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behavior related to viewing pornography sites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ne provi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39 primary (5, 6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 2 and 3 grade), chosen at random in big cities, small...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behavior related to viewing pornography sites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ne provi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39 primary (5, 6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 2 and 3 grade), chosen at random in big cities, small towns and rural areas of North Cholla Province. Results: The first experience of finding pornography sites by oneself was 21.1% for the total sample an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6.8%, for middle school students, 31.0%, and for high school students, 62.2%. The first time on a pornography site was high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62.0%) and for grade, middle school 1 grade (25.7%). The pornography use resulted in difficulties with study (11.3%), desire to imitate what was seen in pornography (10.9%), imitation of what was seen the pornography (3.9%), and desire to visit pornography sites everyday (2.3%). Pornography contact behavior was related to gender and school type (p<.05). Independent access to pornography and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study were related to area of residence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ystematic education policy and further research on needs for pornography contact should be examined to develop programs to decrease pornography contact behavio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behavior related to viewing pornography sites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ne provi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939 primary (5, 6 grad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 2 and 3 grade), chosen at random in big cities, small towns and rural areas of North Cholla Province. Results: The first experience of finding pornography sites by oneself was 21.1% for the total sample an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6.8%, for middle school students, 31.0%, and for high school students, 62.2%. The first time on a pornography site was high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62.0%) and for grade, middle school 1 grade (25.7%). The pornography use resulted in difficulties with study (11.3%), desire to imitate what was seen in pornography (10.9%), imitation of what was seen the pornography (3.9%), and desire to visit pornography sites everyday (2.3%). Pornography contact behavior was related to gender and school type (p<.05). Independent access to pornography and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study were related to area of residence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ystematic education policy and further research on needs for pornography contact should be examined to develop programs to decrease pornography contact behavi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중 . 고등학생들의 음란물 접촉 행태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과 음란물 접촉 행태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에서 무작위로 표출된 도시 1개 지역, 중소도시 1개 지역, 군 소재 1 개 지역에 재학중인 초등 5 .
중 . 고등학생의 음란물 접촉 일부 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6학년 및 중 . 고등학생의 음란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음란물 접촉으로 인한 성문제 행동 발생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중재 및 집단치료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설정과 성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 중 .
제안 방법
중 .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보건 교사 3인과도 함께 조사 도구 문항의 용어와 문장의 어순, 의미 전달의 명확성을 검토 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연구의 Cronbach's alpha는 .
6학년 학생 60명 및 증 . 고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 도구 문항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각 문항에 대한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하였고, 설문지 작성 시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초 중 . 고등학생의 음란물 접촉행태 조사도구는 0k(2000), Kim과 Kang(2000)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성문제 상담에서 나타난 음란물 상담 유형에 근거하여 초등학생의 이해도에 준해서 문장 이해를 돕는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문을 삽입 한 문항을 본 연구자가 계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거주지역, 동거가족 형태, 부모의 경제활동을 조사하였다.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 조사는 무기명으로 하며 설문의 응답 내용은 비밀로 하고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을 다시 한번 설명하고 간단한 보상을 하여 성실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성교육 담당교사에게 조사 목적과 내용, 응답 방법, 질문지 회수방법, 비밀유지 등 자료수집 과정 시 주의할 사항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교사는 그 내용을 학생들에게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하는 학생만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 조사는 무기명으로 하며 설문의 응답 내용은 비밀로 하고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을 다시 한번 설명하고 간단한 보상을 하여 성실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표출된 각 학교의 관리자, 성교육 담당 교사, 담임교사에게 연구에 대한 취지를 설명하고 조사 협조를 구하여 동의를 얻은 후 성교육 담당교사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 데이터
5 . 6학년 학생 60명 및 증 . 고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 도구 문항을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에서 무작위로 표출된 도시 1개 지역, 중소도시 1개 지역, 군 소재 1 개 지역에 재학중인 초등 5 . 6학년 학생 및 중 . 고등학교 학생 2, 939명이었다.
고등학교는 대도시 지역 4개 학교, 중소도시 지역 4개 학교, 농촌지역 2개 학교를 표출하고, 표출된 학교에서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 . 고등학교 학년별 각 1개 반씩을 무작위표출하여, 표출된 학급의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상자 수는 초등 5.
6학년 학생 및 중 . 고등학교 학생 2, 939명이었다. 자료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에 의해 2005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2월 28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
중.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 녀 학생이며, 근접 모집단은 전라북도 내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 녀 학생이며, 근접 모집단은 전라북도 내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 6학년 및중 .
따라서 본 연구는 일 지역의 초등학교 5 . 6학년 및 중 .
배포된 설문지 총 3, 426 중 3, 084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0%였으며 그 중 응답이 불충분한 342부를 제외하고 2, 939부를 최종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6학년 학생 1, 080명, 중학생 1, 196명, 고등학생 1, 150명으로 총 총 3, 426명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5년 11월 현재 전라북도 내 재학중인 초등 5 . 6학년 및 중고등학생 전체의 4.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라북도 내 14개 지역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으로 분류하고, 대도시 1개, 중소도시 1개, 농촌 1개 지역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지역별 비율에 따라 초등학교 5 ・ 6학년 재학생은 대도시 지역 3개 학교, 중소도시 지역 1개 학교, 농촌지역 1개 학교, 중 . 고등학교는 대도시 지역 4개 학교, 중소도시 지역 4개 학교, 농촌지역 2개 학교를 표출하고, 표출된 학교에서 초등학교 5, 6학년 및 중 .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2월 28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표적모집단은 2005년 11월 현재 우리나라 초 . 중.
고등학생들의 음란물 접촉 행태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과 음란물 접촉 행태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에서 무작위로 표출된 도시 1개 지역, 중소도시 1개 지역, 군 소재 1 개 지역에 재학중인 초등 5 . 6학년 학생 및 중 .
고등학교 학년별 각 1개 반씩을 무작위표출하여, 표출된 학급의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상자 수는 초등 5.6학년 학생 1, 080명, 중학생 1, 196명, 고등학생 1, 150명으로 총 총 3, 426명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5년 11월 현재 전라북도 내 재학중인 초등 5 .
데이터처리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j-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학생 2, 939명이었다. 자료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에 의해 2005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2월 28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87, p=.(X)l), 거주지역, 동거가족형태, 부모의 경제활동(P>.05)은음란사이트에 매일 접속한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 5 . 6학년,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고등학생이, 거주 지역별로는 도시, 중소도시, 농촌 순으로 도시 지역이 높았다.
이는 중학생의 99% 가 음란물 접촉경험이 있고 처음 음란물 접촉한 시기가 중학교 1학년 때가 가장 많았다고 보고한 Kim 등<1999)의 연구 와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섹스 이용 집단 비교에 서중 1학년이 100%로 가장 높게 나타난 Nam과 Lee(20S)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학생 때, 특히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음란물에 처음 접촉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 수 있어 초등 고학년 시기의 음란물 접촉 예방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 도구 문항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각 문항에 대한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하였고, 설문지 작성 시 어려움을 호소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간호학 교수 1 인, 성교육 전문가 2인, 초 .
고등학생은 중학생 시기에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음란물접촉 일부 행태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자발적인 음란물 접촉과 음란물 접촉으로 인한 학습방해와 성충동이었고, 이들은 주로 대상자의 성별 및 학교 급별과 관련이 있었으며, 음란물에 의한 학습 방해를 제외한 모두 음란물 접촉 행태가 고등학교 계열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적 음란물 접속, 음란물 모방 충동욕구 및 음란물에 의한 학습방해는 거주 지역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란물 이용 행태에서는 음란물 접촉으로 인한 학습방해 경험 11.3%, 음란물을 보고 따라하고 싶은 욕구 10.9%, 음란물을 보고 따라한 경험 3.9%, 음란사이트에 매일 접속한 경험 2.3%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후속연구
6학년 및 중 . 고등학생들이 중학생 시기에 음란물을 가까이 하는 원인 분석 및 음란물 접촉 예방 대책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며, 정책적으로는 음란물 접촉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학년 집중 이수제로 도입하여 정규 학교교육과정 안에서 운영될 수 있는 교육적 정책과 청소년에게 안전한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사회적 정책이 수립될 수 있는 정책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3%)보다 음란물 중독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Lee(200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 문화가 기술 문명 즉 물질문화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Korea Youth Development Institute, 2007) 볼 때 본연구에서는 음란물 접촉 행태에 대한 성별에 따른 이해가 필요하고, 학교 급별에 따른 체계성 있는 음란물 접촉 예방 교육 및 성교육의 필요성을 의미하며, 거주지역 환경 여건 개선 및 유해환경 침투 방지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