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2-2007년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의 변동 및 관계
Vari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원문보기

Algae, v.23 no.1, 2008년, pp.53 - 61  

정승원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권오윤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이진환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vari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tanding crops and biomass of phytoplankton dominant species for the long term periods, this study was seasonally investigated in the marine ranching ground of Tongyeong coastal waters from 2000 to 2007. Total 268 taxa representing 217 Baci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통영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우점종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규명하고 계절적 천이양상을 밝히며, 현존량과 생체량의 관계를 파악하여 조사해역의 생태계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양순, 권정노, 손재경, 정창수, 홍석진, 공재열. 2003. 2002년 통영 연안의 적조발생 전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6: 515-521 

  2. 강연식, 최중기. 2002.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I. 현존량 분포 및 환경요인 들(1992-1996). 한국해양학회지 7: 108-128 

  3. 강연식, 최휴창, 임주환, 전인성, 서지호. 2005. 동해 축산항 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Algae 20: 345-352 

  4. 김종연. 1998. 줄포부근 해역의 계절에 따른 기초생산력 변화.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논문집 14: 107-122 

  5. 노재훈, 이미진. 2006. 남태평양 축 라군의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 81-88 

  6.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 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 208-214 

  7. 신윤근, 심재형, 조준성, 박용철. 1990. 천수만 미세식물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5: 217-228 

  8. 심재형, 신윤근. 1989.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한국해양학회지 24: 194-205 

  9.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 172-186 

  10. 심재형, 여환구, 신윤근. 1991. 한국 연안해역에 있어서 온배수 배출의 생태학적 영향 I. 고리 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미소 및 초미소 자가영양 플랑크톤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지 26: 77- 82 

  11. 심재형, 이원호. 1979. 서해 천수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4: 6-14 

  12. 유광일, 김진규. 1989.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분포에 따른 군집구조 해석.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논문집 19: 111-119 

  13. 유광일, 이종화. 1976.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성플랑크톤의 년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1: 34-38 

  14. 윤양호. 1993. 제주연근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과 기초 생산. 제주대학교 해양연구보고 17: 33-56 

  15.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 43-50 

  16.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 149-159 

  17. 이준백, 한명수, 양한섭. 1998. 한국 동해 남부 연안생태계 연구 I. 1994년 9월에 있어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1차생산력. 한국수산학회지 31: 45-55 

  18. 이준백, 좌종헌, 강동우, 고유봉, 오봉철.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II.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동태와 1차생산력. Algae 15: 37-47 

  19. 이진환. 1984. 진해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진환, 윤수미. 2000. 여자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Algae 15: 89-98 

  21. 이진환, 이은호. 1999. 득량만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적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 271-278 

  22. 이진환, 장만. 1996. 한국해산돌말(규조)도감 I. 실패돌말아목. 자유 아카데미 

  23. 이진환, 송현숙, 이은호. 1997. 인천항 선거내의 식물플랑크톤 돌말류의 적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5: 119-129 

  24. 이진환, 한명수, 허형택. 1981. 진해만의 적조원인생물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보 3: 21-26 

  25. 이호원, 박기룡, 김은희, 윤종길. 2004. 2004년 봄철 마산만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화.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보 27: 5-15 

  26. 임월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Algae 18: 49-58 

  27. 정승원, 권오윤, 주형민, 이진환. 2007. 2000-2007년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환경요인의 영향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변화.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5 (4): 303-312 

  28. 주형민, 이진환, 정경호, 강재신, 강성호. 2005. 북극해 하계 남동 바렌츠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크기별 분포와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Ocean and Polar Res. 27: 265-276 

  29.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14: 177-184 

  30. 조은섭, 김정배, 안경호, 유준, 권정노, 정창수. 2006. 2004년 한국 남해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특성 조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5: 539-562 

  31. 최상. 1969. 한국해역의 식물플랭크톤의 연구. III. 1967년 5월 북동부 한국해협 표층수의 식물플랭크톤의 양과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4: 1-8 

  32. 최중기, 이은희, 노재훈, 허성회. 1997. 시화호와 시화호 주변 해역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과 일차 생산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 78-86 

  33. 현봉길, 신용식, 박 철, 양성렬, 이영준. 2006.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 7-18 

  34. Ansotegui A., Sarobe A., Trigueros J.M., Urrutxuru I. and Emma O. 2003. Size distribution of algal pigments and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a coastal-estuarine environment: contribution of small eukaryotic algae. J. plankton Res. 25: 341-355 

  35. Beers J.R. and Stewart G.L. 1971. Microzooplankters in the plankton communities of the upper waters of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Deep-sea Research I 18: 861-883 

  36. Booth B.C., Larouche P., Belanger S., Klein B., Amiel D. and Mei Z.- P. 2002. Dynamics of Chaetoceros socialis blooms in the North Water. Deep-Sea Research II 49: 5003-5025 

  37. Brunel P. 1962. Inventaire taxonomique des invertebres marins du Golfe Saint-Laurent. Sta. Biol. Mar. Grande-Riviere, Rapp. Ann. 1961: 39-44 

  38. Cermeno P., Maranon E., Perez V., Serret P., Fernandez E. and Castro C.G. 2006.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on in a highly dynamic coastal ecosystem (Ria de Vigo, NW-Spain): Seasonal and short-time scale variability. Estuar. Coast. Shelf Sci. 67: 251-266 

  39. Choi J.K. and Shim J.H.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II.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Oceanol. Soc. Korea 21: 156-170 

  40. Furuya K. and Marumo R. 1983.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J. Plankton Res. 5: 393-406 

  41. Grontved J. and Seidenfaden G. 1938. The Godthaab expedition 1928: the phytoplankton of the waters west of Greenland. Meddelelser om Gronland 82: 1-380 

  42. Hendey N.I. 1964. An introductory account of the smaller algae of British coastal waters 5: Bacillariophyceae (Diatoms). In: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ed.), Fishery Investigations Series IV. HMSO, London, 317 pp. 

  43. Kang Y.J., Ko T.H. Lee, J.A. Lee, J.-B. and Chung I.K. 1999. The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distribution of dinoflgaellate cysts in Tongyoung Bay, Korea. Algae 14: 43-54 

  44. Lee J.H., Chae J.H., Kim W.-R. Jung S.W. and Kim J.M. 2001.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f Tongyeong in Korea. Ocean and Polar Res. 23: 245-253 

  45. Okamura K. 1907. Some Chaetoceros and Peragallia of Japan. Bot. Mag. 21: 89-106 

  46. Park J.S., Kang C.K. and An K.H. 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polar front regio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Bull. Kor. Fish. Soc. 24: 237-247 

  47. Partensky F., Blanchot J. and Vaulot D. 1999.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in oceanic waters: a review. In: Charpy L. and Larkum A.W.D. (eds), Marine cyanobacteria. Bull. Inst. Oceanogr. pp. 457-475 

  48. Raymont J.E.G. 1980.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s. 2nd. Pergamon Press, Oxford 

  49. Reynolds C.S. 2006. Ecology of phytoplankt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50 pp. 

  50. Riley G.A. 1967. The plankton of estuaries. In: Lauff G.A. (ed.), Estuaries.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 316-328 

  51. Round F.E., Crawford R.M. and Mann D.G. 1990. The Diatoms. Cambridge Univerisity Press, Cambridge, 758 pp. 

  52. Shim J.H. and Lee W.H. 1983. Plankton study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September, 1981. J. Oceanol. Soc. Korea 18: 91-103 

  53. Shim J.H. and Park Y.C. 1984.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J. Oceanol. Soc. Korea 19: 68-81 

  54. Shim J.H. and Yang J.S. 1982.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of the Kum river estuary. J. Oceanol. Soc. Korea 17: 1-11 

  55. Shevchenko O.G., Orlova T.Y. and Hernandez-Becerril D.V. 2006. The genus Chaetoceros (Bacillariophyta) from Peter the Great Bay, Sea of Japan. Bot. Mar. 49: 236-258 

  56. Sieracki M.E., Gifford D.J., Gallager S.M. and Davis C.S. 1998. Ecology of a Chaetoceros socialis Lauder patch on Georges Bank: distribution, microbial associations, and grazing losses. Oceanography 11: 30-35 

  57. Smayda T.J. 1980. Phytoplankton species succession. In: Moris I. (ed.),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p. 493-570 

  58. Strathmann R.R. 1967. Estimating the organic carbon content of phytoplankton from cell volume or plasma volume. Limnol. Oceanogr. 12: 411-418 

  59. Strickland J.D.H., Epply R.W. and Mendiola B.R. De. 1969. Phytoplankton populations, nutrients and photosynthesis in Peruvian coastal waters. Bol. Inst. Mar. Peru 2: 1-45 

  60. Sun J. and Liu D. 2003. Geometric models for calculating cell biovolume and surface area for phytoplankton. J. Plankton Res. 25: 1331-1346 

  61. Werner D. 1977. The Biology of Diatom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498 pp. 

  62. Yoo K.I. and Lee J.H. 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population 1976-1978. J. Oceanol. Soc. Korea 14: 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