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dium selenate의 토양관주 처리방법에 따른 서양채소의 생육과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Selenate Supplied Condition by Fertigation on the Growth and Content of Minerals, Ascorbic acid, Nitrate, and Selenium of Some Western Vegetable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7 no.1, 2008년, pp.43 - 50  

이성진 (횡성군 농업기술센터) ,  강호민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  김일섭 (강원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양채류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적정 셀레늄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sodium selenate처리 농도, 처리시기 및 처리 횟수에 따른 작물생육과 작물체내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odium selenate 1, 2, 5 및 $20mg{\cdot}L^{-1}$처리구에서 공시작물 모두 초기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 60일 후부터 $5mg{\cdot}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어, 무처리구에 비해 $5mg{\cdot}L^{-1}$처리구에서도 결구상추는 33%, 브로콜리는 47%, 파슬리는 74% 생체중이 감소한대 비해 비트와 셀러리는 고농도에서도 생육억제 현상이 크지 않아 $20mg{\cdot}L^{-1}$농도에서 생체중이 20%와 15% 감소하였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작물체내 ascorbic acid 함량은 결구상추의 경우 셀레늄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mg{\cdot}L^{-1}$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 1.2배 높았고, 셀러리와 비트도 같은 농도에서 약 10% 정도 함량 증가를 보였으나, 브로콜리와 파슬리는 셀레늄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식물체내 nitrate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작물에서 감소하였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의 폭은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질산염의 함량 저하는 결구상추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그 다음이 비트, 셀러리 순이었다. 무기성분 K, Ca, Mg의 함량은 공시작물 모두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분별로는 K성분이 모든 작물에서 고도의 부(負)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Mg와 Ca함량이 감소는 농도간의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식물체내 셀레늄함량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작물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고농도인 $20mg{\cdot}L^{-1}$ 처리구에서 브로콜리는 무처리구 보다 24.4배, 셀러리는 76.4배, 파슬리는 560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결구상추, 비트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의 생육단계별 처리에서는 생육초기에 후기보다 결구상추는 1.3배, 브로콜리는 1.4배 높았으나, 파슬리와 셀러리는 생육중기에 처리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처리 횟수별 Se 함량은 파슬리, 셀러리 및 결구상추는 처리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10회 이상이 되면 셀레늄의 축적량이 둔감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브로콜리는 처리횟수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셀레늄의 축적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er supplied conditions of sodium selenate supplied by fertigation to improve functionality of major western vegetables; beet, broccoli, cabbage lettuce, celery, and parsley in highland. In this work, the growth and content of minerals, ascorbic acid,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양채류인 결구상추, 파슬리, 브로콜리, 비트 및 셀러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적정 셀레늄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sodium selenate처리 농도, 처리시기 및 처리 횟수에 따른 작물생육과 작물체내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slam, M., K.B. Harbit, and R.C. Huffaker. 1990. Comparative effects of selenite and selenate on nitrate assimilation in barley seedlings. Plant Cell and Enviromnent 13:773-782 

  2. Bark, P. and!.L. Goldman 1997.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selenite and sulfate uptake in onion: Implications for production of organosulfer and organoselenium compounds in plants. J. Agri. Food Chem. 45: 1290-1294 

  3. Burk, R.F, and O.A. Levander. 1999. Selenium, p.265-276. In: Modem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Ninth Edition, eds. M. Shils, J. Olson, M. Shike, and A. C. Ros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4. Cai, X,J., E. Block, P.C. Uden, X. Zhang, B.D. Quimby, and J.J. Sullivan. 1995. Allium chemistry: Identification of seleno-amino acids in ordinary and selenium-enriched garlic, onion, and broccoli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atomic emisssion detection. J. Agr. Food Chem. 43:1754-1757 

  5. Foyer, C.H. and B. Halliwell. 1976. The presence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reductase in chloroplasts: A proposed role in ascorbic acid metabolism. Planta 133:21-25 

  6. Kim, M.S. and K.w. Park. 2001. Effect of selenium on storability of basil in hydroponics. Kor. J. Hort. Sci. & Technol. 19(1): 87-91(in Korean) 

  7. Lauchli, A. 1993. Selenium in plants: Uptake, functions, and enviromnental toxicity. Bot. Acta 106:455-468 

  8. Lee, GP. 1999. The highly functional leafy vegetables and their physiological mechanism by selenium and germanium in hydroponics. Ph. D Diss., Korea University 

  9. Munshi, C.B. and N.!. Mondy. 1992. Glycoalkaloid and nitrate content of potatoes as affected by method of selenium application. Bio. Trace Elem. Res. 33:121-127 

  10. Olson, O.E., E.!. Whitehead, and A.L. Moxon. 1942, Occurrence of soluble selenium in soils its availability to plants. Soil Science 54:47-53 

  11. Park, K.w., J.H. Lee, and B. Geyer. 1996. Effects of selenium concentrations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s of Chinese leaf vegetables. J. Kor. Soc. Hort. Sci. 37:J. Kor. Soc. Hort. Sci(in Korean) 

  12. Park, K.w., Y.J. Lee, and J.C. Jeoung. 1997. Effects of selenate ion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J. Bio. Fac. Env. 6:264-269 (in Korean) 

  13. Rautenkranz, A.A.F., L. Li, F. Machler, E. Martinoia, and J.J. Oertli. 1994. Transport of ascorbic and dehydroascorbic acids across protoplast and vacuole membranes isolated from varley(Hordeum vulgare L. cv. Gerbel) leaves. Plant Physiol. 106:187-193 

  14. Shibata, Y., M.C. Masatoshi, and R.J. Young 1982. ?Nutrition of the chichen. M.L. Scott and Associates, Itach, New York., USA. 

  15. Thompson, J.N. and M.L. Scott. 1969. Role of selenium in the chick J. Nutr. 97:335-342 

  16. Trelease, S.F. and O.A. Beath. 1949. Selenium: Its geological occurrence and its biological effects in relation to botany, chemistry, agriculture, nutrition and medicine. The Champlain Printers, Burlington. VT., USA. 

  17. Yun, H.K, T.C. Seo, D.K Park, KY. Choi, and Y.A. Jang. 2004. Effect of selenium and concentration on growth and quality of endive and pak-choi in deep flow culture. Kor. J. Hort. Sci. Technol. 22(2):151-155 (in Korean) 

  18. Yun, HK, C.H. Zhang, T.C. Seo, and J.w. Lee. 2006. Effect of selenium application concentration and periods on growth in garlic. J. Bio-Environ. control. 15(4):346-35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