonalcoholic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37, No.7, pp.990-994, 1976. 

  12. 윤명숙, 김성혜, 채완순, "기초생활수급자들과 일반인의 문제음주와 정신건강 비교연구", 제9권, 제2호, pp.13-26, 2008. 

  13. 권현수, "노인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 및 비빈곤노인 집단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적용", 한국노년학, 제29권, 제4호, pp.1521-1538, 2009. 

  14. 허만세, "중년 여성의 음주문제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201-227, 2012. 

  15. 서희숙, 송경애, 조명숙, "노인의 음주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115-124. 

  16. 광주광역시의회, 광주시 영구임대아파트 주거실태 및 욕구조사, 2011. 

  17. 남정찬,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들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 2005. 

  18. 천미경, 홍현숙, 이희연, 유소연, 모진아, "일부 지체장애인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31-44, 2012. 

  19. 류지수, 강경화, 이지현,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문제음주 영향 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9-42, 2011. 

  20. 송태민, 이주열, 김계수, "성인남성의 문제음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9-71, 2012. 

  21. 조원탁, 이형하, 윤종성, "공공부조 수급자의 생활실태와 소득활동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19권, 8월호, pp.5-30, 2004. 

  22. 전병제,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30, 1974. 

  23.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4. 안신능, 자기 개념에 따른 자기 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5.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E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5, 1985. 

  26. 한홍무, 염태호, 신영우, 김교헌, 윤도준, 정근재, "BDI의 한국판 표준화 연구-정상집단을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Vol.25, pp.487-502, 1986. 

  27. A. T. Beck,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28. N. B. Belloc and L. Breslow,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Preventive Medicine, Vol.1, pp.409-421, 1972. 

  29. 김선화, 도시 저소득층의 알코올사용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0. 보건복지부, 2012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 2012. 

  31. 부산알코올상담센터, 알코올 중독 사례관리경험과 가이드라인, 2012. 

  32. S. Saxena, R. Sharma, and P. K. Maulik, "Impact of Alcohol Use on Poor Families: a Study from North India, Journal of Substance Use," Vol.8, No.2, pp.78-84, 2003. 

  33.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APHA], "Chronic Disease and Emergency Department: a current review," Alcohol Alcohol, Vol.37, pp.307-312, 1998. 

  34. 김광기, 박재용, 이원재, 김명순, 신애숙. 건전한 음주문화조성 및 절주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2004. 

  35. 김재엽, 이익섭, 박수경,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가정환경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 제6집, pp.54-72, 1998. 

  36. 이용철, 임복희, "성인 남.녀의 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음주정도에 따른 건강행위 비교분석", 한국알코올과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07-123, 2010. 

  37. W. R. Corbin, L. D. Mcnair, and J. Carter, "Self-esteem and Problem Drinking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lcohol & Drug Education, Vol.42, No.1, pp.1-14, 1996. 

  38. 박경옥,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성인애착, 자아존중감 및 학습된 무기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9. 곽현근,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2권, 제4호, pp.203-224, 2008. 

  40. R. J. Calsyn, "Correlates of Problem Drinking among Homeless Men," Hospital & Community Psychiatry, Vol.42, No.7, pp.721-725. 

  41. 송진영, 박주선, 문재우, "장애인의 정신적 건강 상태가 음주여부에 미치는 영향-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및 장애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3호, pp.175-203. 

  42. 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nd Alcoholism(NIAAA), "Alcohol and Tobacco," Alcohol Alert, No.71, pp.1-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