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3, 2008년, pp.1 - 19
Purpose: The research was performed to distinguish the group of users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ealth care cent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roup,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the use of the health programs. The specific research purposes are: First...
김문환, 남철현. 노인에 있어 건강행위연구, 한국노년학연구, 1997;17(1):148-158
김일호. 지역사회건강증진사업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김주현. 혈액투석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남정자. 보건소의 건강증진 사업을 위한 보건교육전략. 보건교육 건강증진 학회지 2000;17(1): 171-184
모현희. 보건소 이용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문정순. 성인의 건강신념 측정도구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배상수. 보건사업기획. 서울: 계축문화사. 2004
보건복지부. 건강증진.http://www.mw.go.kr/user . 2008
서영준, 이동현, 손동국, 정승원, 정애숙, 박남수, 김주경, 이희원, 이무식.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 성과지표개발. 보건교육 건강증진 학회지, 2004;21(2):1-16
서영준, 정애숙, 박태선, 김주경, 박남수, 이희원.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수행과정의 질평가. 보건교육 건강증진 학회지, 2003;20(1):1-17
서울특별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시민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석말숙.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항 생태체게적 접근. 노인복지연구, 2004;26: 237-261
송현종. 보건소 건강증진사업평가지표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이가언. 일 대도시 보건소 이용자의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 보건행정학회지, 2000;13(4):28-47
이건세. 보건소 및 광역 보건행정 기능강화 방안. 의료제도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자료집. 2003
이승은. 보건소 건강증진 사업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실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이태화. 이정렬, 김희순, 함옥경. 건강증진사업 시범 여부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업인식과 참여도, 건강행위 비교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5;35(3):461-468
이철민 조경숙 원소영 김열 유상호 이정운 최재경 윤대현 이종구. 금연 클리닉에서 남성의 장 단기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 2004년 보건소 금연 시범 사업 분석. 대한 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6;6(1):37-45
이혜순. 보건행정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채효숙.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음주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최선희. 일 지역사회종합병원의 마케팅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허순임, 최숙자. 논문소득수준에 따른 의료이용. 제7회 노동 패널 학술대회논문집. 2006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Greenwich, CT. 1989
Becker, M. H. The Tyranny of Health Promotion. Public Health Review, 1986;14:15-25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Bull. S. & Shhlay. J. Promoting "Dual Protection" From Pregnanc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 Social Ecological Approach", Health Promotion Practice, 2005;1(6):72-80
Cheadle, A., Bruce, M., Diehr, P., Koepsell, T., Wagner, E., Wickezer, T. & Curry, S. An Empirical Exploration of a Conceptual Model for Community Based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Quarterly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1989;13:329-363
Etter. S. & Grzywacz. J. Worker's Perception of How Jobs Affect Health: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1;69(3):101-113
Fleury, J. & Lee. S. The Social Ecological Model and Physical Activity in African American Wome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06;10
Fleury. J., Lee. S. M., Matteson. B. & Belyea. M.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Maintenance After Cardiac rehabilitation.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2004;24:296-307
Glanz, K., Lewis, F & Rimer, B. Link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San Frances; Jossey-Bass, 1997
Green. L., Kreuter, M. W.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Approach, 2nd ed. Mayfield; Mountain View, CA, 1997
Gregson. J, Foerster. S.B., Orr. R., Jones. L., Benedict. J., Clarke. B., Hersey. J., Lewis. J. & Zotz K. System, Environmental, and Policy Changes: Using the Social-Ecological Model as a Framework for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and Social Marketing Programs with Low-Income Audience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2001;33:sup1, s4-s15
Grzywacz. J.G. & Marks. N. Social Inequalities and Exercise during Adulthood: Toward an Ecological Perspectiv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01;42:202-220
Grzywacz. J.G. & Fuqua. MS. The Social Ecologicy of Health Leverage Points and Linkages. Behavioral Medicine, 2000;26(3):101-115
King A. C., Stokols. D., Talen. E. & Brassington. G. S.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2;23(2S):15-25
Linnan. L. Sorensen. G., Colditz. G., Klar. N. & Emmoms. K. Using Theory to Understand the Multiple Determinants of Low Participation in Work site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1;28(5):591-607
McLeroy. K. R., Bibeau. D., Steckler. A. & Glanz, K.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351-377
McLeroy. K.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3;93(4):529-33
Riley. B. L., Tayor. M. & Elliott. S. Determinants of implementing heart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Ontario public health units: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1;16(4):425-441
Sherer. M., Maddux. J.E.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1982;;51:663-671
Sorenson. G., Linnan. L. & Hunt. M. K. Worksite-based research and initiatives to increas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Preventive Medicine, 2004;39:S94-S100
Stokols. D. Social Ecology and Behavioral Medicin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ce, and Policy. Behavioral Medicine, 2000;26(3):129-13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