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8 no.3, 2017년, pp.107 - 121  

송미숙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부선주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Given that the expansion of smoking cessation regulations in Korea generates great demand for smoking cessation services,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be up skill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obacco control.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이 졸업 후 다양한 보건의료현장에서 흡연예방 및 금연중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정규교과과정에 포함할 수 있는 금연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한 후 교육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연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금연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인, 집단, 지역사회 전체가 노력하는 생태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관련 분야의 전문교육 및 훈련과정을 거친 전문인력의 활용이 절실하다(김혜경,2010). 금연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직종 보건의료분야 전문가의 참여는 WHO 담배규제기본협약(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FCTC) 14조에서도 권고하고 있는 바이다(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간호대학의 교과과정 내 금연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간호대학의 교과과정 내 금연교육은 지역사회간호학과 정신간호학 등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흡연의 건강에 대한 영향’, ‘간접흡연의 건강에 대한 영향’, ‘흡연역학’, ‘담배의 성분’ 등으로, 금연상담을 위한 실무적 내용에 해당하는 ‘금연중재의 비용-효과성’,‘니코틴 중독의 약리학’, ‘금연 치료의 가이드라인’, ‘금연유지 여부 사정 및 재흡연 방지 전략’ 등 금연 전략에 대한 교육이 여전히 부족하였다(송현종 등, 2015).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시도하는 금연 및 흡연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우리나라에서 흡연이 국가적으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한 건강문제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를 위하여 최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금연 및 흡연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고 있다. 제 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도 ‘금연’을 중점과제로 하여 흡연예방, 흡연자 금연, 비흡연자 보호, 금연환경 조성이라는 세부추진 계획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앙 및 지방정부, 보건소, 의료기관 및 민간단체가 협력하여 대대적으로 금연사업을 전개할 계획을 수립하였고 사업의 세부적인 내용은 홍보, 교육, 금연치료, 의료인 권고 등으로 구성하였다(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윤희. 금연상담전문가 및 금연사업전문가 교육과정. 부경대학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2. 김진선, 정영, 박은영. 일 지역사회 간호사들의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조사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2):211-222. 

  3. 김혜경. 건강행동 변화를 위한 보건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 금연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전략의 적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10;27(4):177-188. 

  4. 나백주 외 7인. 보건소 금연사업 담당자의 직무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4): 173-192. 

  5. 박귀화, 박이병.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발표기술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효과. 한국의학교육학회지 2011;23(4):285-293. 

  6.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금연사업전문가 교육교재.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7. 신성례, Sama Linda, Danao Leda. 전국 간호교육기관의 금연관련 교육내용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003;33(2):256-264. 

  8. 소향숙 외 9인. 대학 간 통합 웹기반 중환자간호 실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성인간호학회지 2008;20(5):778-790. 

  9. 송현종, 송미숙, 김노을. 보건의료계열 금연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상지대학교. 2015. 

  10. 이상숙 외 6인. '의사와 리더십'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의학교육연구 2007;19(4):279-286. 

  11. 이영미, 오연재, 안덕선, 윤석민. 의학과학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교육과정시행경험. 의학교육연구 2007;19(2):171-175. 

  12. Borrelli B, Hecht JP, Papandonatos GD, Emmon KM, Tatewosian LR, and Abrams DB.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in the home attitude, beliefs, and behaviors of health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1;21(4):272-277. 

  13. Carson KV, Verbiest ME, Crone MR, Brinn MP, Esterman A, Assendelft WJ, Smith BJ. Training health professionals in smoking cessation. The Cochrane Library 2012;16(5):CD000214. doi: 10.1002/14651858.CD000214.pub2 

  14. Dick W, Carey L.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4th ed.). New York: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1996. 

  15. Molenda M, Pershing J, Reigeluth C. Designing instructional systems. in Craig R(Ed), Training and Development Handbook(4th ed). New York: McGraw Hill. 1996. 

  16. Powers CA, Zapka JA, Bognar B, Dube C, Ferry LH, Ferguson KJ, O’Donnell JF, Rigotti N, Thompson CC, White M, Wilkerson L, Geller AC, McIntosh S. Evaluation of current tobacco curriculum at 12 US medical schools. Journal of Cancer Education 2004;19(4):212-219. 

  17. Raupach T, Al-HarbiG, McNeill A, Bobak A, McEwen A.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U.K. medical schools: A national survey. Nicotine & Tobacco Research 2015;17(3):372-375. 

  18. Richmond R, Zwar N, Taylor R, Hunnisett J, Hyslop F. Teaching about tobacco in medical school: A worldwide study. Drug and Alcohol Review 2009;28:484-497. 

  19. Sarna L, Danco LL, Chan S, Shin SR, Baldago LA, Endo E, Minegishi H, Wewers ME. Tobacco control curricula content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in four Asian nations. Nursing Outlook 2006;54(6):334-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