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 구급활동의 근골격계 증상 및 위험실태
A Surve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 Risk Factors for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Activ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9 no.2, 2010년, pp.211 - 216  

김대성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문명국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김규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 service personnel and ambulance paramedics suffer musculoskeletal disorders as they lift and carry patients while perform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소방공무원의 근무환경은 타 공무원에 비하여 매우 열악한 상황이며, 특히 건강 및 안전과 관련하여 위험성, 긴급성, 활동환경의 이상성 및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는 업무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학적인자, 직무스트레스 등의 연구는 비교적 많이 보고되고 있으나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 중 근골격계질환에대한 증상호소 비율이 높은 119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증상 설문 및 구급활동에 대한 작업분석 등을 통해 구급대원들이 수행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근골격계 증상 설문조사를 통해 증상 정도를 알아보았고, 현장조사를 통해 구급활동에 대한 작업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소방공무원의 직업은 어떠한 직업보다도 신체적인 손상을 받기 쉬운 업무임에는 틀림이 없으며, 특히 119 구급대원의 경우에는 환자를 빠른 시간내에 응급처치하고, 병원에 이송하는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요부손상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증상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구급활동에 대한 작업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소방관련 업무는 어디서 주관하는가? 우리나라의 소방관련 업무는 소방방재청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소방인력은 2007년 말 현재 30,630명으로 국가공무원 235명, 지방공무원 30,39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119 구조대는 197개 대에 2,361명의 대원이 근무하고 있지만, 중앙, 서울, 경기 등 큰 대도시를 제외하면 1개 구조대에 10명의 인원도 되지 않아 3교대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전국 119 구조대의 근무숫자 및 실태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소방관련 업무는 소방방재청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소방인력은 2007년 말 현재 30,630명으로 국가공무원 235명, 지방공무원 30,39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119 구조대는 197개 대에 2,361명의 대원이 근무하고 있지만, 중앙, 서울, 경기 등 큰 대도시를 제외하면 1개 구조대에 10명의 인원도 되지 않아 3교대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2007년 현재 소방공무원의 3교대 근무를 실시하고 있는 비율은 전체 교대근무인원 24,534명 중 21%(5,097명)이다.
모의실험을 통해 구급대원의 환자 이송작업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할 계획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의 경우 다양한 들것을 이용하여 환자를 이송하는 작업의 경우, 구급활동의 위급성, 작업의 다양성 등으로 현장에서 직접 그 위험도 및 부하를 측정/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차후에는 다양한 작업상황, 들것의 종류, 신체조건, 성별 조합 등을 고려한 모의실험을 통해 구급대원의 환자 이송작업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할 계획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규상, 소방공무원의 건강관리-소방공무원의 특수건강진단 내용을 중심으로, 산업보건, 206, 10-19, 2005a. 

  2. 김규상, 소방공무원의 위험노출과 건강영향, 산업보건, 207, 9-19, 2005b. 

  3. 김정만, '소방관들의 유해문제 제기',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 학술대회, 2006. 

  4. 김철홍, 김승남, 이준엽, 윤덕기, 조성애, '자동차공장 작업자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에 관한 연구: Part I', 대한인간공학회 2000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000. 

  5. 김철홍, 권영준, 백승렬, 손경일, 국내 지하철 정비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3(3), 121-134, 2004. 

  6. 서순림, 기도형, 종합 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 24(2), 17-24, 2005. 

  7. 소방방재청, 2008년도 주요통계 및 자료, 2008. 

  8. 이승규, 최원준, 성낙정, 강영중, 한상환, '소방관의 업무관련요인 및 일상생활요인과 근골격계 중상부위와의 상관성', 대한산업의학회 추계학술대회, 2007. 

  9. 유인술, 권선숙, 119 구급대원의 활동실태와 업무만족도, 대한응급의학회지, 9(2), 207-219, 1998. 

  10. 홍성기,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직무유형이 요통발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천의과학대학 보건대학원, 2007. 

  11. Astrand and Rodahl, Textbook of Work Physiology, 3rd ed., Maxgraw Hill, 

  12.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Fire Fighters, Death and Injury Survey, 1993, 

  13.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and Emergency Medical 

  14. Kluth K. and Strasser H., Ergonomics in the rescue service-Ergonomic 

  15.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U.S. 

  16.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