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방안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eatures and Control Strategies in Hospital Work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7 no.3, 2008년, pp.81 - 92  

박정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김대성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서경범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culoskeletal disorder (MSD) problems have been increasingly reported in hospital sector but the problems were not addressed with respect to holistic aspects of the target population in Korea. Often,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how MSD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personal, work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설검정은 신체부위별 MSD 증상유무의 분포가 각 변수의 수준(level)에 따라 어느 정도 차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가설검정은 3가지 요인의 변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됐다.
  • 05)을 초과한 변수는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는 가설검정에서 사용된 세 가지 요인(13가지 독립변수)을 중심으로 신체부위별 MSD 증상 감소를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 코자 했다. 자료 분석은 SAS Windows Ver.
  • 병원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 계질환(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증상과 요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근로자의 MSD 감소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경인지역 한 대학병원근로자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최종 연구대상자 1, 09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 실태를 살펴보고 파악된 MSD 문제점을 고찰하여 관리방안을 제시코자 했다. 조사대상 병원근로자(1, 824명) 중 65%가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최종 연구대상자(1, 091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MSD 증상과 3가지 요인(직무/직업요인, 작업/행위요인, 심리사회적요인)간의 관계 특성을 파악한 후 MSD 증상 관리방안을 제시했다.
  • 그러나 이런 10가지 유형의 직종그룹은 당 협회의 내부 정보교류나 보고서 작성 등 업무에 유용할지 모르나 일반 근로자의 직업을 나타내는 분류변수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병원근로자의 직무/직업을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에 따라 분류한 후 5개 그룹(수준)으로 결정하여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는데 이는 국내외 다른 연구결과와의 비교성 (comparability)을 높이고자 한 것이었다. 가설검정에서 MSD 증상을 직무/직업요인에 따라 근로자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목을 제외한 모든 신체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대학병원의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MSD 증상과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 코자 하였으며,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 감소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했다: 1)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은 직무/직업요인(job/occupation factor)에 따라 다르다; 2) 병원 근로자의 MSD 증상은 작업/행위요인에 따라 다르다; 3)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은 심리사회적요인에 따라 다르다.
  • 연구는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조사는 경인지역 한 대학병원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대상 근로자는 1, 824명(비정규직 및 협력업체 근로자 포함)이었다.
  • 연구자간 MSD 증상 유병률의 보고 수준이 다른 것은 사용된 설문지와 연구대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MSD 증상자의 정의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자주 MSD 증상자가 어떻게 정의되느냐에 따라 연구결과가 과대평가 (overestimation) 또는 과소평가(underestimation)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최소화 하고자 했다. 비록 MSD 증상 유병률은 연구자별 보고수준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부위별 순위가 유사한 점은 의미가 있으며,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의 증상특성에 관한 정보는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 실태를 이해하는데 도움 될 것이다.
  • 현장조사는 작업과 업무 실태에 대한 이해를 높여서 MSD 증상의 관리나 예방을 위해 더욱 실제적인 방안을 도출코자 실시했다. 조사는 병원 보건관리팀이 작업상황조사 및 작업 조건조사를 실시하는 동안 병행하여 이루어졌으며, 치과, 핵의학과 중환자실(내과, 외과, 순환기계), 응급의료센터, 및 총무팀 근로자(21명)를 대상으로 면담과 관찰법으로 실시됐다.

가설 설정

  • 3) 병원근로자의 MSD 증상은 심리사회적요인에 따라 다르다.
  • 있다. 특히, 이 영역들은 MSD 위험요인(힘, 반복동작, 부적합자세, 압박/접촉, 진동 등), 작업조건/작업환경요인(업무속도 작업대배치, 작업점높이 등) 그리고 정신물리학 적요인(힘든 정도)을 포함하기 때문에 작업/행위요인 설문 문항을 통해 MSD 증상과 직접 관련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본 연구에서 작업/행위요인의 4가지 각 변수와 MSD 증상간의 가설검정 결과 모든 신체부위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 DB: 요양기관별 현황. 인용날짜 및 출처: 2007. 12. 28, http:://www.hira.or.kr, 2007 

  2. 구정완, 정은희, 권정현, 유재혁, 김형렬, 김현옥, 병원 종사자의 근골격계부담작업에 대한 자각증상률 비교,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회지, 2005 

  3. 김강윤, 안선희, 최호춘, 정경수, 박소연, 김현욱,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평가: 운동치료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4(2), 144-154, 2004 

  4. 김경모, 물리치료사의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스트레스,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5. 김철홍, 임상혁, 문명국, 손경일, 장안석, 국내 모 대형병원사업장의 MSD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추계학회지, 2005 

  6. 노동부, 2005년도 산업재해현황분석(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업무상 재해를 중심으로), 승인번호 제11806호, 영진인쇄사, 서울, 2006 

  7. 노동부, 2006년도 산업재해현황분석(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업무상 재해를 중심으로), 승인번호 제11806호, 한아름인쇄, 서울, 2007 

  8. 노동부, 의료기관 종사자 보건관리 강화방안, 정책자료 (노동부 노사누리 고용보험사업장 의료업종 통계), 2008 

  9.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99 한국직업사전,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pp. 419-479, 창문인쇄공사, 서울, 1998 

  10. 대한병원협회, 한국병원경영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병원경영통계, pp. 37-38, 고려인쇄공사, 서울, 2002 

  11. 박신구, 박정선, 펀경영 기법을 활용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평가법의 사업장 적용, 제40회 산업안전보건강조주간, 사업장 보건관리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pp. 82-89, 대한산업의학회, 2007 

  12. 박정근, 김대성, 김은아, 서경범, 김규상, 박신구, 정달영, 병원근로자의 어깨 근골격계질환 증상 특성 및 관리개선 방안, 한국산업위생학회 2008년 동계 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p. 169-170, 2008 

  13. 박정근, 일부 영상단말기(VDT) 작업자의 작업자세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0 

  14.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누적외상성질환의 발생실태와 발생특성 파악 및 의학적 평가방법 개발,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7년도 직업병예방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1997 

  15.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의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한국산업안전공단 보건분야 연구자료(연구원 2004-56-427), 2004 

  16. 서순림, 기도형,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4(2), 17-24, 2005 

  17. 이천옥, 암 전문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과 인간공학적 작업평가,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18.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KOSS)의 재평가 - 연구결과를 통해서 본 KOSS의 문항내용 및 구성을 중심으로 -,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지, 1(1), 83-96, 2007 

  19.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보건의료산업 노동자의 노동환경권 확보를 위한 노조의 정책방향-건강실태 파악을 중심으로, 노동보건 자료집 2002-1, 2002 

  20. 조권환,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유병률과 위험요인, 박사학위논문, 보건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21. 최원겸, 간호사의 근골격계 통증 특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5 

  22. 추상효, 김인아, 이수진, 일개 병원 여성 노동자의 근골격계 증상의 관련 요인, 제39차 대한산업의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pp. 463-464, 2007 

  23.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고시 제 2000-2호,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05400-02120-67-9905, 2000 

  24. 한국산업안전공단, 2007년도 산업재해현황분석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의한 업무상 재해를 중심으로), 기술지원 자료, 2008 

  25. Armstrong, B. K., White, E. and Saracci, R., Principles of exposure measurement in epidemiology, Monographs on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21, 137-170,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992 

  26. Borg, G., Psychophysical scaling with applications in physical work and the perception of exertion,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6(suppl 1), 55-58, 1990 

  27. Boyer, J., Tessler, J., Park, J. K. and Punnett, L., Development of a group-based ergonomic assessment strategy for characterizing physical workload in healthcare workers,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50th Annual Meeting, LA USA, 2006 

  28. Fuortes, L. J., Shi, Y., Zhang, M., Zwerling, C. and Schootman, M., Epidemiology of back injury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from review of workers' compensation records and a case-control survey, JOM, 36(9), 1022-1026, 1994 

  29. Hales, T. and Fine, L., Cargill poultry division, HETA 89-251-1997,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Cincinnati, OH, 1989 

  30. Karasek, R., Brisson, C., Kawakami, N., Houtman, I., Bongers, P. and Amick, B., The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n instrument for internationally comparative assessments of B.pyschosocial job characteristics, J Occup. Health Psychology, 3(4), 322-355, 1998 

  31. Kleinbaum, D. G., Kupper, L. L., Muller, K. E. and Nizam, A.,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ble methods, 3rd Ed., Duxbury Press, Pacific Grove, CA, 1998 

  32. Malkin, R. and McGlothlin, J., HETA 98-0032-2795,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Cincinnati, OH, 2000 

  33. Miranda, H., Gold, J. E., Gore, R. and Punnett, L., Recall of prior musculoskeletal pain,S In: the proceedings of PREMUS2007 (6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on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 32, Boston, USA, 2007 

  34.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Elements of ergonomics programs, NIOSH, DHHS Publication No. 97-117, Cincinnati, OH, USA, 1997 

  35. Owen, B. D., Keene, K. and Olson, S., An ergonomic approach to reducing back/shoulder stress in hospital nursing personnel: a five year follow up, Int J Nursing Studies, 39, 295-302, 2002 

  36. Park, J. K., Boyer, J., Tessler, J., Perez, G. and Punnett, L., PHASE Project team, Exposure assess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hospital work: Inter rater reliability of PATH observations, Proceedings of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49th Annual Meeting, Orlando, FL, September, 2005 

  37. Park, J. K., Buchholz, B., Punnett, L. and Woskie, S., Biomechanical exposure to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in hospital laborator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Hygiene Semi-annual meeting, Asan, Korea, 2006 

  38. Park, J. K., Exposure assessmen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hospital laboratories, Doctor of Science thesis, Dept. of Work Environmen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USA, 2006 

  39. Punnett, L.,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hospital workers, J Hand Surg, 12A[2 Pt 2], 856-862, 1987 

  40. SAS Institute Inc.,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version 9.1 for Windows, Cary, North Carolina, USA, 2003 

  41. Sinclair, M. A., Subjective assessment: In Evaluation of Human Work, A practical ergonomics methodology, Edited by J.R. Wilson and E.N. Corlett, 2nd Ed., pp. 69-100, Taylor & Francis, London, 1990 

  42. United States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BLS), Illness rates by type of illness - detailed industry, 2001, OS TB 12/19/2002 Table: S14. Available from , 2002 

  4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UML), Health disparities among healthcare workers?, Project report, NIOSH Grant #5 R01 OH007381 (unpublished),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