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연안 해조류 생물량의 연간 변동 양상: 전북 외조도와 주삼도 지역
Temporal Variations in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Woejodo and Jusamdo, Jeonbuk 원문보기

Algae, v.23 no.4, 2008년, pp.335 - 342  

최한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자연과학연구소) ,  이기훈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자연과학연구소) ,  만효금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자연과학연구소) ,  유현일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자연과학연구소) ,  박향하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기초자연과학연구소) ,  김정하 (성균관대학교 생물학과) ,  정익교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and vertical variations of seaweed biomass were examined at Woejodo and Jusamdo of western sea, Korea from July 2006 to April 2007. Annual seaweed biomass was 198.27 g m$^{-2}$ in wet weight at Woejodo and 417.34 g m$^{-2}$ at Jusamdo, respectively and biomass of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해 중부의 대표도서 인 선유도와 위도 인근에 위치하며 조간대와 조하대 암반에서 해조류가 서식하는 주삼도와 외조도에서 해조류의 계절별 및 수심별 생물량과 주요종을 확인하여 해조류의 군집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66 g m-2)를 보였으며 , 외조도에서는 조간대 중부에서 조하대 수심 1 m까지 , 주삼도에서는 조간대 상부에서조하대 수심 1 m까지 높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연구는 서해안 대표종인 지충이의 계절과 수심별 생물량 분포를 정량적으로 밝힌 최초의 연구이다. 해안 저층 구성과 큰 조석차로 인해 해수의 투명도가 낮은 서해안에서 지충이가 모든 계절과 다양한 수심에서 우점한다는 것은 본 연구를 포함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확인되었으나 그 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고남표. 1990. 거문도 해산식물자원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조류학회지 5:1-37 

  2. 고영욱, 성건희, 김정하. 2008. 회기분석을 이용한 해조류 생물량 측정을 위한 방법론. Algae:in press 

  3. 고철환, 이해복. 1982. 덕적군도의 해조상. 자연실태종합보고서 2:229-249 

  4. 김미경, 신재기. 2007. 독도 연안의 하계 수환경과 미세조류의 종조성. Algae 22:193-199 

  5. 김영식, 최한길. 2004. 한국의 남해안과 서해안에 생육하는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의 착생 해조류의 종조성. 한국생태학회지 27:173-177 

  6. 김영환, 남기완, 손철현. 1997. 동해안 주문진 조간대의 저서 해조류:해조상, 분포 및 군집구조. Algae 12:117-130 

  7. 김영환, 안중관, 이재일, 엄희문. 2004. 동해안 울진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Algae 19:257-270 

  8. 김영환, 윤현주, 유종수. 1995. 서해 중부 연안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식물학회지 38:389-398 

  9. 김영환, 이인규. 1985. 서해안 무창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식물학회지 28:149-164 

  10. 김영환, 허성회. 1998. 서해안 영광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한국수산학회지 31:186-194 

  11. 남기완. 1986. 동해안 죽도의 해조군집에 관하여. 조류학회지 1:185-202 

  12. 박연숙, 김영환. 1990. 서해안 하계 해조류 분포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조류학회지 5:39-50 

  13. 박찬선, 위미영, 황은경. 2007.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Algae 22:305-311 

  14. 백재민, 황미숙, 이재완, 이욱재, 김종인. 2007. 백령도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Algae 22:117-123 

  15. 부성민, 최도성. 1989. 안마군도의 하계 해산식물상. 자보협 9:207-238 

  16. 손철현, 최창근, 김형근. 2007. 강릉 연안의 해조군락과 유용 해조 자원 분포. Algae 22:45-52 

  17. 오병건, 이해복. 1998. 서해안 태안반도 의항의 해조상 및 군집. 환경생물 16:181-192 

  18. 유종수, 김영환, 이인규. 1996. 인천항 선거생태계 부착해조군집의 동태. Algae 11:295-307 

  19. 유종수, 김영환. 1990. 서해안 무창포와 마량리의 조간대 해조 군집구조의 분석. 식물학회지 33:225-236 

  20. 유현일, 이지희, 이기훈, 백상흠, 허영범, 노형수, 최한길. 2007. 태안반도 하계 해조상 및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40:210-219 

  21. 윤미영, 부성민. 1991. 서해 중부 삽시도의 조간대 해산식물의 종조성과 수직분포. 조류학회지 6:145-156 

  22. 이기훈, 유현일, 최한길. 2007. 태안반도 꽃지 약용해조의 계절적 군집구조 및 수직분포. Algae 22:209-219 

  23. 이용필, 강서영. 200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제주, pp. 661 

  24. 이욱재, 황미숙, 백재민, 이재완, 김종인. 2007. 서해 경기만 해조군집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조사. Algae 22:201-207 

  25. 이인규, 김형섭, 정호성. 1986. 흑산군도의 하계해조상. 자보협 6:257-284 

  26. 이인규, 부성민. 1988. 외연열도의 하계 해산식물상. 자보협 8:233-256 

  27. 이인규, 오윤식. 정호성. 1987. 대청군도의 해조상. 자보협 7:329-354 

  28. 이인규, 유순애. 1978. 서해 격렬비열도의 하계 해조상에 관한 연구. 자보협 12:103-120 

  29. 이인규. 1973. 하계 백령도 해조 목록. 서울대학교. 문리대학보 19:7-448 

  30. 이재완, 오병건, 이해복. 1997. 서해안 태안반도 파도리 일대의 해조상과 군집. Algae 12:131-138 

  31. 이재완, 오병건, 이해복. 2000. 서해안 파도리의 조간대 해조류 군집. Algae 15:111-117 

  32. 이해복, 장래혁. 1989. 서해안 태안반도 해조군집변화에 대한 정성 정량적 연구. 조류학회지 4:19-40 

  33. 최창근, 곽석남, 손철현. 2006. 동해안 울진 연안 조하대 저서 해조류의 군집구조. Algae 21:463-470 

  34. 최한길. 2008. 월성원자력발전소 온배수가 해조류 종조성 및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Algae 23:151-162 

  35. 황은경, 박찬선, 손철현, 고남현. 1996. 영광 인근 해역 해조군집의 기능형군별 분석. 한국수산학회지 29:97-106 

  36. Bastianoni S., Coppola F., Tiezzi E., Colacevich A. Borghini F. and Focardi S. 2008. Biofuel potential production from the Orbetello lagoon macroalgae:A comparison with sunflower feedstock. Biomass Bioenergy 32:612-628 

  37. Hemminga M.A., Marba N. and Stapel J. 1999. Leaf nutrient reabsorption, leaf lifespan and the of nutrients in seagrass system. Aquat. Bot. 65:141-158 

  38.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Bull. Pusan Fish. Coll. 7:1-125 

  39. Lobban. C.S. and Harrison P.J. 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66pp 

  40. McCall R.K., Moncreiff C.A., Randall T.A., Caldwell J.D. and Blackburn B.R. 1999. Seagrass epiphytes:Contribution to loc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 Gulf Research Reports 11:74 

  41. Oh Y.S., Lee I.K. and Boo S.M. 1990. An annotated account of Korean economic seaweeds of food, medical and industrial uses. Korean J. Phycol. 5:57-71 

  42. Orfanidis S., Panayotidis P. and Stamatis N. 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 Mar. Sci. 2:45-65 

  43. Phillips J.C., Kendrick G.A. and Lavery P.S. 1997. A test of a functional group approach to detecting shift in macroalgal communities along a disturbance gradient. Mar. Ecol. Prog. Ser. 153:125-138 

  44. Saito Y. and Atobe S. 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I. Bull. Fac. Fish. Hokkadio Univ. 21:37-67 

  45. Tseng C.K. 1981. Commercial cultivation. In:Lobban C.S. and Wynne M.J. (eds), The Biology of Seaweeds. Blackwell, Oxford. pp. 680-725 

  46. Worm B., Lotze H.K. and Sommer U. 2000. Coastal food web structure, carbon storage, and nitrogen retention regulated by consumer pressure and nutrient loading. Limnol. Oceanogr. 45:339-3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