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sim}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leaf, stem and root of Orostachys japonicus. On the paper disc assay, no detectable bactericidal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s from leaf, stem and root of Orostachys japonicus and et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 이들 중 와송 다당체는 항균활성을 가지며, 와송 유래의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 유도체가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보고되어있다(1,5). 본 연구에서는 와송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고 가공특성을 조사하여 식품보존제로서의 사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송은 무엇인가? 와송은 바위솔이라고도 하며, 일명, 암송 등으로 불리는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방에서는 해열, 소종, 지혈, 이습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18), 민간에서는 토열, 비출혈, 열독, 급속 무황달형, 전염성 간염, 말라리아, 경풍, 방광 결석, 임병, 습진, 폐렴 및 광견에 물렸을 때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주성분으로는 대량의 초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19). 지금까지 보고된 와송의 성분으로는 friedelin, epi-friedlanol, grutinone, glutinol, triterpenid, β-sitosterol, campesterol(20), sterol 계열물질(21), fatty acid ester 류, kaempferol, quercetin, flavonoid(22),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23) 등의 aromatic acid 등이 있다.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 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 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와송의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와송은 바위솔이라고도 하며, 일명, 암송 등으로 불리는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방에서는 해열, 소종, 지혈, 이습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18), 민간에서는 토열, 비출혈, 열독, 급속 무황달형, 전염성 간염, 말라리아, 경풍, 방광 결석, 임병, 습진, 폐렴 및 광견에 물렸을 때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주성분으로는 대량의 초산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19). 지금까지 보고된 와송의 성분으로는 friedelin, epi-friedlanol, grutinone, glutinol, triterpenid, β-sitosterol, campesterol(20), sterol 계열물질(21), fatty acid ester 류, kaempferol, quercetin, flavonoid(22), 4-hydroxybenzoic acid, 3,4-dihydroxybenzoic acid, gallic acid(23) 등의 aromatic acid 등이 있다. 또한, 중국산 와송에서 flavonoid 성분으로 kaempferol-3-glucosyl-7-rhamnoside, 당의 성분으로 sedoheptulosan, isopropylidene sedoheptulosan가 분리된 바 있다(24,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euchat LR, Golden DA. 1989. Antimice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42 

  2. Ahn YS, Shin DH, Baek NI.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antimicrobial substance against L. monocytohenes from Rula graveolens Lin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79-1388 

  3.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2001.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280-294 

  4. Kim YD, Kang SK, Choi OJ, Lee HC, Jang MJ, Shin SC. 2000.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16-1122 

  5. Kwon MK, Lee HE, Park JY, Hahn YS. 2003.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erry extract of domestic plants on 4 kind of pathogenic microorganis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3-438 

  6.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7. Jung JH, Cho CH. 2003. Effect of steeping treatment in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solution on the quality control of processed tofu. Korean J Food Preserv 10: 41-46 

  8. Cho MH, Bae EK, Ha SD, Park JY.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d 38: 36-45 

  9. Oram JD, Reiter B. 1968. Inhibition of bacteria by lactoferrin and other iron-chelating agents. Biochem Biophys Acta 170: 351-365 

  10. Ashton DH, Busta FF. 1968. Relief of casein inhibition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y iron, calcium, and magnesium. Appl Microbiol 16: 628-635 

  11. Freeze E, Sheu CW, Gallier SE. 1973. Function of lipophilic acids as antimicrobial food additives. Nature 241: 321-325 

  12. Cox NA, Mercuri AJ, Juven BJ, Thomson JE, Chew V. 1974. Evaluation of succinic acid and heat to improv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poultry meat. J Food Sci 39: 985-987 

  13. Yamamoto Y, Hiashi K, Yosh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acetic acid on yeast.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772-776 

  14. Park SK, Park JC. 1994.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coumaric acid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9: 506-511 

  15. Yang JY, Han JH, Kang HR, Hwang MK, Lee JW. 2001. Antimicrobial effect of mustard, cinnamon, Japanese pepper and horseradish. J Fd Hyg Safety 16: 37-40 

  16. Kim JS, Koo KM, Jung YH, Yang JG, Lee GG.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00-504 

  17. Lee YC, Oh SW, Hong HD.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00-709 

  18. Kwon J, Kwang SH. 2004.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lmmune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15-320 

  19. 金在?. 1984. 原色天然藥物 大事典 (上卷). 南山當, 서울. p 447 

  20. Park HJ, Young HS, Kom JO, Rhee SH, Choi JS. 1991.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 J Pharmacogn 22: 78-84 

  21. Park HJ, Lee MS, Young HS. 1994.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Kor J Pharmacog 25: 20-24 

  22. Park HJ, Young HS, Park KY, Rhee SH, Chung HY, Choi JS. 1991. Flavonoids from the whole plants of Orostachys japonicus. Arch Pharm Res 14: 167-171 

  23. Park JG, Park JC, Hur JM, Park SJ, Choi DR, Shin DY, Park KY, Cho HW, Kim MS. 2000.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Nat Prod Sci 6: 117-121 

  24. 左春旭, 仲英, 姜岩靑. 1998. 瓦松 中黃美化合物的 分離 鑑定. 中草藥. 丁杏包. Vol. 19, p 148 

  25. 左春旭, 蔡玉英, 姜岩靑. 1985. 瓦松有效成分的 硏究. 中草藥. 丁杏包. Vol 16, p 243 

  26. Lee CB. 1985. The encyclopedia of Korean plant. Hyang Mun Sa, Seoul, Korea. p 583 

  27. Jung DS, Lee NH.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leaf and stem)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30-35 

  28. Hong ND, Rho YS, Kim JS. 1992. A study on efficacy of ulmi cortex. J Korea Soc Pharm 21: 217-222 

  29. Park UY, Chang DS, Cho HR. 1992.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rt 21: 91-96 

  30. Nakamura S, Kato AM, Kobayashi K. 1991. New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ysozyme-dextran conjugate. J Agric Food Chem 39: 647-650 

  31. Kim HY, Cho GS. 2003.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I.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62-267 

  32. EI-Shenawy MA, Marth EH. 1989. Inhibition or inactivation of L. monocytogenes by sodium benzoate together with some organic acid. J Food Prot 52: 771-776 

  33. EI-Shenawy MA, Marth EH. 1989. Behavior of L. monocytogenes in presence of sodium propionnate. J Food Microbiol 8: 85-89 

  34. EI-Shenawy MA, Marth EH. 1988. Inhibition or inactivation of L. monocytogenes by sorbic acid. J Food Prot 51: 842-847 

  35.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