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방법에 따른 와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5, 2008년, pp.605 - 611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서종권 (한국국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신정혜 (남해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이현지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 방법이 와송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와송을 천일건조,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한 후 물 및 95%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건조 방법에 따라서는 열풍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공여능, 환원력, hydroxyl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아질산염 소거능은 열풍건조> 동결건조> 천일건조 시료의 순으로 높았으며, 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높았다. 따라서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되며, 와송의 항산화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적절한 전처리 방법은 열풍건조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was analyz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extractive solvent and drying method such as sun, hot-air and freeze drying.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95% ethanol extracts than water extract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와송(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오래된 기와지붕 위나 깊은 산의 바위 위에 자라고 있는 돌나무과(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식물로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자라나는데, 기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아서 우리나라에서는 와송 또는 바위솔이라고 불린다. 와송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간염, 종기에 대한 면역작용, 지혈제 및 암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4), 최근 와송에 존재하는 phytochemicals로 sterol, triterpenoid류, 플라보노이드류 및 페놀 화합물 등이 분리되었고, 소화기 계통의 암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5-8).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와송은 민간요법에서 무엇으로 사용돼 왔는가? Berger)은 오래된 기와지붕 위나 깊은 산의 바위 위에 자라고 있는 돌나무과(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식물로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자라나는데, 기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아서 우리나라에서는 와송 또는 바위솔이라고 불린다. 와송은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간염, 종기에 대한 면역작용, 지혈제 및 암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4), 최근 와송에 존재하는 phytochemicals로 sterol, triterpenoid류, 플라보노이드류 및 페놀 화합물 등이 분리되었고, 소화기 계통의 암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5-8). Park 등(9)은 와송의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및 TA 100 균주를 사용한 실험에서 aflatoxin B1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작용이 있으며, sterols, triterpenes,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복합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천일건조,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한 후 물 및 95% 에탄올로 추출한 와송의 건조 및 추출수율 결과 중 건조 수율이 가장 높은 시료는 무엇인가? 천일건조,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한 후 물 및 95% 에탄올로 추출한 와송의 건조 및 추출수율은 Table 1과 같다. 건조 수율은 열풍건조 시료에서 10.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동결건조 시료(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udson B, Lewis J. 1987. Polyhydroxy flavonoid antioxidants for edible oil phospholipid as synergist. Food Chem 19: 537-541 

  2.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i J,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4. Kim JK. 1984.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Namsandang, Seoul. p 447 

  5. Park HJ, Lim SC, Lee MS, Young HS. 1994.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Pharmacogn 25: 20-23 

  6. Park HJ, Young HS, Park KY, Rhee SH, Chung HY, Choi JS. 1991.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Orostachys japonicus. Arch Pharmacal Res 14: 167-171 

  7.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Park KY, Cho HW, Kim MS. 2000.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Natural Product Sciences 6: 117-121 

  8. Park HJ, Young HS, Kim JO, Rhee SH, Choi JS. 1991.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Pharmacogn 22: 78-84 

  9. Park HJ, Moon SH, Park KY, Choi JS, Chung HY, Young HS, Suh SS. 1991. Antimutagenic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J Pharmaceut Soc Korea 35: 253-257 

  10. Yoon Y, Kim KS, Hong SG, Kang BJ, Lee MY, Cho DW. 2000. Protective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Crassulaceae) on $H_2O_2$ -induced apoptosis in GT1-1 mouse hypothalamic neuronal cell line. J Ethnopharmacol 69: 73-78 

  11. Choi SY. 2006.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extracts on antioxidative activity and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12. Kim KH, Kim EY, Kim YO, Baek GO, Kim HB, Lee DS. 2004.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of Orostachys japonicus. Korean J Microbiol 40: 334-341 

  13.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4.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 71: 109-114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6.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17. Gutteridge JM. 1984.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Biochem J 224: 761-767 

  18.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19.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0.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21. Dong S, Jung SH, Moon JS, Rhee SK, Son JY.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clove by extraction solv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09-613 

  22.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d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23. Choi KS, Lee HY. 1999. Characteristics of useful components in the leaves of Baechohyang (Agastache rugosa, O. Kuntz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26-332 

  24. Middleton EJ,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 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 

  25.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6. Collier GF, Valeric CH, Cox EF. 1978. A possible role for chlorogenic acid in calcium related disorders of vegetable crop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ettuce tipburn, Commun. In Soil Sci Plant Anal 10: 481-485 

  27. Na GM, Han HS, Ye SH, Kim HK.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99-505 

  28.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29.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30. Kang MY, Kim SY, Koh HJ, Chin JH, Nam SH. 2004. Antioxidative activity of germinated specialty r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24-630 

  31. Kim SM, Kim EJ, Cho YS, Sung SK. 1999. Antioxidants of pine needle extracts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27-534 

  32. Tappel AL. 1980. Vitamin E and selenium protection from in vivo lipid peroxidation. Ana New York Sci 355: 18-24 

  33. Fox JB, Ackerman SA. 1968. Formation of nitric oxide myoglobin: mechanisms of the reaction with various reductants. J Food Sci 33: 364-370 

  34. Lee SJ, Chung MJ, Shin JH, Sung NJ. 2000.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J Fd Hyg Safety 15: 88-94 

  35. Lee GD, Chang HG, Kim HK. 1997.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